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shroom bed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황산염환원균 고정화 담체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 처리 (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Using Immobilized Beads Carrying Sulfate Reducing Bacteria)

  • 김경만;허원;백환조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1호
    • /
    • pp.57-62
    • /
    • 2008
  • 휴폐광지역의 산성광산배수를 처리하기 위한 자연정화처리시설로서 소택지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택지의 기질물질로서는 흔히 석회석, 참나무조각, 버섯퇴비 등이 벌크형태로 적용된다. 이러한 소택지의 정화효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저하되며, 특히 산성배수와의 화학반응에 의한 기질물질 층의 투수계수 감소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성광산배수 처리시설에서 황산염환원균(SRB) 고정화 담체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화담체는 유기물질인 버섯퇴비와 참나무 퇴비, pH 완충제인 석회석가루 등을 토양미생물을 접종한 m-CSB와 혼합하여 제작하였다. 본 실험에서 고정화담체는 벌크형태에 비하여 pH, 황산염제거율 및 중금속 제거율에서 효율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나무류 소경재 활용용도에 따른 수익성 분석 (Profit Analysis in Using Small Diameter Log of Quercus species)

  • 이재근;김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49-5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참나무류 소경재의 활용용도별 수익성을 순수익(률)과 순소득(률)을 적용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참나무류 소경재의 활용용도는 표고버섯용 자목, 상황버섯용 자목, 톱밥, 숯, 펄프용 칩으로 하였다. 비용과 수입에 관한 정보 수집은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상황버섯용 자목으로 활용되었을 때 수익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표고버섯용 자목, 톱밥, 칩, 숯으로 나타났다. 상황버섯용 자목으로 활용되었을 때 수익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높은 자본용역비와 생산 기술을 요구함에 따라 시장 경쟁이 아직은 높지 않아 상황버섯의 가격이 높기 때문이다. 자본회수 기간이 긴 표고버섯용 자목과 상황버섯용 자목으로 활용되었을 때의 수익성이 자본회수 기간이 짧은 톱밥, 숯, 칩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Experimental design approach for ultra-fast nickel removal by novel bio-nanocomposite material

  • Ince, Olcay K.;Aydogdu, Burcu;Alp, Hevidar;Ince, Muharrem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77-90
    • /
    • 2021
  • In the present study, novel chitosan coated magnetic magnetite (Fe3O4) nanoparticles were successfully biosynthesized from mushroom, Agaricus campestris, extract. The obtained bio-nanocomposite material was used to investigate ultra-fast and highly efficient for removal of Ni2+ ions in a fixed-bed column. Chitosan was treated as polyelectrolyte complex with Fe3O4 nanoparticles and a Fungal Bio-Nanocomposite Material (FBNM) was derived. The FBNM was characterized by using X-Ray Diffractometer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EM-EDS),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a (FTIR)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echniques and under varied experimental conditions. The influence of some important operating conditions including pH, flow rate and initial Ni2+ concentration on the uptake of Ni2+ solution was also optimized using a synthetic water sample. A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combined with Response Surface Modeling (RSM) was carried out to maximize Ni2+ removal using FBNM for adsorption process. A regression model was derived using CCD to predict the response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lack of fit test was used to check model adequacy. It was observed that the quadratic model, which was controlled and proposed, was originated from experimental design data. The FBNM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determined as 59.8 mg g-1. Finally, developed method was applied to soft drinks to determine Ni2+ levels. Reusability of FBNM was tested, and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apacities were not affected after eight cycles. The paper suggests that the FBNM is a promising recyclable nanoadsorbent for the removal of Ni2+ from various soft drinks.

Tunnel System에 의(依)한 양송이 합성배지(合威培地) 발효(醱酵) 및 자실체(子寶體) 생산(生産)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Fermentation of Compost and Mushroom Production of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in the Tunnel System)

  • 박정식;신관철;김광포;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7-122
    • /
    • 1981
  • 본연구(本硏究)는 노동비(勞動費), 광열비(光熱費)의 다량(多量) 소모(消耗)와 높은 생산비투여(生産費投與)를 요비(要求)하는 한국(韓國)의 단순재배체계(單純栽培體系)를 개선(改善)할 수 있는 방법(方法)으로서 tunnel system을 개발실용화(開發實用化)하기 위(爲)하여 실시(實施)하였다. 1. Tunnel system은 후발효(後醱酵) 중(中)의 배지(培地) 및 공기온도(空氣溫度)를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정확(正確)히 조절(調節)하므로 배지(培地)와 공기온도(空氣溫度)의 편차(偏差)를 $2^{\circ}C$ 이내(以內)로 좁힐 수 있었다. 2. Tunnel system은 후발효시(後醱酵時) 가온(加溫)없이 퇴비자체열(堆肥自體熱)을 이용(利用)할 수 있었으므로 고압(高壓)스팀 보이라 사용(使用)으로 인(因)한 다량(多量)의 연료투입(燃料投入)이 불필요(不必要)하였다. 3. Tunnel 후발효시(後醱酵時) 퇴비(堆肥)의 전실소(全室素) 및 수분함량(水分含量)은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높았고, 배지(培地)의 암모니아 태실소(態室素) 잔류량(殘留量) 은 300ppm 이하(以下)로 양질(良質)의 배지(培地)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다. 4. Tunnel system으로 제조(製造)한 퇴비배지(堆肥培地)에 균사(菌絲)를 배양(培養)할 때 관행방법(慣行方法)과 차이(差異)가 없었고 균사생장(菌絲生長) 중(中) 가온(加溫)이 불필요(不必要)하였다. 5. 자실체수량(子責體收量) 및 개체중(個體重)은 tunnel system이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높아서 본(本) 방법(方法)은 한국(韓國)에서 채용(採用)할 수 있는 재배체계(栽培體系)임이 입증(立證)되었다.

  • PDF

병원 급식시설의 미생물적 품질관리를 위한 위험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Applying HACCP for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 곽동경;주세영;이송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3-135
    • /
    • 1992
  • Time and temperature conditions, and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six categories of menu items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ood product Row in a 500 bed general hospital. The Har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was applied to determine harzards, to assess their severity and risks, and to identity CCPs and memos for monitoring mem. The Critical Control Points identified for each category of menu items were: Meat Soup (Kyung Sang Do Gogi Guk): Pre-preparation, holding after pre-preration, and holding after cooking; Pot Stewed Stuffed Cabbage (Soe Yangbaechu Mali Chim): pre-preparation, holding after Pre-preparation, stuffing, cooking and holding after cooking; Boned Pork Sour Salad (Doeji Suyuk Muchim): Pre-preparation, holding after pre-preparation, and post-preparation after cooking; Sauteed Pork Ball (Jeyuk Wanja Jon): pre-preparation, holding after pre-preparation, shaping, and holding after cooking; Stir-fried Fragrant Mushroom (Pyogo Bosot Bokkum): basic ingredients, Pre-preparation, holding after pre-preparation, and holding after cooking; and Fried Corn with Vegetables (Oksusu Yachae Tuigim): pre-preparation, holding after pre-preparation, mixing, and holding after cooking.

  • PDF

영지버섯 다수확 생산을 위한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high yield in the production of Ganoderma lucidum)

  • 김홍규;김용균;서관석;오세현;김홍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54-158
    • /
    • 2005
  • 참나무 톱밥에 3가지 첨가제 즉 미강, 밀기울, 콩비지가 부피 비율로 10, 20, 30% 첨가되었다. 다수확은 미강과 밀기울 20% 첨가시 그리고 콩비지 30% 첨가시 좋았다. 다양한 톱밥 재료 중 참나무 톱밥 단용 처리가 좋았고, 균배양 일수는 22일, 초발이 소요일수 11일, $1,200m{\ell}$ 병당 수량은 23.5g 수확되었다. 병의 크기에 따른 잡균 발생율은 $1,200m{\ell}$ 병이 5%로 가장 낮았다. 병 크기에 따른 생육특성에 있어, $1,600m{\ell}$ 병 재배시 초발이소요일수 13~15일, 자실체 생육일수 36~37일이고, 병당 수량은 26.7~29.3g이었다. 단위 면적당 최고의 수량은 평당 218병을 재배할 수 있는 수평식 균상에서 6.4kg으로 가장 높았다. 영지는 수평식 균상에서 $1,600m{\ell}$ 병재배시 갓의 수가 적고, 수량이 높아 가장 경제적이었다.

  • PDF

전남 지방에 있어서의 양송이 재배에 최적한 환경조건 조절법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trolling Mechaniqu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ushroom Growing House in Chonnam Province)

  • 정병재;이은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32-34
    • /
    • 1974
  • 본 논문은 1968년 과학기술처 Trust Fund에 의하여 실시된 연구로서 전남 지방에 있어서 최적합한 양송이 재배사를 구명하기 위하여 이미 구미에서 연구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의 기후적 조건과 경제적 조건을 고찰한 자연공기 순환법을 적용, 양송이 재배에 최적한 환경 조건과 이의 조절법을 구명코저 시상식재배사와 지하실에 구축한 태양열을 이용하는 태양열식 재배사를 본실험용으로 구축하고 전자에 대하여서는 외가의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측벽구조와 천정의 구조, 환기구의 위치 및 그 환기량등에 관하여 검토하였으며 후자에 관하여는 태양열 이용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동기에 있어서의 계속적 재배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양송이 재배사의 보온에 적합한 가열 장치에 대하여서도 검토하였다. 1. 실험용 지상식 양송이 재배사의 효과에 관하여는 이미 실험결과 및 그 분석에서 지적된 바 있거니와 그 측벽 및 천정의 구조는 재배사를 외계의 기상조건에서 격리하는데 충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2. 반지하실에 구축한 실험용 태양식 양송이 재배사의 효과에 관하여는 실험결과 및 그 분석에 지적한 바와 같거니와 태양열을 이용하는데 있어 충분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이것을 농가에 적용하기 위하여는 다음과 같은 제점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즉 (1) 태양식의 지붕과 천정은 실험용 지상식재배사의 그것과 동일히 하고, (2) 태양열 수열 장치는 적당히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3. 본 실험 연구에서 실시한 각조의 환기법중 GE-CV 및 VS-CV 환기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본다. 4. 측벽수치 및 지중 환기장치는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농가용 양송이재배사의 자연환기법으로 실용적 가치가 충분하다. 그것은 이들 환기장치는 그 환기로를 통하여 사내에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인공적으로 가열이나 또는 냉각하지 않고 사내 온도에 접근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 외온을 $X^{\circ}C$로 할때 각종 환기로에 의하여 흡수되는 온도 $Y^{\circ}C$를 X의 함수로 하는 실험식은 다음과 같이 회귀직선으로 표시된다. GP$\cdots$Y=0.9X-12.8 GE$\cdots$Y=0.96X-15.11 VS$\cdots$Y=0.94X-17.57 5. 재배사내에 유입되는 공기 및 사외로 배출되는 공기에 관한 실험식은 다음과 같이 회귀직선 및 지수곡선으로 표시된다. 5.1 배출속도 Ycm/sec.를 유입속도 Xcm/sec.의 함수로 하는 회귀직선식 GE-CV(50%)법$\cdots$Y=1.0X-1.65 GE-CV(100%)법$\cdots$Y=0.42X+2.03 VS-CV(100%)법$\cdots$Y=0.85X+0.96 5.2 배출량 $Ym^3$/hr.를 유출량${\times}m^3$/hr.의 함수로 하는 회귀직선식 GE-CV(50%)법$\cdots$Y=2.59X-10.88 GE-CV(100%)법$\cdots$Y=2.16X+26.53 5.3 상면 공기이동 속도 Ym/sec.를 배출공기 속도${\times}m$/sec.의 함수로 하는 회귀직선식 GE-CV(50%)법$\cdots$Y=0.5X+0.84 5.4 $CO_2$ 축적량 Y(%)를 상면공기이동속도 cm/sec.의 함수로 하는 회귀직선식 GE-CV(50%)$\cdots$Y=114.53-6.42X 5.5 $CO_2$ 축적량Y(%)를 배출공기량 $m^3$/hr.의 함수로 하는 지수곡선식 GE-CV(50%)$\cdots$Y=$127.18{\times}1.0093^{-x}$ 5.6 Natural ventilation system에 있어서 양송이 생육에 적합한 환경적조건을 마련하기 위한 환기구의 단면적은 재배사 전용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비율로할 수 있다. GE(지중유입 환기구 단면적)$\cdots$0.3-0.5%(요조절) CV(천정배출 환기구 단면적)$\cdots$0.8-1.0% (요조절) 6. 본 연구에서 실험한 각종의 가열장치중 무압증기수 보이라도 사요할 수 있는 온수 보이라가 농가용 양송이재배사 가열장치로서, 그 효과면에 있어서나 또는 그 가격면에 있어서 최적합다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 PDF

흑타리버섯 추출물의 벼 키다리병에 대한 종자소독 효과 (Seed Disinfectant Effect of Pleurotus ostreatus (Heuktari) Extract on Fusarium fujikuroi Nirenberg)

  • 오태석;박윤진;김성민;신동일;김창호;조용구;장명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1-7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흑타리버섯을 물,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등으로 추출하였다. 각 유기용매를 이용한 흑타리버섯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1차적으로 평판 확산방법을 사용하여 항균력을 검증하였다. 부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확인하였고, 1%, 2.5%, 5%, 7.5%, 10% 농도로 항균력을 확인하였을 때도 부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실제 포장실험에서도 가능성을 확인하여 온실에서 F. fujikuroi Nirenberg의 억제력을 확인해본 결과 흑타리버섯 부탄올 추출물을 7.5% 첨가하였을 때 .80%의 높은 억제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기의 발아력과 파종 후 30일 경과 후에 확인한 초기 생육특성에서도 흑타리버섯 추출물의 5% 이상에서는 방제에 효과가 높았으며 7.5% 이상 시에는 초장 및 묘소질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차가 없는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흑타리버섯 추출물은 벼 키다리병에 대하여 높은 방제효과가 있으며 향후에는 친환경 종자소독제로써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나무 톱밥배지의 살균 및 배양온도가 표고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rilization and Cultivation Temperatures of Oak Sawdust Medium on Lentinula edodes Hyphal Growth)

  • 구창덕;이화용;이귀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77-82
    • /
    • 2012
  • 표고를 재배하기 위하여 톱밥배지를 $65^{\circ}C$로 저온살균하는 과정은 살균시설비용이 적게들고 배지성분도 보전되는 장점이 있으나, 오염 확률이 높아서 효과는 일정하지가 않았다. 본 연구는 참나무 톱밥배지의 저온살균 후 성공률이 높은 효과적인 배양조건을 알고자 하였다. 참나무톱밥배지를 $65^{\circ}C$, $100^{\circ}C$, $121^{\circ}C$로 살균한 후, 표고톱밥종균을 접종하고 $15^{\circ}C$, $20^{\circ}C$, $25^{\circ}C$, $30^{\circ}C$에서 배양하거나, 표고종균의 접종간격을 1 cm, 2 cm, 4 cm(표면적 비율은 4%, 11%, 25%)로 하여 표고균사의 생장과 배지의 오염정도를 비교하였다. 저온살균된 배지에서 표고균사생장은 배양온도 $25^{\circ}C$ 이하에서는 $100^{\circ}C$$121^{\circ}C$ 살균된 배지에서 처럼 양호하였으나, $30^{\circ}C$ 배양에서는 표고균사생장이 크게 위축되었다. 그리고 저온살균배지에서 표고종균 접종밀도를 1 cm 간격으로 하였을 때에는 배지가 표고균사로 완전점유되었으나, 2~4cm 간격 접종밀도에서는 14~33%의 배지가 오염되었다. 따라서 저온살균배지는 $25^{\circ}C$ 이하에서 25% 이상의 충분한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것이 성공적이라고 결론짓는다.

표고원목해충인 털두꺼비하늘소에 대한 Benfuracarb와 ${\lambda}$-Cyhalothrin의 방제효과 (Control effects of benfuracarb and ${\lambda}$-cyhalothrin to oak longicorn beetle, Moechotypa diphysis, infesting the oak mushroom bed logs)

  • 유정수;이상길;박지두;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7-49
    • /
    • 2001
  • 본 연구는 표고원목 해충인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의 성충에 대한 benfuracarb와 ${\lambda}$-cyhalothrin의 표고원목 약제 처리시 잔효성과 방제효과 및 실내에서 이들 약제의 표고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잔효성 시험결과 benfuracarb가 15일째까지${\lambda}$-cyhalothrin은 20일째까지 90%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방제시험에서도 두 약제 모두 100%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약제는 표고균사 생장에 미치는 영향도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benfuracarb와 ${\lambda}$-cyhalothrin은 털두꺼비하늘소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