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therapy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6초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의 다양한 암세포 및 ABCG2 과발현 내성 암세포에 대한 항 종양 효과 연구 (In vitro Anti-tumor Effect of an Engineered Vaccinia Virus in Multiple Cancer Cells and ABCG2 Expressing Drug Resistant Cancer Cells)

  • 박지혜;윤지수;허정;황태호;권상모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35-846
    • /
    • 2016
  • 항암제 내성은 화학적 치료법의 가장 큰 난관의 하나로 효과적인 항암치료를 위해서 반드시 극복 되야 할 문제이다. ABCG2는 다약제 내성과 이를 특징으로 하는 암 줄기세포와의 연관성도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 암용해 바이러스가 다양한 암종과 항암제내성을 보이는 암 치료에 새로운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암제 내성 암 치료를 위해 새로운 암용해 백시니아 바이러스 SLJ-496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cytophathic effect, plaque assay, viability assay를 통하여 야생형 바이러스에 비교하여 증가된 종양친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invitro 환경에서 대장암 세포주(HT-29, HCT-116, HCT-8)를 비롯하여 위암 세포주(AGS, NCI-N87, MKN-28), 간암 세포주(SNU-449, SNU-423, SNU-475, HepG2) 그리고 난치성 암 종인 중피 세포종(NCI-H226, NCI-H28, MSTO-211h)에서 유의적인 세포독성효능을 입증하였다. ABCG2의 발현이 높은 HT-29세포의 3차원 구형배양을 통하여 ABCG2와 암줄기세포 특성의 연관성을 증명하였으며, 항암제 내성세포 모델에서 SLJ-496GFP가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며 암세포내 복제능을 가지는 것을 입증하였다. ABCG2를 과발현 시킨 세포주 내 야생형 바이러스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세포 생존율을 증명하였으며, 바이러스의 복제능 또한 검증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항암제 투여를 통하여 ABCG2의 발현이 높은 항암제 내성 세포주에서의 항종양 효능 또한 입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ABCG2가 과발현 된 암 줄기세포 및 항암제 내성에 새로운 항종양 바이러스 SLJ-496 백시니아 바이러스 치료법이 새로운 치료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성대에어로빅치료법이 음성장애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ocal aerobic treatment on voic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 박준희;유재연;이하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69-76
    • /
    • 2019
  • 본 연구는 성대에어로빅치료법(vocal aerobic treatment, VAT)이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음성검사 상 음성장애로 진단된 20명(남 13명, 여 7명)이었다. 음향학적 평가는 CSL(computerized speech lab)의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와 VRP(Voice Range Profile)를 통해 평가하였다. 공기역학적 평가는 PAS(Phonatory Aerodynamic System)를 통해 평가하였다. MDVP를 통해 치료 전 후 기본주파수(Fo), 주파수변동률(Jitter), 진폭변동률(Shimmer), 소음대배음비(NHR)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VRP에서는 치료 전 후 주파수 범위(Fo range), 강도범위(Energy range)를 측정하였다. PAS에서는 치료 전 후 폐활량(FVC), 최대연장발성시간(PHOT), 평균호기류율(MEAF), 성문하압(MPAP), 음성효율성(AEFF)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후두스트로보스코피에서는 치료 전 후 양측 성대의 규칙성, 대칭성, 점막파동, 진폭 변화 소견을 알아보았다. 음성치료는 총체적 음성치료 접근법 중 하나인 VAT 프로그램을 환자별로 주 1회 실시하였다. 환자별 평균 치료 회기는 6.5회였다. 연구결과, MDVP에서는 Jitter, Shimmer, NHR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1, p<.05). VRP 결과, 주파수 범위에서 Hz와 Semitones이 치료 후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p<.01, p<.05). PAS 결과, FVC, PHOT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1, p<.001). 후두스트로보스코피 결과 치료 후 기능적 음성장애, 인후두역류질환, 양성성대점막질환군에서 성대소견이 정상범주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VAT 프로그램은 음성장애환자의 음향학적 공기역학적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측면에서의 음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연구에서는 동일 집단의 음성장애 환자에게 VAT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객관적인 음성 개선뿐만 아니라 주관적 음성 개선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직업적 음성사용자를 대상으로 VAT 효과에 대한 적용연구가 필요가 있다.

보상여과판을 이용한 비인강암의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계획 (Dose Planning of Forwar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for Nasopharyngeal Cancer using Compensating Filters)

  • 추성실;이상욱;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53-65
    • /
    • 2001
  • 목적 : 비인강암 환자의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보상 여과판을 이용한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방법(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 IMRT)을 계획하고 기존 3차원 입체조형치료방법과 비교하여 최적의 방사선치료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3-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으로 치료받았던 비강암환자(T4N0M0) 1예를 선택하여 치료면의 굴곡과 뼈, 공동 등 불균질 조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표적체적의 선량분포를 균일하게 만들고 주변 정상장기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차 입사선량의 강도 조절을 보상여과판으로 시행 하였다. 환자는 열변성 plastic mask로 고정시킨 후 치료조준용 CT Scan (PQ5000)을 이용하여 3 mm 간격으로 scan 하고 가상조준장치(virtual simulator)와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 컴퓨터$(ADAC-Pinnacle^3)$를 이용하여 보상여과판을 제작하였다. 각 조사면을 세분한 소조사선(beamlet)의 강도 가중치(weighting)를 계산하고 가중치에 따른 선량 감약을 보상여과판의 두께로 환산하여 판별이 쉽도록 도표화하였다. 방사선 치료성과의 기준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선량체적표(dose volume histogram : DVH)와 종양억제확율(tumor control probability : TCP)및 정상조직 손상확율(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 NTCP)의 수학적 관계식을 이용하여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 전방위 IMRT에서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내의 최소선량과 최대선량의 차이가 입체조형치료계획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며 평균선량은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약 $10\%$, 더 높았고 전체 방사선량의 $95\%$가 포함되는 체적(V95)은 비교적 양쪽 설계방법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주위 건강장기들의 DVH에서 방사선에 민감한 장기인 시신경, 측두엽, 이하선, 뇌간, 척수, 측두하악골관절 등은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많이 보호되었다. PTV의 종양제어확율은 입체조형치료계획과 강도변조치료계획에서 모두 비교적 균일하였으며 계획선량이 50 Gy에서 80 Gy로 증가함에 따라 TCP가 0.45에서 0.56으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척수, 측두하악골 관절, 뇌간, 측두엽, 이하선, 시신경교차, 시신경 등 정상장기의 손상확율은 입체조형치료계획보다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월등히 감소되었으며 특히 뇌간(brain stem)의 NTCP는 입체조형치료계획에서 보다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훨씬 적은 값(0.3에서 0.15)으로 감소되었다. 계획선량의 증가에 따른 TCP와 NTCP를 입체조형치료계획과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TCP는 공히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나 NTCP값은 선량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입체조형치료계획이 강도조절치료계획보다 월등히 증가하였다. 결론 : 보상여과판을 이용한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에서 PTV내의 선량 균일도의 개선은 없었지만 뇌간, 척수강 등 정상장기의 피폭을 줄일 수 있었다. 특히 인체표면의 굴곡이 심하거나 뼈, 동공 등으로 종양에 도달하는 방사선량분포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매우 유리한 치료방법이였다. 방사선치료성적을 평가함에 있어 DVH와 TCP, NTCP 등 수학적 척도를 이용함으로서 치료성과의 예측, 종양선량의 증가(dose escalation), 방사선수술의 지표 및 방사선치료의 질적 상황을 정량적 수치로 평가할 수 있어 방사선치료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치과위생사의 치과보존분야 직무수행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Job Performance in Operative Restoration by Dental Hygienists)

  • 조평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77-29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ntal hygienists' overall performance in operative restoration and the clinical performance in operative restoration according to dental hygienists' care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appropriate range of dental hygienists' work. Subjects of this study are 339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 and hospital nationwide, selected by their working place, career, type of clinic, and location of clinical institution. The distribution of people who responded to the survey shows that 81 belong to beginner level(less than 2 years since entering clinic), 115 intermediate level(2 to 3 years since entering clinic), 81 higher level(4 to 5 years since entering clinic) and 62 advanced level(more than 6 years since their entering clinic). In terms of the types of clinical institution, 178 belong to dental clinics and 161 belong to dental hospitals.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are focused on perception about clinical performance in operative dentistry and adequacy of the work. Operative dentistry consists of operative restoration and endodontic therapy. The operative restoration consists of 15 categories such as patient welcoming, examination and diagnosis, planning of treatment, anesthesia, control of moisture, cavity preparation, pulp protection, matrix band application, amalgam filling, resin filling, glass ionomer cement filling, abrasive strip removal, rubber dam removal, bite check and polishing, patient education, and arrangement. The reliability was Cronbach's Alpha .9453.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ses. One way ANOVA was utiliz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dental hygienists' job performance in operative restoration and their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career. When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Duncan multi comparison post hoc was done.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atient welcoming look the first place in the operative restoration. It was followed by patient education, examination and diagnosis, introducing treatment plan, resin filling, glass ionomer cement filling, amalgam filling, bite check and polishing, anesthesia, pulp protection, control of moisture, abrasive strip removal, cavity preparation, matrix band application, rubber dam removal, and anesthesia. In terms of the clinical performance by care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19 activities such as medical eraluation, oral examination, patient charting, intra oral readio graphs, firm developing fixing mounting, curing light gun, education of attention content after ope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pecific range of operative restoration for dental hygienists should be focused on providing basic data for dentists' diagnosis, alleviation of fear and aching accompanied by injection and anesthesia, data providing for dentists' decision of anesthesia degree, and maximization of control of moisture.

  • PDF

WT1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선천성 가로막 탈장이 동반되고 조기 신부전이 초래된 선천성 신증후군 1례 (Early Onset Renal Failure in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associated with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by WT1 Gene Mutation)

  • 박용준;오진원;최경민;김병길;이종인;송지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1호
    • /
    • pp.84-91
    • /
    • 2009
  • 저자들은 선천성 가로막 탈장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신생아에서 WT1 유전자 돌연변이와 범발성맥관막 경화증으로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여아는 출생 직후 선천성 가로막 탈장이 발견되어 응급 교정수술을 받았고 전신부종, 핍뇨, 단백뇨, 저알부민혈증, 고뇨소질소혈증, 고크레아티닌혈증이 지속되어 선천성 신증후군에 의한 조기 신부전으로 진단되었다. 생후 22일째부터 복막투석 시작하였으나 뇌출혈과 다기관부전으로 생후 34일째 사망하였다. 사후 신생검에서 범발성 맥관막 경화증으로 확인되었다. 염색체 검사에서 정상소견(46,XX) 보였고 사후 유전자 검사에서 Arg366Hisin WT1 과오 돌연변이를 보였다. 본 예는 선천성 신증후군에 선천성 가로막 탈장이 동반된 드문 예로 WT1 유전자의 Arg366His 과오 돌연변이가 DDS와 CDH의 발생에 병인으로 관여할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4번째 증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The Role of Radiosurgery in Patients with Brain Metastasis from Small Cell Lung Carcinoma

  • Jo, Kwang-Wook;Kong, Doo-Sik;Lim, Do-Hoon;Ahn, Yong-Chan;Nam, Do-Hyun;Lee, Jung-I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2호
    • /
    • pp.99-102
    • /
    • 2011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 of gamma knife radiosurgery (GKRS) and/or whole brain radiation therapy (WBRT) for the treatment of small cell lung carcinoma (SCLC) metastasis to the brain. Methods : From 2000 to 2010, 50 patients underwent GKRS for metastatic brain lesions originating from SCLC. Among these patients, 11 received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PCI) before the development of metastatic lesions (PCI group), and GKRS was performed as an initial treatment for newly diagnosed lesions in 12 patients who had not received PCI (primary GKRS group). In addition, GKRS was performed as a salvage treatment for progressive lesions after WBRT in 27 patients (salvage GKRS group). The medical records and imaging data of all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 The overall survival of the 50 patients was 20.8 months (range 1-53) after the diagnosis of primary tumor and 12.0 months (range 1-47) after the development of cerebral metastasis. Median survival after GKRS was 4.8 months (range 1-15) in the PCI group, 4.6 months (range 0-18) in the primary GKRS group, and 7.6 months (range 0-33) in the salvage GKRS group. Further treatment for progressive lesions after GKRS was necessary in 15 patients, after a mean interval of 3.8 months. Causes of death were systemic organ failure in 15 patients, deterioration of neurological state in 13 patients, and unknown or combined causes in 16 patients. The local control rate of the lesions treated with GKRS was 76.4% (decreased in 13 patients and stable in 16 patients at the final imaging follow-up (mean 5.60 months). Conclusion : GKRS is an effective local treatment for brain metastasis from SCLC both as an initial treatment for newly diagnosed lesions after PCI and as a salvage treatment for recurrent or progressive lesions. However, the survival benefit is not significant because most patients die of systemic multi-organ failure with a short life expectancy.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무고정틀 두개 방사선 수술 중 발생한 환자의 치료 중 움직임 분석 (An Analysis of Intra-Fractional Movement during Image-Guided Frameless Radiosurgery for Brain Tumor Using CyberKnife)

  • 강기문;채규영;정배권;하인봉;박경범;정진명;임영경;정호진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3호
    • /
    • pp.169-176
    • /
    • 2012
  • 무고정틀 두개 방사선 시술은 두개 고정틀 방식에 비해 환자 친화적이며 다중 분할 치료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환자의 움직임을 완전히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치료 중 움직임으로 인해 시술의 정확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양 추적 방식의 무고정틀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의 실제 치료 기록을 분석하여 무고정틀 방사선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사이버나이프(CyberKnife, Accuray Inc, CA)를 이용한 294회의 뇌종양 방사선 수술 기록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치료시간에 따른 치료 중 움직임의 크기를 통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고정틀 방사선 수술 시 고려되어야 할 치료 중 움직임에 대한 기본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혈소판 감소증이 지속된 영아 가와사끼병 환아에서 발생한 거대관상동맥류와 액와동맥류 (Giant Coronary and Axillary Aneurysms in an Infant with Kawasaki Disease Associated with Thrombocytopenia)

  • 서세영;오진희;김종현;한지환;이경일;고대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901-906
    • /
    • 2005
  • 가와사끼병은 소아 연령에서 발병하는 급성 전신성 혈관염으로 현재 소아 후천성 심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아직 원인 불명이고 진단도 여전히 임상 증상에 의존하고 있는데, 최근 비호발 연령의 환자 및 비전형적 가와사끼병의 증례 보고와 이들에서 빈발하는 관상 동맥 합병증의 보고가 증가되고 있다. 관상동맥 합병증의 위험 인자 중 하나인 지속적 발열과 혈소판 감소증은 매우 어린 영아에서 간혹 초기 감별 진단을 어렵게 만든다. 저자들은 패혈증으로 전원된 3개월 여아에서 초기에 정맥글로불린과 스테로이드 등의 약제로 치료하였으나 빈혈, 혈소판 감소증과 발열이 지속되다 거대 관상 동맥류와 액와 동맥류를 합병한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모음연장 음성 샘플의 분석 구간에 따른 음향학적 파라미터 비교 (Comparison of Acoustic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ection of Analysis in Sustained Vowel Phonation)

  • 신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69-274
    • /
    • 2017
  • 본 논문은 임상에서 음성장애 환자의 객관적 음성 분석 대상으로 주로 쓰이는 모음연장 발성이 분석하는 구간에 따라 어떠한 음향학적 차이를 보이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대결절 환자 17명의 /아/ 모음연장 발성을 시작, 중간, 끝 구간으로 편집하여 MDVP를 통해 각 구간의 jitter, shimmer, NHR을 산출하였고, 비교를 위하여 정상 음성 집단 12명의 음성도 분석하였다. 산출 결과는 R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Fridman test와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음성장애 환자집단은 모음연장 발성의 끝 구간이 중간 구간에 비해 jitter, shimmer, NHR 값이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성의 시작 구간은 중간 구간에 비해 세 파라미터 모두에서 높게 산출됐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정상 집단은 발성의 시작, 중간, 끝 모든 구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음연장 발성은 구간에 따라 음향학적 파라미터의 분석 결과가 다르고 발성 끝 구간에서 중간 구간보다 유의하게 음성이 불안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임상 현장에서 모음연장 발성의 분석 구간 선택과 결과 해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isphosphonates-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in Korea: a preliminary report

  • Lee, Jeong Keun;Kim, Kyung-Wook;Choi, Jin-Young;Moon, Seong-Yong;Kim, Su-Gwan;Kim, Chul-Hwan;Kim, Hyeon-Min;Kwon, Yong-Dae;Kim, Yong-Deok;Lee, Dong-Keun;Min, Seung-Ki;Park, In-Sook;Park, Young-Wook;Kook, Min-Suk;Park, Hong-Ju;Baek, Jin-A;Park, Jun-Woo;Kwon, Tae-G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9권1호
    • /
    • pp.9-13
    • /
    • 2013
  • Objectives: Bisphosphonates (BP) are widely used in medicine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however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BRONJ) is a major side effect of BP. To date, there have been no specific reports on the incidence of BRONJ among Korea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liminary results from a nationwide survey of BRONJ in the Departments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MFS) at individual training hospital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5 OMFS departments (10 from dental schools, 4 from medical schools, and 1 from a dental hospital) participated in a multi-centric survey. This study assessed every BRONJ case diagnosed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0. The patient age and BP type were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254 BRONJ cases were collected. The majority of BRONJ cases were associated with oral BP therapy, while 21.8% of the cases were associated with intravenous administration. Alendronate was the drug most frequently related to BRONJ (59.2% of cases), followed by risedronate (14.3%) and zolendronate (17.0%). The average age of BRONJ patients was $70.0{\pm}10.1$ years, with a range of 38-88 years of age. With the number of BP patients in Korea reported to be around 600,000 in 2008, the estimated incidence of BRONJ is at least 0.04% or 1 per 2,300 BP patient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stimated incidence of BRONJ in Korea is higher than the incidence of other countries. Future prospectiv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act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ONJ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