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lti-modal biometrics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teganography based Multi-modal Biometrics System

  • Go, Hyoun-Joo;Chun, Myung-G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v.7 no.2
    • /
    • pp.148-153
    • /
    • 2007
  • This paper deals with implementing a steganography based multi-modal biometric system.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 a multi-biometrics system based on the face and iris recognition. Here, the feature vector of iris pattern is hidden in the face image. The recognition system is designed by the fuzzy-based Linear Discriminant Analysis(LDA), which is an expanded approach of the LDA method combined by the theory of fuzzy sets. Furthermore, we present a watermarking method that can embed iris information into face images. Finally, we show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watermarking scheme by computing the ROC curves and make some comparisons recognition rates of watermarked face images with those of original ones. From various experiments, we found that our proposed scheme could be used for establishing efficient and secure multi-modal biometric systems.

Steganography based Multi-modal Biometrics System

  • Go, Hyoun-Joo;Moon, Dae-Sung;Moon, Ki-Young;Chun, Myung-G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v.7 no.1
    • /
    • pp.71-76
    • /
    • 2007
  • This paper deals with implementing a steganography based multi-modal biometric system.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 a multi-biometrics system based on the face and iris recognition. Here, the feature vector of iris pattern is hidden in the face image. The recognition system is designed by the fuzzy-based Linear Discriminant Analysis(LDA), which is an expanded approach of the LDA method combined by the theory of fuzzy sets. Furthermore, we present a watermarking method that can embed iris information into face images. Finally, we show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watermarking scheme by computing the ROC curves and make some comparisons recognition rates of watermarked face images with those of original ones. From various experiments, we found that our proposed scheme could be used for establishing efficient and secure multi-modal biometric systems.

Multi-modal Biometrics System Based on Face and Signature by SVM Decision Rule (SVM 결정법칙에 의한 얼굴 및 서명기반 다중생체인식 시스템)

  • Min Jun-Oh;Lee Dae-Jong;Chun Myung-Geu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1B no.7 s.96
    • /
    • pp.885-892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modal biometrics system based on face and signature recognition system. Here, the face recognition system is designed by fuzzy LDA, and the signature recognition system is implemented with the LDA and segment matching methods. To effectively aggregate two systems, we obtain statistical distribution models based on matching values for genuine and impostor, respectively. And then, the final verification is Performed by the support vector machine. From the various experiments, we find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s high recognition rates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A Study on the Multi-Modal Biometrics System (다중생체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인증에 관한 연구)

  • 서정우;민동옥;문종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301-303
    • /
    • 2003
  • 기존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식의 문제점 및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체인식 기술 (Biometric technology)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단일 생체인식 기술은 오인식률(False Acceptance Rate), 오거부율(False Rejection Rate)등의 문제점을 가지고있다. 최근에 단일 생체인식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 인증 성능 향상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중 생체 인식(Multi-modal biometrics)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이 논문은 지문인식과 얼굴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단일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한계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좀더 안정적인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

Improvement of User Recognition Rate using Multi-modal Biometrics (다중생체인식 기법을 이용한사용자 인식률 향상)

  • Geum, Myung-Hwan;Lee, Kyu-Won;Lee, Bong-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8
    • /
    • pp.1456-1462
    • /
    • 2008
  • In general, it is known a single biometric-based personal authentication has limitation to improve recognition rate due to weakness of individual recognition scheme. The recognition rate of face recognition system can be reduced by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illumination, while speaker verification system does not perform well with added surrounding noise. In this paper, a multi-modal biometric system composed of face and voice recognition system i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authentication system. The proposed empirical weight sum rule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individual authentication system is appl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ulti-modal biometrics. Since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using JAVA applet with security function, it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user authentication on the generic Web.

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 Method of Face Recognition using Fuzzy-EBGM and Iris Recognition using Fuzzy LDA (Fuzzy-EBGM을 이용한 얼굴인식과 Fuzzy-LDA를 이용한 홍채인식의 다중생체인식 기법 연구)

  • Go Hyoun-Joo;Kwon Mann-Jun;Chun Myung-C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99-301
    • /
    • 2005
  • 본 연구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을 인증하고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 단일 생체인식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홍채와 얼굴을 이용한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기법을 연구하였다. 중국 홍채 데이터베이스 CASIA(Chinese Academy of Science)에 Gabor Wavelet과 FLDA(Fuzzy Linear Discriminant Analysis)를 사용하여 특징벡터를 획득하였으며, FERET(FERET(Face Recognition Technology) 얼굴영상데이터를 사용하여 FERET 연구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인 EBGM알고리듬으로 특징벡터를 획득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두 score 값에 대하여 다양한 균등화 과정을 시도해 보았으며, 등록자와 침입자를 구분하기 위한 Fusion Algorithm으로 Bayesian Classifier, Support vector machine, Fisher's linear discriminant를 사용하였다. 또한,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Weighted Summation을 이용하여 다중생체인식의 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 PDF

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 Using the Iris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홍채인식과 얼굴인식을 이용한 다중생체인식)

  • You, Byoung-Jin;Go, Hyoun-Joo;Kwon, Man-Jun;Chun, My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27-430
    • /
    • 2005
  • 본 연구는 기존 단일 생체인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기법을 연구한 것으로, 홍채영상을 이용한 홍채인식과 얼굴영상을 이용한 얼굴인식을 융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이에, CBNU 홍채 영상데이터를 사용한 홍채인식은 Gabor Wavelet과 FLDA(Fuzzy Linear Discriminant Analysis)를 이용하였으며, FERET 얼굴영상데이터를 사용한 얼굴인식도 FLDA를 이용하여 패턴의 특징을 추출하고 matching에 따른 score를 각각 획득한다. 얻어진 두 score 값에 대하여 다양한 균등화과정을 사용해 보았으며, 다중생체인식 융합방법중 하나인 Weight sum rule을 적용하여 인식률을 얻었다. 또한, 단일 생체인식의 경우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기 위해 FRR과 FAR등의 인식률 평가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기존 단일생체인식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erson Authentication using Multi-Modal Biometrics (다중생체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 이경희;최우용;지형근;반성범;정용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04-207
    • /
    • 2003
  • 생체인식 기술은 전통적인 비밀번호 방식 또는 토큰 방식보다 신뢰성 면에서 더 선호되지만, 환경의 영향에 매우 민감하여 성능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일 생체인식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생체 정보를 결합한 다중 생체인식 (multimodal biometrics)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생체인식 기술을 간략히 소개하고, Support Vector Machines(SVM)을 이용하여 얼굴 및 음성 정보를 함께 이용한 다중 생체인식 실험으로 성능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rends of Multi-modal Biometric Technology (다중 생체인식 기술 동향)

  • Gil, Y.H.;Chung, Y.S.;Ahn, D.S.;LEe, K.H.;Pan, S.B.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1 s.91
    • /
    • pp.84-92
    • /
    • 2005
  • 생체인식 기술은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의 보급에 의해 비대면상에서의 안전한 개인 인증 수단이 요구됨에 따라 신뢰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의 수단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생체인식의 실제 응용에 있어 기대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생체인식 기술을 함께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신뢰도를 높이는 다중 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다중 생체인식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 IC 카드 기반 다중 생체인식시스템에 대해 논의한다.

An Empirical Study of Multi-Modal Biometrics using Face and Fingerprint (얼굴과 지문을 결합한 다중 생체인식 시스템의 실험적 연구)

  • 강효섭;한영찬;김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622-624
    • /
    • 2002
  • 생체인식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 개개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단일 생체인식 기술은 생체 방식에 따라 각각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두 가지 이상의 생체 정보를 결합하여 단일 생체인식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좋은 인식률을 확보하기 위해 다중 생체인식 시스템(Multi-Modal Bio-metries System)이라는 복합 시스템이 제안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생체인식 산업의 특성 및 개인 인증 방법으로 사용중인 단일 생체인식 시스템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해결방안으로 다중 생체인식 시스템의 확률단계(Probability Level)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에 가중치(Weight)를 부여 할 경우, EER(Equal Error Rate)이 단일 생체인식 시스템에 보다 가중치를 부여 했을 때 낮아짐과 동시에 ROC 커브도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좋아짐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