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cus contamin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반복 배아 이식이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 이식관의 점액 유무 (Multiple Attempts at Embryo Transfer do not Adversely Affect In-vitro Fertilization Pregnancy Rates: Related Mucus Contamination)

  • 정병준;김종식;권처진;유미진;김명신;강은희;심종옥;송현진;오익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1호
    • /
    • pp.57-64
    • /
    • 2003
  • Objective :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ple attempts of embryo transfer because of retained embryos in the catheter and of contaminated mucus on the transferred cathet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spectively analysed data between November 1998 and August 2002 from 305 patients of 369 cycles who underwent IVF-ET. Of these patients, 47 patients of 50 cycles (Group 2) were required multiple trial of embryo transfer. They were compared with an age-matched control groups (Group 1) with female factor infertility. Pearson's $?^2$ and Fisher's tests were used to compare proportions between discrete variables. Noncategorical data were compared using t-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Embryo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be retained when catheter was contaminated with mucus (Group 1: 22.4%; Group 2: 44.0%). The clinical pregnancy rates, however, for the contaminated mucus or not, were 46.8%, 43.5%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linical pregnancy rate between those who had all their embryos transferred at the first attempt (45.4%) and those who required more than one attempt (48.0%). Conclusions: Contaminated mucus in the catheter is associated with failed embryo transferred at the first attempt. Embryo transfers, however, that are repeated attempts do not adversely affect pregnancy rates following IVF-ET.

유기농업 생태계로부터 담수 녹조류 분리 및 형태적 동정 (Isolation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Fresh Water Green Algae from Organic Farming Habitats in Korea)

  • 김민정;심창기;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지형진;윤종철;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43-760
    • /
    • 2014
  • 본 연구는 유기농업에서 생물자원으로서 담수 클로렐라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유기농 생태계로부터 담수 녹조류를 분리, 동정하고, 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의 수온은 $12.4{\sim}28.2^{\circ}C$, pH는 6.1~8.5이었다. 담수 녹조류를 분리할 때 고체배양법이 액체배양법보다 오염도가 낮고 분리 빈도가 높았다. 전국 9개 지역, 6개 담수 녹조류 서식처로 부터 총 115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담수 녹조류의 분리 및 배양을 위해 질소원으로는 $NaNO_3$$KNO_3$, 탄소원으로 $Na_2CO_3$를 사용하였고, macro media의 구성 성분 중 $MgSO_4{\cdot}7H_2O$$CaCl_2{\cdot}2H_2O$를 분리하여 제조한 BGMM(BG11 Modified Medium)배지를 고안하였다. 담수녹조류는 배양 후 4일째부터 급격히 흡광도가 증가하였고 8일째부터 흡광도가 감소하였다. 공시한 7개의 균주 중 CHK008 균주가 배양 7일째에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담수 녹조류 배양에 적합한 BGMM 배지의 pH는 6~7이었고 조사되는 빛이 강할수록 생육이 증가하였으며 5종류 당류 중에서 Glucose와 Galactose를 첨가하였을 때 클로랄라의 생육이 좋았다. 순수 분리한 16개 녹조류 균주의 균총색은 녹색, 진녹색, 연녹색을 나타내었고, 11개의 균주가 형광현미경하에서 강한 형광 빛을 나타내었다. 녹조류 16개 균주의 형태적인 특징을 조사한 결과 C. vulgalis, C. sorokiniana, C. pyrenoidosa, C. kessleri, C. emersonii, and Chlamydomonas sp.의 2개 속 6개종으로 동정되었다. 담수 녹조류의 세포 크기는 종마다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담수 녹조류의 세포형태는 구형이었다. Chlamydomonas sp.는 타원형이었고 Chlorella sorokiniana는 구형과 타원형이 섞여 있었다. 6개 녹조류 종류 중 Chlamydomonas sp.를 제외한 모든 균주는 편모가 없었다. Chlamydomonas sp. 1개 균주와 C. sorokiniana 5개 균주는 세포에서 점질물을 분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