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morphology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8초

영지버섯 수집균의 배양적 특성 및 자실체 형태에 따른 구분 (Grouping of Ganoderma strains based o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morphology)

  • 김경수;공원식;최선규;유창현;고미석;서건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9-59
    • /
    • 2004
  • 영지속 (Ganoderma) 수집 균주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균사체 생장, 후막포자 형성여부, 온도별 균사 생장, 자실체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영지의 균사생장은 115개 균주 중 68개 균주가 GCM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균사생장은 균주간에 많은 변이가 있었다. 수집균주는 균총의 형태에 따라 28개 group으로 구분되었는데 대부분 CM3와 CM8 group에 속하였다. 이들 균사체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후막포자를 형성한 균주는 G. lucidum ASI 7022 등 16균주였으며, 국내에서 수집된 대부분의 G. lucidum 균주들은 후막포자를 형성하지 않았다. 한편 이들은 온도별 균사생장 시험에서도 $35^{\circ}C$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균사생장이 저조하였는데 미국에서 도입된 G. lucidum과 다른 특성을 보이고 G. tsugae와 유사한 특성이었다. 영지 115개 균주 중 톱밥배지에서 자실체가 발생한 균주는 97개 균주였고 형태는 편각형이 89.7%, 녹각형이 10.3% 였으며, 이러한 형태는 $CO_2$의 농도에 따라 변이가 있었다. 본 실험 결과 국내에서 수집된 G. lucidum 균주는 분류를 재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양송이 재배주기에 따른 형태적 특성 변화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on mushroom fruiting bodies in different harvest flush)

  • 전창성;박경주;김대겸;오연이;박혜성;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7-302
    • /
    • 2020
  • 국내 육성된 양송이 '새도' 등 5개 품종으로 수확주기별 버섯의 형태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농가현장 시험을 통하여 생산성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공시품종의 재배적 특성을 종합해보면 버섯발생 및 생육에 관련한 부분은 거의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균사 활력은 비슷하였으나 재배농가의 평가에서는 '새도' 품종이 강한 편이며, '새한' 품종이 약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자실체의 개체중은 품종특성 보다는 농가별 퇴비의 상태 및 발생량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품종간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었다. 자실체의 갓 직경, 갓 두께, 대 길이 등의 특성에서 달성군, 용인시, 보령시 지역농가의 경우는 품종에 관계없이 첫주기에 대비하여 주기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다. 하지만 대 굵기는 품종에 관계없이 첫 주기에 대비하여 2, 3주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경주는 품종과 주기에 따른 어떤 경향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부여에서는 갓 직경과 대 길이는 '새정'을 제외한 품종들은 주기가 진전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갓 두께와 대 굵기는 품종간 일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수확주기별 형태적 특성의 차이는 품종보다는 수확주기별로 배지에서의 양분의 공급량과 사용한 퇴비의 품질과 재배환경의 변화에 따른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Morphological Discretion of Basidiospores of the Puftball Mushroom Calostoma by Electron and Atomic Force Microscopy

  • Kim, Mi-Sun;Kim, Ki-Woo;Jung, Hack-S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0호
    • /
    • pp.1721-1726
    • /
    • 2007
  • Comparative morphology among species of the genus Calostoma, including C. cinnabarina, C. ravenelii, and C. japonicum, wa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Spore morphology of C. cinnabarina and C. ravenelii showed no dramatic differences by light micro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differentiate these species, atomic force microscopy was employe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urface roughness of basidiospores revealed subtle differences in height fluctuation at the nanometer scale between the species of Calostoma. Basidiospores of C. cinnabarina had a relatively rougher surface than those of C. ravenelii at $2.0{\times}2.0\;{\mu}m^2$ scan areas.

잔나비 걸상버섯과 영지(靈芝)의 종간원형질체(種間原形質體) 융합(融合)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에 관한 연구(硏究) (Interspecific Protoplast Fusion of Ganoderma applanatum and Ganoderma lucidum and Fruit Body Formation of the Fusants)

  • 박영도;유영복;신평균;유창현;차동열;박용환;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9-86
    • /
    • 1988
  • 잔나비걸상버섯과 영지(靈芝)버섯간(間)에 원형질체융합(原形質體融合)을 실시하여 융합(融合)된 균주(菌株)를 선발하있으며, 융합(融合)된 균주(菌株)를 배양(培養)하여 자실체(子實體)의 형성(形成)하였는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나비걸상버섯 영지(靈芝)버섯간(間)의 종간원형질체융합률(種間原形質體融合率)은 $0.77{\sim}l.38%$였다. 2. 융합(融合)된 균총(菌叢)은 MMM배지상(培地上)에서 균총(菌叢)의 형태적(形態的) 차이를 보이거나 균총(菌叢)의 중앙부위(中央部位)에 잃은 황양색(黃楊色)을 띄고 있었다. 3. 융합주(融合株)는 두 모균주(母菌株)의 장점을 지녔고 대체로 모균주(母菌株)보다 빠른 성장(成長)을 보였으며, 균주(菌株)에 따라서는 GCM 배지상(培地上)에서 segregation이 일어난다. 4. 융합주(融合株)의 균사체(菌絲體)에는 clamp connection이 없으나 segregation이 일어난 균사(菌絲)에서는 있는 것과 없는 균사(菌綿)가 혼재(混在)해 있있다. 5. 균사체(菌絲體)를 마쇄하여 전기영동(電氣泳動)에 의한 esterase isozyme pattern을 확인해 본 결과 모균주(母菌株)와는 전혀 다른 band를 나타내 었다. 6. 선발(選拔)한 30균주중(菌株中) 4균주(菌株)에서 자실체(子實體)가 형성(形成)되었으며 그 형태(形態)는 모균주(母菌株)의 자실체(子實體)와 차이를 보였다.

  • PDF

First Report of Green Mold Disease Caused by Trichoderma hengshanicum on Ganoderma lingzhi

  • Cai, Mingzhu;Idrees, Muhmmad;Zhou, Yi;Zhang, Chunlan;Xu, Jize
    • Mycobiology
    • /
    • 제48권5호
    • /
    • pp.427-430
    • /
    • 2020
  • Ganoderma lingzhi is a well-known source of natural fungal medicines which has been given for the treatment of several diseases. China is one of the major commercial producers of Ganoderma mushroom worldwide. However, with the expansion of the commercial cultivation, the occurrence of the fungal diseases on G. lingzhi has also been increased. The green mold disease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cultivation base of G. lingzhi in Zuojia Town, Jilin City, Jilin Province, China, causing the basidiomes to be rotten and withered, and the green mycelium layer generated gradually. The pathogenicity tests showed the same symptoms as appeared naturally in Zuojia mushroom base. Morphology characters revealed conidia green, ellipsoid, globose, 2.56-4.83 × 2.09-4.22 ㎛, length-width ratio was 1.1-1.2 (n = 10). Conidiophores trichoderma-like, often asymmetry, branches solitary, paired or in whorls of 3 phialides formed solitary, paired or in whorl, variable in shape, lageniform, sometimes ampulliform or subulate. While using molecular methodology, comparing with the sequences of Trichoderma hengshanicum from GenBank, the analyzed sequence showed 97.32% homology with the RPB2 sequences, 100% with the TEF1-a sequences. A fungus isolated from the diseased tissues was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y and molecular studies as T. hengshanicu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 hengshanicum causing the green mold disease of G. lingzhi in China.

rDNA의 ITS 부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구름버섯 균주의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genera Trametes on the basis of ITS region sequences)

  • 이찬중;전창성;정종천;오진아;한혜수;엄나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7-33
    • /
    • 2011
  • 보존중인 구름버섯속 균주를 선발하여 배양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슷한 균주별로 그룹화하여 rDNA의 ITS 영역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보존시 균주의 학명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균사의 모양 및 색깔에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보존 당시 동정된 결과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종이 다른 균주가 5균주와 학명이 다른 균주가 6균주로 전체의 61%를 차지하였다. 국내에서 수집한 구름버섯의 경우 T. versicolor, T. elegans, T. gibbosa 등 3개 속으로만 동정되었고, 미국에서 수집한 균주는 T. junipericola로 동정되었다. Trametes spp의 RAPD 분석을 통한 유전적인 다형성 조사에서 T. versicolor와 T. gibbosa는 아주 다른 밴드패턴을 보였다. 또한 같은 종내에서서 분포지역에 따라 상이한 밴드 패턴을 보였다.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에서는 T. vericolor 등 4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어졌으며, ITS부위 유전자수준의 상동성 비교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 목록과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된 균주들에 대해서는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분석과 보존중인 자실체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보존진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여 기존 목록의 학명을 재분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버섯 학술 용어 해설 (Explanation of mushroom academic terminology)

  • 이재성;성재모;김양섭;채정기;유영복;유승헌;차재순;이현숙;이재동;이종수;박원철;구창덕;석순자;김용갑;차병진;장현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44-213
    • /
    • 2006
  • The mushroom production reached to 1000 billion won in monetary value in Korea. We, however, do not have systematic terminology dictionary published yet. Recently new varieties of medicinal mushrooms in addition to culinary mushrooms are being introduced steadily through out the world. This makes the necessity of coordinated and consistent arrangement of terms involved in culture, cultivation and physiological aspects of mushrooms. Various components in relation to the medicinal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lso poses ambiguity in terminology along with the terms used in breeding and genetic researches. Moreover, some of the scientific terms are being used erroneously. In order to help mushroom cultivators, students, and mushroom business personnel in understanding the terms on mushroom science and technology we intended to collect and organize all the terms related to mushroom morphology and cultivation, poison and medicinal functionality, processing and utilization, and so on. Thirteen professionals from each field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The fields included here are : 1) Genetics and breeding of mushrooms, 2) Cultivation and physiology of mushrooms, 3) Taxonomy and ecology of mushrooms, 4) Processing and functional components, 5) Blight and insects of mushrooms.

  • PDF

곰보버섯 (Morchella spp.) 수집균주의 배양적특성 및 유전적 유연관계 (Culture characteristics and genetic relationship of morel mushroom (Morchella spp.) isolates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 민경진;박혜성;이은지;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0-10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외 수집 균주를 대상으로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유전적 유연관계 및 균주별 함유된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곰보버섯은 생장온도 25℃, pH 7.0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균사는 초기에 백색에서 생장이 진행될수록 진한 노란색을 띠다 진한 갈색으로 변화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곰보버섯만의 고유한 배양적 특징으로 균사가 종에 따라 주기별로 경화되는 특징과 특유 강한 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균사 형태는 관찰을 통하여 총 5종류로 분류되었고 이들 균주의 ITS 분석 결과 Morchella conica, M.sextelata, M. importuna, M. esculenta, M. carssipes 등 5종으로 동정되었다. UFPF primer를 이용하여 PCR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ITS 분석 결과와는 다르게 M. conica로 동정된 KMCC04971 균주와 M. sextelata로 동정된 KMCC04407 균주는 동일한 패턴을 보였으며 그 결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균주별 균사체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 결과 M. importuna인 KMCC04973 균주가 100 g당 알파글루칸 16.4 g을 포함하는 베타글루칸 함량 33.1 g으로 가장 높았다.

RGB LED 광원이 느타리류의 자실체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GB LED lights on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fruit-body characteristics)

  • 류재산;나경숙;김정한;이정우;권희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2-139
    • /
    • 2023
  • 생육 시 사용하는 LED 조명색이 느타리류의 갓색과 수량, 형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실체의 전체적인 형태는 LED 조명색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청색과 자색이 일반적으로 생산하는 버섯 형태와 유사하였고 녹색은 조명이 없거나 약한 곳에서 자란 버섯형태를 보였다. 전체 품종의 청색, 녹색, 자색 LED에서 키운 버섯의 갓명도의 평균은 각각 57.0, 57.4, 59.4였다. 원형1호와 황금산타리를 제외하고는 세가지 LED 색에 따라 갓 명도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갓의 적색도는 LED 조명과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관찰되었다. 청색, 녹색, 자색에서 생육한 자실체의 갓색이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낸 품종은 곤지7호의 갓색돌연변이인 곤지7호M이 유일하였다. 곤지7호를 제외한 8개 품종에서 청색에서 갓의 적색도가 가장 높았다. 전체 품종의 LED 조명색별 평균 수확량은 자색이 68.0 g, 청색 58.3 g, 녹색 50.1 g 이었다. 청색에서 가장 수확량이 많은 품종은 곤지7호로 92.8 g이었고 같은 품종의 녹색 처리구에서는, 77.1 g, 자색에서는 98.6 g이 수확되었다. 발이소요일수는 자색에서 생육한 버섯의 평균값이 5.3일로 가장 짧고, 청색에서 5.8일, 자색에서 5.8일 순이었다. 자색에서 가장 짧은 발이소요일수를 보인 품종은 6개, 녹색에서는 3개, 청색에서는 2개였다. 자실체의 길이는 생육 시 조사한 LED 조명색에 따라 녹색(66.4 mm) > 자색(51.8 mm) > 청색 (46.8 mm)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시장에서 요구하는 형질을 갖춘 버섯을 생산하는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한다.

Two new species of Trichoderma isolated from commercially grow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ral)

  • Park, Myung-Soo;Seo, Geon-Sik;Bae, Kyung-Sook;Yu, Seung-Hun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7.1-127
    • /
    • 2003
  • We describe two new Trichoderma species associated with oyster mushroom in Korea. Trichoderma green mould has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of oyster mushroom in Korea. Of these the predominant species are two unrecorded species. We designed as Trichoderma sp. Korean type 1 (Th K1) and Trichoderma sp. Korean type 2 (Th K2), respectively. Th K1 and Th K2 can be distinguished from previously reported Trichoderma species as well as each other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rate at 35$^{\circ}C$, colony morphology, conidia shape and branch pattern of phialides. Sequence of the ITS region of rDNA, the protein coding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gene(EF-1${\alpha}$), and RNA polymeraseII (RPB2) not only clearly separated Trichoderma sp. Korean types from their closely related T. harzianum biotype but also distinguished them from each other. Analyses of the EF-1${\alpha}$ and RPB2 sequences were found to be more useful for establishing systematic relationships among Trichoderma isolates than those of the ITS sequence. Based on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We propose the two Trichoderma sp. Korean types as the new spe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