• 제목/요약/키워드: Music Intervention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19초

의미치료에 기반한 음악과 심상 프로그램이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자기가치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Logotherapy-Based Music and Imagery Program on the Self-Worth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 홍금나;김성찬;최민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2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의미치료에 기반한 음악과 심상(Logotherapy Based Music and Imagery: LBMI) 프로그램이 장애인 활동 보조인의 자기가치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했다. 방법: LBMI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는 삶의 가치와 의미를 알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활동 보조인 28명을 무작위로 실험군(14명)을 대조군(14명)으로 배정하여 평가했다. 중재 프로그램은 실험군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60분씩 설정된 주제별로 총 6회기로 구분하여 수행했다. LBMI 프로그램의 자기가치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중재 전과 후, 실험군 간의 자기가치감척도(Self-Worth Scale: SWS)를 비교분석했다. 결과:실험군의평균 KGDS 점수는 21.0점에서 16.9점으로 4.1점 (19.4%) 감소한반면, 대조군은 19.95점에서 21.11점으로 1.16점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의 감소는 사회적 관심 감소 (40%), 부정적 사고 및 불행 감 (20%), 정서적 불편 함 (16.3%),인지 기능 장애 (7.6%)의 4가지 우울증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습니다. 결론: LBMI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에서는 자기가치감 수준이 유의하게 개선되고 있으나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LBMI 프로그램이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

노인을 위한 음악요법 프로그램이 우울, 균형,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Music 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Balance, Flexibility in the Elderly)

  • 이원유;권선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3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depression, balance, and flexibility in the elderly.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3 people, was given music therapy for 90 minutes per a week for 6 weeks, while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21 people, was not given music therapy with quasi-experimental design. Resul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decreasing depression and improving flexibility in the elderly. However, this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Despite one part, nursing intervention of music therapy to adapt Rhythm for Life elevated the strength of the elderly's body and showed decrease in depression. Therefore the Music therapy Program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PDF

국내 일반 및 장애 아동 관련 음악치료 학위논문 유형분석 (The Analysis on Domestic Thesises Related with Music Therapy for Normal and Disabled Children)

  • 이미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2호
    • /
    • pp.15-28
    • /
    • 2006
  • 인간의 발달 과정에서 음악은 의미 있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아동들은 음악을 통한 여러 활동에 참여함으로 발달 영역별 기술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음악적 환경은 아동들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동의 치료나 교육에 음악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며, 우리나라 음악치료 영역에 있어서 주 임상 대상은 발달 영역의 지연이나 장애를 가진 아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의 주 임상 대상인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연구되어진 논문들을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아동관련 음악치료 연구의 경향과 흐름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대상 논문은 음악치료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학교의 논문으로 일반 및 장애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 90편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의 목표 영역, 음악적 개입별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별로 살펴보면 장애 아동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장애 아동 중에서는 자폐 아동 위주로 연구가 치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에는 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 대상의 연구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유형별로 살펴보면 기술연구에 비해 실험연구가 많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의 목표 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 영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정서 영역, 언어 영역, 인지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적 개입별로 살펴본 결과 많은 연구에서 특정한 음악적 기법을 사용하기 보다는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 위주의 음악적 개입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의 주 임상 대상인 아동과 관련된 연구의 경향을 알아봄으로써, 지금까지의 학문적 연구 성과와 보완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의 아동 대상 음악치료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증진 중재가 수면의 질 및 섬망발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leep Improvement Intervention on the Sleep Quality and Incidence of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이은남;조정림;김매리;이은주;이영휘;최은주;이혜란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33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ye-shields and sleep-inducing music application on sleep quality and incidence of delirium for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untreated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test and posttest. The data was collected in the ICU of D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from June to September 2011. Thirteen subjects were assigned to eye-shields and sleep-inducing music intervention and 15 subjects were in the control group. Results: Eye-shields and sleep-inducing music application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leep in ICU pati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delirium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sleep improvement intervention with eye-shields and sleep-inducing music would be a meaningful par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the quality of sleep in ICU patients.

  • PDF

신생아집중치료실 고위험 신생아 대상 음악중재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s on High-risk Neonates in NICU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혜랑;박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5-142
    • /
    • 2023
  • 본 연구는 NICU 고위험 신생아를 대상으로 시행된 국내·외 음악중재연구의 효과를 심박동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행동상태 등의 활력징후와 음악 유형, 음악제공자, 회기 수 등의 중재세부 사항에 따라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 전자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음악중재와 NICU, 고위험 신생아, 활력징후 등을 검색어로 하여 2023년 3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총 17편의 문헌이 최종 선정되었고 해당 연구에 포함된 음악에 대해 고찰 및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NICU 고위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중재에서 활력징후의 효과크기는 심박동수 0.433, 호흡수 효과크기는 0.568, 산소포화도 0.791, 행동상태 1.329의 중간 효과 또는 큰 효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주요 조절변수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 및 분석한 결과 음악 유형의 경우 라이브와 녹음을 혼합 방식으로 제공한 음악이, 음악제공자의 경우 심박동수는 음악치료사가, 그 외 산소포화도, 호흡수, 행동상태에서는 비음악치료사가 음악을 제공한 경우 효과적이었으며, 총회기는 1회기 이상 5회기 이하가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고위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의 임상적 가치를 확인하고 신생아집중치료실 음악중재 시 음악 요소, 음악 전달 방식, 음악 중재자 등에 대한 고려점을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환자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척추 마취 환자의 수술 중 불안, 활력 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ferred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Vital Signs and Blood Sugar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Using Spinal Anesthesia)

  • 정향미;박말영;이수진;김남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9-20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ferred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vital signs and blood sugar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spinal anesthesia.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carried out. Subjects consisted of 40 patients (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 20)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surgery with spinal anesthesia. During the operation, music individual patients preferred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4 to November 10, 2011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ANCOVA and repeated measured ANCOVA using SAS (ver 9.2). Results: 1) Patient anxiet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F=93.77, p<.001).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F=.00, p=.979), Systolic blood pressure (F=.19, p=.668), heart rate (F=.00, p=.955), and blood sugar (F=.73, p=.399)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Letting patients hear their preferred music during surgery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anxiety of patients undergoing surgery with spinal anesthesia.

자극성-진정성 음악을 이용한 부적 정서 조절의 음악회상기법 (Music Recall Technique) :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의 사례 연구 (Music Recall Technique for Affect Modification using Stimulative-Sedative Music : Case Study of Anorexia Nervosa)

  • 길수연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권1호
    • /
    • pp.1-15
    • /
    • 2005
  • 음악치료 연구에 있어 치료 세팅 내 적용 가능한 임상전략기법들을 개발한 연구는 다른 음악치료 관련 주제들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음악 감상을 이용한 부적 정서 조절은 계속 해서 연구되어 온 분야이기도 하나 실질적으로 임상 대상에게 적용되어 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음악 감상을 이용한 음악치료기법인 동시에 부적 정서를 경감시키는 정서 조절 기제의 한 방안으로서 음악회상기법(Music Recall Technique)을 고안하고, 이것의 치료적 중재 과정과 효용성을 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더 나아가 음악치료사의 부재 시나 음악치료세션 외, 그리고 물리적 음악이 부재한 상황에서 대상자가 이 기법을 스스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았다. 본 연구의 음악회상기법은 대상자의 강도 높은 부적 정서에 음악적 공감(musical empathy)을 부여하기 위하여 현대 음악(contemporary music) 중심의 높은 자극성 음악이 사용되었다. 또한 부적 정서의 경감 및 조절을 위하여 자극성-진정성 음악을 이용한 음악회상기법이 중점적으로 적용되었고, 자극성-진정성-격양성 음악을 이용한 음악회상기법은 부가적으로 적용되었다. 음악회상기법에는 이미 지각되어 있는 기존의 음악을 현재에 그대로 재현하여 회상하는 '음악회상(Music Recall, MR)'과 기존 음악을 변형 또는 조합하거나 기존 음악이 아닌 새로운 음악을 대상자가 스스로 생각하여 머리 속에서 현재화시키는 '창조적 음악회상(Creative Music Recall, CMR)'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회상을 중심으로 하되 창조적 음악회상을 부가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는 단일 사례 연구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의 불안, 분노, 우울의 부적 정서에 대한 부적 상황 목록을 작성하여 이에 대한 부적 정서를 회기 시간 내에 경감시켜나가고, 회기 시간 외 음악회상기법을 통해 실생활에 대한 실제 부적 정서를 경감시켜나갔다. 총 10회에 거쳐 음악회상기법이 적용되었고, 음악회상기록지를 제작하여 자극성-진정성, 또는 격양성 음악회상 내 부적 정서 변화 과정을 회기 시간 내와 회기 시간 외에 자기보고 하도록 하였다. 부적 상황에 관여된 부적 정서를 회기 시간 내와 전체회기에 대해 VAS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측정하고, 상태-특성 불안척도,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무망감 우울증 검사지를 통해 일반적인 부적 정서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극성-진정성 음악회상 과정 내 불안, 분노, 우울의 부적 정서가 모두 감소하였다. 불안, 분노, 우울 모두 자극성 음악회상에서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특히, 자극성 음악회상의 초-중반부에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다. 부적 상황에 대한 부적 정서의 VAS 측정에서도 회기 시간 내와 전체회기를 통한 사전사후 결과에서 모두 부적 정서가 감소하였다. 상태-특성 불안척도,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무망감 우울증 검사지의 검사 결과에서도 모두 부적 정서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강한 자극의 정도를 갖는 현대 음악 중심의 자극성 음악이 분노, 불안, 우울과 같은 부적 정서의 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가능하며, 자극성 음악회상의 초-중반부가 부적 정서의 경감을 위해 중요한 자극 변수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고안된 음악회상기법은 부적 정서의 경감 및 정서 조절에 효과적인 하나의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다.

  • PDF

암환자의 통증에 적용한 중재효과의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Cancer Pain)

  • 민영춘;오복자
    • 종양간호연구
    • /
    • 제11권1호
    • /
    • pp.83-9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 of intervention studies in reference to cancer pain. Methods: In order to conduct a meta-analysis, a total of 208 studies were retrieved from search engine. And 29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2010 were selected up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inclusion criteria.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RevMan 5.0 program of Cochrane library. Results: 1) Intervention studies included 7 studies on reflexology (24.1%), 5 for pain management education (17.2%), 3 studies for each music therapy, spiritual care and hand massage (10.3%, respectively), and 2 studies for each hospice and horticultural therapy (6.7%, respectively). 2)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studies were high in hand massage (d=-0.98), reflexology (d=-0.74), spiritual care (d=-0.72), pain management education (d=-0.66), music therapy (d=-0.41), and horticultural therapy (d=-0.32).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non-drug therapy can reduce the levels of cancer pain intensity, even though the numbers of intervention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very rare.

Effect of Carnatic Music Listening Training on Speech in Noise Performance in Adults

  • Amemane, Raksha;Gundmi, Archana;Mohan, Kishan Madikeri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5권1호
    • /
    • pp.22-26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Music listening has a concomitant effect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organization of the brain. It helps in relaxation, mind training and neural strengthening. In relation to i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find the effect of Carnatic music listening training (MLT) on speech in noise performance in adults.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28 participants (40-70 years) were recruited in the study. Based on randomized control trial, they were divided into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Intervention group underwent a short-term MLT. Quick Speech-in-Noise in Kannada was used as an outcome measure. Results: Results were analysed using mixed metho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post MLT. The results of the second continuum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t training and follow-up scores in both the groups. Conclusions: In conclusion short-term MLT resulted in betterment of speech in noise performance. MLT can be hence used as a viable tool in formal auditory training for better prognosis.

Effect of Carnatic Music Listening Training on Speech in Noise Performance in Adults

  • Amemane, Raksha;Gundmi, Archana;Mohan, Kishan Madikeri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2-26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Music listening has a concomitant effect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organization of the brain. It helps in relaxation, mind training and neural strengthening. In relation to i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find the effect of Carnatic music listening training (MLT) on speech in noise performance in adults.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28 participants (40-70 years) were recruited in the study. Based on randomized control trial, they were divided into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Intervention group underwent a short-term MLT. Quick Speech-in-Noise in Kannada was used as an outcome measure. Results: Results were analysed using mixed metho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post MLT. The results of the second continuum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t training and follow-up scores in both the groups. Conclusions: In conclusion short-term MLT resulted in betterment of speech in noise performance. MLT can be hence used as a viable tool in formal auditory training for better pro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