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mm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4초

콩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과 이의 중기생벌에 관한 연구 (Primary Parasitoids and Hyperparasitoids of the Soybean Aphid, Aphis glyciner (Homoptera: Aphididae))

  • 장영덕;이재영;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1-55
    • /
    • 1994
  • 1987년 5월부터 9월 사이에 대전근교의 콩에 기생하고 있는 콩진딧물에서 진디벌에 기생당한 mu-mmy를 채집하여 진디벌과 중기생벌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딧물의 진디벌에 대한 기생율,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기주선택, mummy형성수와 형성 비율, 주요 진디벌과 중기생벌 종의 수명 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77개의 채집된 진딧물 mummy 중 진디벌은 27.1%m 중기생벌은 50.3%였다. Aphidius cingulatus, Ephedrus persicae, E. plagiator가 콩진딧물에 기생하고 있는 진디벌의 주요 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진디벌에 기생하고 있는 중기생벌들 중에 A. vulgaris, A. convexa가 우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기생벌중 Charios brasicae는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E.plagiator가 다른 콩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에 비해 중기생벌에 적게 기생되었다. 기생능력은 A. cingulatus 보다 E. plagiator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수명은 중기생벌이 3일~29일, 진디벌은 1일~4일로 추정되었다.

  • PDF

조선시대 회곽 묘 출토 염습의에 부착된 회백색 물질의 동정 (Identification of Greyish White Material Adhered to Shrouds from Tombs Covered with Lime of the Chosun Dynasty)

  • 오준석;유혜선;윤은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21-26
    • /
    • 2004
  • 회곽의 구조를 가진 충청북도 보은의 유인서 부처 묘와 옥천의 무연고 분묘에서 출토된 수침 복식에 부착되어 있는 회백색 오염물질에 대한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미라의 회백색 물질과 동일 성분인 지방산의 칼슘염이 주성분이며 지방산, 지방, 단백질이 소량 함유된, 사체의 지방이 분해되어 생성된 시랍으로 판명되었다. 또 시랍의 주성분이 지방산의 칼습염인 것은 사체의 뼈나 회곽의 성분인 석회와의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산 분석을 통해 사체의 시랍에서 볼 수 있는 10-Hydroxyhexadecanoic acid 및 10-Hydroxyoctadecanoic acid가 확인되었고 지방산의 함량 분포패턴도 Palmitic acid와 같은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높고, Oleic acid와 같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낮은 시랍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옥천과 보은에서 출토된 복식 표면의 회백색 물질은 미라로부터 이동된 시랍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loose farrowing facilitie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primiparous sows

  • Choi, Yohan;Min, Yejin;Kim, Younghwa;Jeong, Yongdae;Kim, Doowan;Kim, Joeun;Jung, Hyunj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2호
    • /
    • pp.218-226
    • /
    • 202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oose farrowing type during gestation and after farrowing on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of lactating sows. A total of 22 primiparous sows (Landrace; average initial body weights [BW], 228.54 ± 12.79 kg) were allotted to one of two treatments on the basis of body weight. Sows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conventional farrowing crates (CON), and loosed-farrowing pens (LFP). The experiment duration was around 38 days ranging from 10 days before parturition to 28 days after parturition. Gestating sows at the age of 105 d were placed in gestational stalls (group housing). All the sows were fed a common diet according to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requirements for lactation. Cross-fostering was performed within 1 day of parturition. From 1 day after weaning, estrus detection was performed twice-daily (0900 and 1730 h) for 10 min by boar exposure.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LFP housing type on the farrowing duration, and farrowing interval. At the farrowing time, none of the litter parameters including total born, stillborn, mummy, born alive piglets and total litter weight and piglet weight were affected. There were no effects of housing type on the mortality of piglets at d 1, 3, 7, 21, and 28.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no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the crated or LFP sows, which indicate that the LFP housing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crated house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in reproduction performance of lactating sows.

경기도 박물관 소장 상복에 대한 보존처리 (The Conservation of the Mourning Clothes from the Kyonggi Provincial Museum)

  • 배상경
    • 보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4-59
    • /
    • 1998
  • 경기도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상복의 용도를 의복의 형태와 FT-IR 분광법에 의한 비섬유질 추출물의 분석으로 조사하였으며, 상복에 사용된 섬유의 감별을 위해서 현미경법, 용해법, 정색법을 적용하였다. 음이온계 세제인 LAS 계 세제를 사용하여 습식세척 후,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섬유표면에서의 세척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의복의 형태와 비섬유질추출성분 분석 결과 수의가 아니라 상복임이 확인되었다. 비섬유질 추출성분들은 탄화수소계, 알킬 알콜, 알데히드로 수의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지방산과 질소화합물들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섬유 감별 결과 섬유의 종류는 삼베였다. 세척후의 섬유 표면이 세척 이전의 섬유표면에 비해서 매끄럽고 이물질의 부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세척 효과는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Infection Status of Endoparasites in Foreigner Workers Living in Cheonan City, Chungnam Province, Korea

  • Jung, Suk-Yul;Ahn, Mi-Jung;Oh, Joo-Yeon;Nam, Hae-Seon;Hong, Sung-Tae;Yun, Yeon-Han;Seo, M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243-246
    • /
    • 2015
  • At present, more than 500,000 foreigner workers, most of them from Asian countries with high parasitic infection rates, are working in Korea. Since investigation into the prevalence of parasitic infections in foreigner workers has not yet been conducted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arasitic infection status of foreigner workers living in Cheonan City, Chungcheongnam-do (Chungnam Province) and to plan, on that basis, effective control measur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3, the parasitic infection status of 231 foreigner workers employed at selected Cheonan-si small businesses was investigated by both stool examination and ELISA. A total of 60 individuals (26.0%)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parasites. The stool examination detected 14 positive cases (6.1%), and ELISA revealed 50 positive people (21.6%), for at least a kind of parasitic disease. The most common infection was cysticercosis (8.7%), followed by toxocariasis (7.8%) and clonorchiasis (7.4%). Since it was proved that parasitic infections were prevalent among foreigner workers living in Cheonan City, more comprehensive study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ionwide status of parasitic infections in foreigner workers.

Detection Trend of Helminth Eggs in the Strata Soil Samples from Ancient Historic Places of Korea

  • Seo, Min;Chai, Jong-Yil;Kim, Myeung Ju;Shim, Sang Yuk;Ki, Ho Chul;Shin, Dong H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555-563
    • /
    • 2016
  • For several years, we have conducted a series of studies on the patterns of ancient parasitism prevailing in the soil of rural and urban areas of past Kingdom of Korea. Actually, during our survey of paleoparasitology in archaeological sites of Korean peninsula, numerous ancient parasite eggs were discovered in the samples from the city districts of Hansung (Joseon) and Buyeo (Baikje), the palace moat at Gyeongju (Silla), shell-midden site at Bonghwang-dong (Silla to Joseon), and the reservoir found in Hwawangsansung fortress (Silla). By the paleoparasitological studies, with respect to parasitism in the high-density populations of ancient towns and cities, we have managed to catch glimpses of the patterns prevalent therein: a serious parasitic contamination of the soil in ancient urban areas, but not in rural areas of the past. Our historical research also proposed the plausible mechanism of parasite infection very serious indeed among urban populations in Korean history. Although city dwelling doubtless has accrued significant benefits for people and populations with agriculture, it can be equally supposed that living in such highly populated areas might have facilitated the spread of parasite infection.

싸리진디벌을 이용한 하우스고추에서 발생하는 진딧물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Aphids on Pepper in Greenhouses Using Aphidius gifuensis)

  • 장영덕;전흥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1호
    • /
    • pp.11-19
    • /
    • 2003
  • 싸리진디벌 발육은 $25^{\circ}C$$30^{\circ}C$에서 각각 평균일수 11.9일과 12.1일로 가장 우수하였다. 그리고 싸리진디벌 성비는 암컷의 발생비율이 높은 $20{\sim}25^{\circ}C$가 가장 사육에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화는 $10^{\circ}C$에서 58.8%, $15^{\circ}C$에서 88.1%, $20^{\circ}C$에서 99.1%, $25^{\circ}C$에서 98.2%로서 우화에 가장 적당한 온도는 $20{\sim}25^{\circ}C$였다. 싸리진디벌 성충의 활동력은 온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복숭아혹진딧물 무시약충의 발육기간은 온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시설내 고추에 발생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복숭아혹진딧물이 6.1~1024.4마리로서 가장 많은 발생밀도를 보였으며, 담배나방은 3.3~53.3%의 피해과율을 나타내었다. 싸리진디벌 방사구는 2000년 6월과 7월에 각각 진딧물 173.5마리, 1.8마리, 머미 10개, 17개, 2001년 5월과 6월에 진딧물 7.5마리, 27.1마리, 머미 0.4개, 2.1개로서 무처리구보다는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약처리구와는 방제 효과에서 차이가 없었다.

  • PDF

Production and Breeding of Transgenic Cloned Pigs Expressing Human CD73

  • Lee, Seung-Chan;Lee, Haesun;Oh, Keon Bong;Hwang, In-Sul;Yang, Hyeon;Park, Mi-Ryung;Ock, Sun-A;Woo, Jae-Seok;Im, Gi-Sun;Hwang, Seongso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2호
    • /
    • pp.157-165
    • /
    • 2017
  • One of the reasons to causing blood coagulation in the tissue of xenografted organs was known to incompatibility of the blood coagulation and anti-coagulation regulatory system between TG pigs and primates. Thus, overexpression of human CD73 (hCD73) in the pig endothelial cells is considered as a method to reduce coagulopathy after pig-to-non-human-primate xenotransplant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duce and breed transgenic pigs expressing hCD73 for the studies immune rejection responses and could provide a successful application of xenotransplantation. The transgenic cells were constructed an hCD73 expression vector under control porcine Icam2 promoter (pIcam2-hCD73) and established donor cell lines expressing hCD73. The numbers of transferred reconstructed embryos were $127{\pm}18.9$. The pregnancy and delivery rate of surrogates were 8/18 (44%) and 3/18 (16%). The total number of delivered cloned pigs were 10 (2 alive, 7 mummy, and 1 died after birth). Among them, three live hCD73-pigs were successfully delivered by Caesarean section, but one was dead after birth. The two hCD73 TG cloned pigs had normal reproductive ability. They mated with wild type (WT) MGH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female sows and produced totally 16 piglets. Among them, 5 piglets were identified as hCD73 TG pigs. In conclusion, we successfully generated the hCD73 transgenic cloned pigs and produced their litters by natural mating. It can be possible to use a mate for the production of multiple transgenic pigs such as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hCD46 for xenotransplantation.

큰 28 점박이무당벌레의 기생천적 (Parasitoids of Henose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schulsky) (Coleoptera: Coccinellidae) in Kyonggido area, Korea.)

  • 이장훈;;이해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8-34
    • /
    • 1988
  • 감자, 가지등 가지과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인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1983년 1986년까지, 매년 6월부터 9월까지 채집하였고, 이들을 공격하는 기생천적의 종류, 각 기생천적에 따른 기주곤충의 령기별, 월별 기샐률이 조사되었다. Nothoser plus afissae (Watanabe), (벌목:Proctotrupidae), Uga menoni(Kerich)(벌목:수중다리 좀벌과), Pedipbius foveolatus (Crawford), (벌목:좀벌과) 등 3종류의 기생천적이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 afissae는 2령~4령때 채집한 유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3령때 채집한 기주에서 가장 높은 기생률로 나타났으며, 유충때, 기생해서 번데기때 우화하는 U.mononi의 경우 3령-번데기때 채집한 기주에 기생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번데기 때 재칩한 기주에서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N.afiss와 U.mononi는 6월뷰터 9월가지 전 조사기간에 걸쳐서 기주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fissde 는 조사된 다른 기생천저등에 보다 기생률이 월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mononi의 겨우는 7월에만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P.foveolatuss는 다른 두 종류의 기생천적과는 달리 다매발생하는 것으로 남부지방에서는 8월초부터 출현하나, 경기도 지역에서는 9월초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생된 큰28점박이 유충 1개체로 부퍼 평균 13.8개체의 성충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친화성 및 비친화성균계의 혼합 및 전후접종이 벼 도열병의 병반확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ing and reciprocal inoculation with compatible and incompatible races of Pyricularia oryzae on the enlargement of disease lesions of rice blast)

  • 박서기;김기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0-306
    • /
    • 1983
  • 도열병 병저항성의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친화성균과 비친화성균을 혼합접종하였을 경우의 병반장 변화와 전후접종하였을 경우의 경시적 변화, 아울러 질소를 다식하였을 경우의 이들 변화관계를 조사하고 또한 인접부위에 전후접종하였을 경우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도 23호에 침화성이고 진흥에 비친화성을 나타내는 $C-7^+$와 이것에 완전 반대의 반응을 나타내는 N-2 Race를 여러 가지 비율로 혼합하여 Punch 접종하였을 경우 양품종 모두 비친화성균의 혼합량이 클수록 친화성균 단독접종구 보다 병반장이 감소되었고 비친화성균의 어떤 간섭작용이 인정되었다. 2. 비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일정시간후 동일부위에 친화성균을 후접종하면 비친화성균 전접종 18시간후부터 병반이 억제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Peak에 달했다. 반면 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비친화성균을 후접종 하면 친화성균 전접종 18시간 후부터 병반이 확대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Peak에 달했다. 3. 질소를 다시하면 혼합접종에서는 비친화성균의 간섭작용능력이 떨어졌다. 전후접종에 있어서는 유도시기에는 차가 없었으나 저항성유도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친화성균과 비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일정시간후 3cm 떨어진 상부 부위에 친화성균을 후접종하였을 경우 비친화성균을 전접종하면 전접종하면 48시간부터 병반장이 억제되기 시작하여 60시간에 최고로 억제되었고 친화성 균을 전접종하면 72시간부터 억제되기 시작하여 그 이후 계속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반면 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비친화성균을 후접종하였을 경우에는 경시적변화에 별 차이가 없었고 억제경향도 나타나지 않았다.10일 처리에서는 각각 561.4kg, 463.4kg인데 비하여 Carbofuran 3월 13일과 20일처리에서는 각각 1070.6kg, 1018.3kg이었고 4월 3일과 10일처리에서는 각각 963.8kg, 843.3kg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arbofuran 이른 봄철(3월 중하순) 근계주변 1회 골처리는 고자리파리의 방제효과가 높었을 뿐만 아니라 마늘의 초장, 줄기의 굵기 및 구경의 생육을 크게 촉진하여 마늘의 수량성을 높일 수 있었다.;r=-0.47^{**},\;r=0.38^*$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ysiphlebus ambiguus, Lysiphlebia japonica에 대한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이 컸었다. 7. 장난수 조사결과, Lysiphlebus ambiguus와 Lysiphlebia japonica는 각각 272개, 279개로서 차이는 없었으나 mummy형성율에 있어서는 각각 182개$(66.9\%)$, 120개$(43.0\%)$로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8. 진디벌 성충과 중기생봉 성충의 생존기간을 꿀을 먹이로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진디벌의 평균수명은 $2\~3$일인데 비하여 중기생봉은 $15.8\~21.5$일로서 중기생봉들이 훨씬 길었다.서 Y=-4.272X+155.39 (r=0.9105), (Y=전 생육기기간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일수, X=처리온도)를 얻었으며 실측치와의 오차는 $6\~10$일로 생육단계 특히 유충기와 개체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