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raenesox cinereu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연안산 어류의 미네랄 함량 및 영양평가 (Mineral Content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Fishes from the Korean Coast)

  • 목종수;이두석;윤호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15-323
    • /
    • 2008
  • To measure the mineral content of fishes, we collected 177 individuals from 53 fish species from the east (Pohang), west (Gunsan), and south (Tongyeong) coasts of Korea. The mean content of the macro mineral in a 100 g sample taken from the edible portion of each fish was (in descending order): P(207.4 mg), K(169.7 mg), Na(101.6 mg), Ca(44.4 mg), and Mg(30.4 mg). In comparison, the mean content of micro mineral in the fishes was (in descending order): Zn ($8.98{\mu}g/g$), Fe ($5.03{\mu}g/g$), Cu ($0.76{\mu}g/g$), Mn ($0.43{\mu}g/g$), and Ni ($0.08{\mu}g/g$). We could not observe clear regional variation in the mineral content of fish species. With regard to minerals considered essential for humans, the amount of Ca per sample (100 g) was the highest in the Scyliorhinus torazame (465.4 mg), and than followed by Ammodytes personatus (338.0 mg), Dasyatis akajei (267.4 mg), Raja kenojei (248.1 mg), Conger myriaster (174.1 mg), Clupanodon punctatus (86.8 mg), Muraenesox cinereus (81.2 mg), and Engraulis japonica (70.4 mg). The daily average intake of the mineral through the fishes consisted of P (100.6 mg), K (82.3 mg), Na (49.3 mg), Mg (14.8 mg), Zn (0.44 mg), Fe (0.24 mg), Cu (0.04 mg) and Mn (0.02 mg). The respective intakes of macro mineral (P, Mg, Na, Ca, K) from the fishes were about 14.4, 4.2, 3.3, 3.1 and 1.8% of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set by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In comparison, the respective intakes of micro mineral (Cu, Zn, Fe, Mn) from the fishes were about 4.6, 4.4, 2.4, and 0.6% of the KDRIs.

한국 연안산 수산물의 일반성분 조성 및 영양평가 (Proximate Composition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Fisheries Products from the Korean Coast)

  • 목종수;이두석;윤호동;박희연;김연계;위종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259-268
    • /
    • 2007
  • To measure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fisheries products and to evaluate their nutritional value, we collected individuals from 101 species from the east (Pohang), west (Gunsan), and south (Tongyeong) coasts of Korea: 51 fish species, 32 species of molluscan shellfish (Gastropoda and Bivalvia), 6 species of Cephalopoda, 8 species of Crustacea, and 4 other species.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fish was $75.3{\pm}5.0%\;moisture,\;19.1{\pm}2.7%\;protein,\;3.8{\pm}4.1%\;lipids,\;0.4{\pm}0.3%$ carbohydrates, and $1.4{\pm}0.3%$ ash.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molluscan shellfish was $79.1{\pm}3.2%\;moisture,\;14.2{\pm}3.2%\;protein,\;0.7{\pm}0.6%\;lipids,\;3.9{\pm}1.9%$ carbohydrates, and $2.1{\pm}0.4%$ ash. We observed clear regional variation in the lipid content of some fish species. Specifically, the lipid content of gizzard shad (Clupanodon punctatus) was highest in the autumn, while the lipid contents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and purple pike conger (Muraenesox cinereus) were highest in the winter. The daily average intake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through fisheries products consisted of 11.7 g of protein, 1.9 g of lipids, 1.1 g of carbohydrates, and 1.1 g of ash. The respective intakes of protein, lipids, and carbohydrates from fisheries products were about 19.3, 3.6, and 0.3% of the nutrient reference values set by the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Therefore, fisheries products playa very important role as a source of protein.

갯장어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tein Hydrolysate from Sharp Toothed Eel (Muraenesox cinereus))

  • 조혜영;안창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7-104
    • /
    • 2002
  • 갯장어를 이용한 부가가치 높은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분말형태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말제품의 정미성 및 소화성을 높이고 분말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말화하기 전에 원료윽의 효소가수분해를 검토한 결과 상업용 효소인 Flavourzyme MG^{GM}가 관능적으로 쓴맛이 적고 정미성 또한 어느 정도 향상되어 가장 적절한 효소로 판명되었고, 사용농도는 원료 단백질 함량의 $2\%$ (w/w)로 하고, 원료에 대해 동량의 물을 가하여 마쇄한 다음 $50^{\circ}C$에서 6시간 처리하는 것이 좋았다. 가수분해 후 저장 중 제품의 품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지를 제거하기 위해 n-hexane을 처리한 결과 효과가 있었고, 처리방법으로는 가수분해액즙에 대해 n-hexane을 4:1 (가수분해액즙:n-hexane)의 비율로 첨가하여 진탕하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는 식으로 5회 반복하는 방법이 좋았다. 그 결과 분말상태의 제품의 유지함량을 $1\%$ 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 분말제품의 총아미노산 조성은 원료육의 것과 비교해 거의 차이가 없었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Iysine, leucine, glycine 및 arginine 둥의 아미노산이 풍부했다. 유리아미노산은 가수분해로 인해 약 3배로 증가하였고, serine, glutamic acid, alanine 및 methionine과 같은 umami를 내는 아미노산도 역시 증가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소수성 아미노산인 methionine의 증가가 뚜렷했다. (약 40배). 분말제품에 있어서 양적으로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소수성 아미노산인 leuc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isoleu-cine 등이었으며, 이중 alanine을 제외하고 모두 필수아미노산이며 이들 5종의 아미노산이 전체의 약 반 ($48.96\%$)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단백질 이용율은 2.35$\~$2.87로 원료육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갯장어 분말제품의 수분흡수력과 지방흡수력은 각각 870.1 $\pm$$7.9\%$ 및 352.0$\pm$$5.3\%$로 높은 편이었으며, 유화성은 50.3$\pm$$1.2\%$였으나 유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고흥 연안 저서 어족자원의 어획실태 (Catch state of demersal fish resources at the coastal waters off Goheung)

  • 황인호;김대안;장덕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4호
    • /
    • pp.248-26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e of demersal fish resource catch by small trawlers, which live in the southern waters off Goheung. W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catch of sample fishing vessels, and performed fishing experiments using the actual fishing operation vessels from early November in 2002 till end of October in 2003. The daily amount of catch per vessel of the 35 small trawlers selected as sample vessels was the highest in summer seasons(June and July) as 70kg and the lowest in winter seasons(January and February) as 45kg and Octopus minor occupied as 17 to 30kg nearly 30% of the total catch. Additionally the catch of Octopus minor per vessel, per dragging hour ranges 3 to 6kg, which is the highest in March and June and the low in January to February, April to May and September. In the fishing experiments using small trawler,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75 fish species were collected. The number of individuals by species consisted 58.2% in Shrimps, 17.8% in Fish, 2.3% in Cephalopod. Of these, Parapenaeopsis tenella was the highest in 29.2%, Squilla oratoria and Crangon hakodatel was 14.6% respectively and Octopus minor was 0.2%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s far as the appearance number of individuals by month was concerned, February was the highest and then May, April and June followed in order, and October showed the lowest. Additionally the monthly catch per dragging was the lowest in December to January as 20kg and the highest in July as 160kg. Specially, Octopus minor was caught throughout the year regardless of season and the catch was the highest at the period from March to June. When looking into the body mean length of dominant fishes caught, we could observe the followings; Trachurus japonicus 8.9cm, Cynoglossus robustus 10.8cm, Muraenesox cinereus 15.3cm, Setipinna taty 10.3cm, Amblchaeturichfhys hexanema 9.3 cm and Collichthys niveatus 8.9cm, most of which were in their immaturity when they were caught.

2006 남해안 해역별 어류의 출현 종 및 양적변동 (Species and Abundance Variation of Fish by a Gill Net in Coastal Waters of Southern Sea, Korea, 2006)

  • 차병열;김대권;서성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0-224
    • /
    • 2007
  • 조사기간 동안 남해안 4개 해역에서 자망에 의한 어류의 총 어획량은 577,422.9 g, 어획종수는 총 68종이었다. 전체 어획 종에서 양태가 차지하는 어획량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숭어, 개서대 그리고 보구치의 순이었다. 상대서식량 지수 면에서는 양태, 보구치, 개서대 그리고 숭어가 전체의 63.1%를 점유하였다. 해역별에서는 경남 통영 도남해역이 어획량과 어획종수에서 53,148.8 g, 18종 그리고 우점종은 문치가자미, 양태, 쥐노래미 등이었고, 전남 여수 계동해역이 123,926.9 g, 44종의 어획량과 어획종수 그리고 우점종은 양태, 갯장어, 문치가자미 등이었으며, 전남 장흥 수문해역에서 228,920.9 g, 28종의 어획량과 어획종수, 우점종은 숭어, 양태, 개서대 그리고 전남 진도 모도해역에서는 어획량과 어획종수가 171,426.3 g, 32종 그리고 우점종은 양태, 보구치, 개서대이었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 남해안의 어류군집은 어획량과 어획종수 그리고 어획 종들에서 해역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해안 해역별 해양환경 조건과 생산성 그리고 어종별 생태습성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남해안 연안의 어류는 수온이 상승하고, 염분값이 낮아지는 봄철이후에 점차 증가하는 경향에 있었다.

광양만 및 섬진강 하구에서 채집된 어류의 공간적 군집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Fish Assemblage in Seomjin River Estuary and Gwangyang Bay)

  • 김용준;유태식;지창우;곽인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5-293
    • /
    • 2023
  • 섬진강 하구와 광양만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대규모 둑이 없는 자연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생태학 및 경제학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위치에 있다. 또한, 다양한 어류의 주요 서식처로 알려져 있는 해역이다. 어류 군집에 대한 정보는 환경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지표군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2021년 5월과 9월에 총 8지점 섬진강 하구 (ES1~ES3)와 광양만 (ES4~ES8)에 출현하는 어종을 파악하고 어류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2강 14목 42과 68속 78종, 5,111개체가 채집되었다. 조사기간 내 채집된 우점종으로는 보구치가 2,370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상대 풍부도 (Relative abundance)는 46.4%로 나타났다. 아우점종은 주둥치가 1,643개체가 채집되어 상대 풍부도 32.1%가 나타났다. 어류 군집은 Bray-Curtis 유사도에 따라 총 3개의 그룹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기수역, 연안의 내측과 외측으로 나누어졌다. 1그룹은 주로 담수역 지점과 기수역에서 서식하는 어류가 주로 채집되었으며, 3그룹에서는 연안에 서식하는 어류들만 채집되었다. ANOSIM (Analysis of similarity) 분석을 진행한 결과, Group 2와 Group 3 사이에서 가장 큰 유의한 차이 (ANOSIM R=0.783, p=0.001)가 나타났고, 두 그룹에 기여하는 종은 보구치와 갯장어였다.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부터 연안 외측까지 공간에 따른 어류 군집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에 따라 변화하는 주요종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제시하며, 경제성이 높은 어종의 보호와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