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berry loav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2초

Variation of Mineral Compositions in the Regional, Varietal, and Seasonal Mulberry Leaves

  • Kim, Iksoo;Lee, Heui-Sam;Kim, Jin-Won;Yang, Bo-Kyung;Ahn, Mi-Young;Kim, Doh-Hoon;Ryu, Ka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권1호
    • /
    • pp.27-35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ineral content in the regional, varietal and seasonal mulberry leaves. On average, mulberry leaf samples contained minerals in the order of potassiumi phosphorus, calcium, magnesium, iron and so on (2.494 g/100 g, 2.255 g/100 g, 1.835 g/100 g, 0.627 g/100 g, 0.0245 g/100 g DW, respectively). Calcium content was 19-fold and 4-fold higher than that of green tea and spinach,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mulberry loaves appear to be a calcium-rich food source. In the comparison of geographic samples of Cheongilppong variety, calcium bevel was highest in Youngchun sample (2.477 g/100 g) and highest potassium level in Suwon sample (2.962 g/100 g). In the geographic samples of YK209 variety, Jinju-City sample was highest in calcium content (1.509 g/100 g). Among wild mulberry loaves collected from Cheju Island and Tsushima, potassium level was highest in Bongge-dong, Cheiu City (3.865 g/100 g) and calcium level in Mitshshima Town, Tsushima (2.948 g/100 g). In the comparison of varietal samples collected in Suwon at the mulberry field of Dept. of Sericulture & entomology, Shinkwangppong variety was highest in the potassium levels although Keryangppong and Shinkwangppong were higher in calcium revel. In the comparison of seasonal samples of Cheongilppong, there was a rough trend of increase in some minerals up to July (e.g., calcium rind )potassium). Finding of the highest calcium and potassium contents in the wild mulberry (3.865 g/100 g and 2.948 g/100 g, respectively) rather than in the cultivated ones warrant that more focus should be paid to wild mulberry leaves to utilize their minerals effciently.

  • PDF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 A New Media for Growth of Microorganisms

  • Chowdary, N.B.;Naik, V.Nishitha;Sharma, D.D.;Govindaiah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5권2호
    • /
    • pp.217-220
    • /
    • 2002
  • Mulberry being a foliage crop is grown extensively for feeding of silkworms and are also used for cattle feeding. These loaves are highly nutritious, which contain various mineral elements and bio-molecules such as carbohydrates, proteins, lipids and other essential amino acids, etc. In the present study,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was used for preparation of the medium for cultivation of various types of microbes. Results revealed that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medium is best for isolation of fungi, bacteria and actinomycetes and this medium can be substituted with synthetic media, which are haying the costly ingredients for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fungi and actinomycetes. Further, this deproteinized mulberry juice medium can also be used in mass multiplication of useful/beneficial microbes to enhance soil microflora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to avoid root diseases. Perspective enterprises can take up the mass multiplication/large-scale production of useful microbes such as Trichoderma, Rhizobium, Pseudomonas and Bacillus to use in mulberry and in other agricultural crops using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뽕나무 품종별.시기별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 분석 (Anti-oxidative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Varieties and Maturity Stages in Mulberry Leaves and Fruits)

  • 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62-67
    • /
    • 2005
  • 장려뽕 16 품종에 대한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을 시기별로 채취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장치(munilum L-100, ABCD GmbH) 및 ARAW-KIT(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를 사용하였으며, ascorb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calibration curve를 작성하였다. 시료의 항산화능과 분석에 소요되는 전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80% MeOH, 30 sec. vortex mixing 방법을 기준 전처리 방법으로 하였다. 16품종 전체의 뽕잎에 대한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5개엽기의 어린 뽕잎의 항산화능은 3303.4 nmol로 높았으며, 오디가 착색되기 직전 3708.0 nmol으로 최대 값을 나타낸 후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 및 하벌 후 점차 증가 하다가 뽕잎이 경화되기 직전 춘기 어린 잎 정도의 항산화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이 높은 뽕잎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5월 하순에 채취하는 것이 수율도 높아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생과 또는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오디를 수확한 후 남은 뽕잎의 이용도 충분히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벌 전에 뽕잎의 수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뽕잎 수확 후 저장하는 방법보다 시기에 따른 뽕잎 자체의 성숙 정도가 뽕잎의 항산화능을 결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Regional and Varietal Variation of 1-Deoxynojirimycin (DNJ) Content in the Mulberry Leaves

  • Kim, Iksoo;Kim, Jin-Won;Lee, Heui-Sam;Ha, Nam-Kyu;Ryu, Ka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권2호
    • /
    • pp.141-147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ether there exists any content variation in 1-deoxynojirimycin (DNJ) among regional and varietal mulberry leaves. HPLC analysis was performed for 22 samples collected from several localities in Korea and Tsushima Islands Japan. The highest content was observed in the Cheongilppong sample collected at Youngchun City, Kyungsangbuk Province (1,882.7 $\mu\textrm{g}$/g DW), whereas lowest content was observed in the Cheongilppong sample collected at Jiniu City, Kyungsangnam Province (395.65 $\mu\textrm{g}$/g DW). In the comparison of regional samples of Kaeryangppong variety, DNJ content was highest in the order of Woniu City (1,460.1) > Boungun (999.85) > Hweongsung-gun (939.12) > Cheongju City (688.78). In case of Cheongilppong, DNJ content was highest in the order of Youngchun City (1.882.8) > Sanchung-gun (1,125.3) > Sunchon City (649.17) > Byunsan-myon (441.54) > Jinju City (395.65). Average content of regional samples was higher in Kaeryangppong (1,021.7 $\mu\textrm{g}$/g DW) than that of Cheongilppong (898.87 $\mu\textrm{g}$/g DW). Average DNJ content of the wild mulberry loaves collected from Cheju Island and Tsushima Island (1,012.9$\mu\textrm{g}$/g DW) was high enough to reach to that of the regional Kaeryangppong samples. In the comparison among varietal samples collected in Suwon, the highest DNJ content was observed in YK209 (768.16 $\mu\textrm{g}$/g DW), amongst overall low DNJ content of the varietal samples. Considering a few pieces of information from our data, DNJ content appears not to be influenced solely by annual temperature of the planted areas.

  • PDF

YK-209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소장의 이당류분해 효소 활성과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Disaccharidase Activites of Small Intestine and Blood Glucose-Loweri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유수경;김미지;김진원;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71-1077
    • /
    • 2002
  • YK-209뽕잎이 STZ유발 당뇨쥐의 혈당강하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코져 정상군(normal group)과 STZ 유발 당뇨군으로 나누고 당뇨군은 다시 식이내 YK-209 뽕잎 함량에 따라 각각 YK-209 뽕잎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 대조군(DM group),0.1% 뽕잎 공급군(DM-0.1Y group),0.2%뽕잎 공급군(DM-0.2Y group) 및 0.4% 뽕잎 공급군(DM-0.1Y group)으로 나누어 자유섭식시켰다. 3주후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9일째에 희생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YK-209 뽕잎 시료의 기능성 성분 함량은 DNJ(1-deoxynoijirimycin), rutin GABA(${\gamma}$-aminobutyric) 및 vitamin C는 1.93 mg/g,2,97 mg/g, 2.36 mg/g, 1.3 mg/g이었으며 청일 뽕잎에 비해 각 1.3배, 1.4배, 1.3배, 1.6배 높았다. 체중증가는 당뇨유발 후 모든 당뇨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당뇨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소장의 길이는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당수준은 YK-209 뽕잎 공급 군에서 비공급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소장 점막중의 maltase, sucrase 및 lactase 활성은 DM군의 소장 proximal 부분에서 증가되었으나 뽕잎 첨가군의 proximal 부분에서는 모두 저해되었다. 결론적으로 뽕잎은 STZ 유발 당뇨쥐 소장의 proximal 부분의 이당류 분해효소 활성을 억제시켜 혈당 상승을 완하시킴을 알 수 있다.

The Effects of Vitamin C on Biological, Biochemical and Econ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Etebari, Kayvan;Ebadi, Rahim;Matindoost, Leil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1호
    • /
    • pp.81-87
    • /
    • 200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nutrients on silkworms, Bombyx mori,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scorbic acid treatments. Dietary supplements of ascorbic acid 1, 2 and 3% were fed to silkworm larvae through 1st to 5th instar, The larvae were fed by mulberry loaves of Kokoso variety and the supplementary loaves were used once a day. These treatment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larval weight, the rate of food consumption and the approximate digestibility of the food. But the economical parameters such as cocoon weight and cocoon shell weight didnt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Dietary supplement of 2% ascorbic acid increased the larval weight by 7.8% and reached to 1.065g, which had the highest weight increase in the fourth day of 4th instar larvae. The percentage of daily weight increase in this group of larvae (79.01%) ha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e nutritional efficiency index in this group of larvae was better than others. Also the abundance of biochemical macromolecules such as glucose, cholesterol, triacylglycerol and urea in haemolymph of larvae fed by 2% ascorbic acid increased to become 29.75 (mg/㎗), 24 (mg/㎗), 75.4(mg/㎗) and 32.1(mg/㎗) respectively. But protein contents of haemolymph of larvae in each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ince all the results achieved were not considerable either statistically or economically, this method could not be recommended to improve the sericultural parameters.

YK-209 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간조직에서의 HMG-Coa Reductase 활성과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HMG-CoA Reductase and Lipid Composition of Liv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홍정희;이순재;박모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26-833
    • /
    • 2002
  • 본 연구는 YK-209뽕잎이 STZ유발 당뇨 간조직 중의 콜레스테롤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동물은 100$\pm$10 우의 Sprague-Dawley종 수컷을 정상군(nor-mal group)과 당뇨군으로 나누고 당뇨군은 다시 식이내 YK-209뽕잎 함량에 따라 각각 YK-209뽕잎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군(DM group), 0.1% YK-209 뽕잎 식이군(DM-0.1Y group),0.2% YK-209 뽕잎 식이군(DM-0.2Y group) 및 0.4% YK-209 뽕잎 식이군(DM-0.4Y group)으로 나누어 자유섭식 시켰다. 3주 후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9일째에 희생하여 혈액 및 간장에서의 콜레스테롤대사 개선능에 대해 관찰하였다 YK-209 뽕잎중의 flavonoid 함량을 조사한 결과 rutin은 4.19 mg/g, iso-quercitrin은 2.01 mg/g, kaempferol-3-O-ru-tinose은 1.64 mg/B, 및 astragalin은 0.36 mg/g이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8.19 mg/g 으로 청일 뽕잎보다 그 함량들이 높았다. 혈청중의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이 105% 높았으나 YK-209 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LDL-cholesterol함량은 정 상군에 비해 DM군은 증가되었으며, YK-209뽕잎 공급군은 D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반면 HDL-cholesterol 함량은 정상 군에 비해 DM군에서 감소되었으나 YK-209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동맥경화 지수(AI)는 DM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았으나 UM-0.1Y군과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총지질 함량과 중성지방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 감소되었으며 YK-209 뽕잎을 공급한 군에서 DM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DM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160%증가되었으나YK-209 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정 상군에 비 해 DM군이 43% 감소되었으나 DM-0.1Y군과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YK-209 뽕잎은 STZ유발 당뇨쥐의 간조직의 HMG-CoA reductase활성의 조절 및 혈액과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C57BL/6 마우스에서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의 지질저하 작용 (Lipid-Lowering Action of Powder and Water Extract of Mulberry Leaves in C57BL/6 Mice Fed High-Fat Diet)

  • 조영숙;손미예;이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05-41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려 품종인 청일뽕잎을 이용하여 고지방식이(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를 급여한 C57BL/6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지질대사를 측정함으로써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의 지질 개선작용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C57BL/6마우스(n=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HF), 고지방-뽕잎분말군(HF-PML)과 고지방-뽕잎열수 추출물군(HF-WML)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뽕잎은 사람의 섭취량을 고려하여 뽕잎 1%수준이 섭취되도록 분말(1g/100g diet)과 열수추출물(0.22g/100g diet)을 식이에 첨가 조제하여 급여하였다.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은 고지 방을 급여 한 마우스의 체중과 장기 무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뽕잎분말만 일일 식이섭취량과 에너지 섭취를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시켰다 실험 6주 후 고지방 대조군의 혈장과 간조직 중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혈장과 간조직 중의 지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고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는 정상 수준이었다(p<0.05).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은 변으로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배설을 증가시켰다. 간조직 중의 fatty acid synthase, fatty acid ${\beta}-oxidation$과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활성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은 이들 효소들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에서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은 변으로의 지질 배설을 증가시키고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혈장과 간조직의 지질 함량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술에 관한 분석적(分析的) 고찰(考察) -조선중기(朝鮮中期) 1600 년대(年代)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Wine of Yi Dynasty in 1600)

  • 최종희;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24
    • /
    • 1987
  • As people know how to brew a wine from fruits and cereals, they continued to develope various wines good to their taste. Korean wines are also ones made from cereals and they have long been eager to improve the delicate taste. They used to drink Takju, raw rice wine, made from nonglutinous rice and Nuruk, a kind of yeast starter. During Koryo Dynasty, Soju a liquor was imported from Won(the Chinese dynasty). Nowadays this traditional folk wine, which had been developed variously and drunk all over the country, is decreasing year after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n the wines ; its kinds, raw materials, brewing method, manufacturing utensils, measuring units and devices and the terms for wine making based on 20 documents published in 1600, in the middle of Yi dynesty. The results of review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121 kinds of wines at that time in Korea. 2. Among the raw materials for wines, major materials were glutinous rice, nonglutinous rice, wheat flour, wheat, mung bean, and black soybean. And minor materials were pepper corn, Lycium chinenisis, cinnamon, pine needles, pine nuts, jujube, mugwort leaves, lotus leaves, pine corn, pine bud, chrysanthemum, pine flowers, honey, Acanthopanox seoultenses, bamboo-root, marrowbone of blak cow, sweet flag, Ciprus noblis, Saurea lappa, honey suckle, Tricho santhes, azalea, the leaves of the paper mulberry, and bark of chungum tree. 3. There were several kinds of wines such as a wine without using Nuruk, a wine made from glutinous rice, nonglutinous rice, or glutinous and nonglutinous rice with flour. 4. There were several brewing methods for wines such as a wine boiled with ring rice cake, a wine brewed with loaves of rice cake, a wine brewed with hard boiled rice, a wine brewed with rice gruel, and a wine brewed with powdered rice gruel. 5. There were 23 kinds of utensils including measuring devices for weight and volume.

  • PDF

노지재배(露地栽培)에 적응(適應)한 아열대산(亞熱帶産) 뽕나무의 특성(特性)과 양잠(養蠶)에서의 응용(應用) (Characteristic and Application Under the Sericulture of Subtropical Zones Mulberry Adapted Itself to the Field Cultivation)

  • 석영식;박상조;안신헌;한상미;여주홍;한명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68-77
    • /
    • 2005
  • 아열대산 MK-T2의 생태적 특성조사, 발근 특성 그리고 오디의 형태와 이화학적 특성, 사료가치 검정 평가,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의 아미노산 분석과 누에 에탄올 추출액의 약리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 잎과 오디 등 다용도 $\ulcorner$청강상(淸江桑)$\lrcorner$ 자체개발 품종육성의 기본자료로 활용하였다. 1. 아열대산 MK-T2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아 개엽기는 개량뽕과 비교하여 $9{\sim}10$일 빠르며 새순의 발육 또한 67.2 cm로 3 cm 정도 길었으며, 새순의 뽕잎수도 18.6 개로 2개가 많았다. 2. 엽의 형태는 엽장이 엽폭보다 약간 발달한 1.10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엽두께, 엽면적은 각각 $228.2{\mu}m,\;225.6cm^2$로서 개량뽕보다 약간 얇거나 작은편이었다. 3. MK-T2는 화주부분이 0.7mm로 짧게 존재하며 주두내면에 드물게 미모(微毛)가 분포하여 장화계구(長花桂區) 계두유모류(桂頭有毛類)에 속한다고 판단이 된다. 4. 고손장비율은 5.7%로서 개량뽕의 12.9%와 비교하여 상당히 우수하지만 무농약재배의 조건에서 충해의 경우 주당 피해율이 88.6%로서 개량뽕의 47.5%의 거의 2배정도 약함을 보여주었다. 5 .무처리 신소삽목시 발근율이 가지의 굵기와 무관하게 100% 발근하여 온대지역의 개량뽕이 15mm 이상에서 10% 발근한 사실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발근력을 보여주었으며 발근 형태적 특성은 토양과 물 모두 45%비율로 가지의 중부와 하부에서 발근하는 특성을 보여주어 하부에서 발근하는 온대지역의 뽕나무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6. MK-T2의 오디는 길이가 24.6 mm, 수분율 78.8%, 당도가 19.21 Brix%로 오디용으로 개발된 품보 20, 검설뽕과 비슷한 성적을 나타내었으나 특이하게 pH 4.7로 단맛과 신맛을 함께 지니고 있었다. 7. NK-T2의 사료가치 검정평가 결과 개량뽕과 비교하여 유충기간과 화용비율, 견충비율은 거의 비슷하였으나, 단견중, 견층중. 2만두 수견량은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 엽질이 비교적 우량하다고 평가되었다. 8.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개량뽕을 급이한 대조구 간에는 서로 거의 유사한 아미노산 조성을 보여주었으나 MK-T2를 급이한 시험구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하여 Leu에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Ile는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MK-T2 시험구에서는 검출되었다. 9.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 에탄올 추출물의 약리효과 검정결과 누에 에탄을 추출물을 투여한 쥐에서 적출한 신장조직에 대한 HE 염색 및 조직면역화학염색 모두에서 조직학적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고 $TGF-{\beta}1$ 단백 발현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 수준으로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