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cous Cell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 고유종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후각기관의 형태 및 조직학적 특성 연구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Endemic Species, Pseudobagrus koreanus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현태;채동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3-159
    • /
    • 2022
  • 한국 고유종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 유연종들과의 특징 비교를 위해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형태 및 조직학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후각기관의 외부 형태는 주둥이 끝에 위치한 튜브형의 전비공과 비수염(nasal barbel) 뒤쪽 기부에 위치한 틈새형(slit)의 후비공으로 구성된다. 내부의 비강에는 비선(raphe)을 중심으로 방사형 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많은 수의 후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나타낸다. 후판에는 후감각뉴런, 지지세포, 기저세포와 림프구, 형질세포로 구성된 감각상피와 층상상피세포, 점액세포, 림프구로 구성된 비감각상피가 확인되었다. 그중 1) 41~43 (n=20)의 후판, 2) 림프구, 형질세포, 3) 중성 다당류 점액을 보유한 점액세포는 다소 정체된 유속의 서식처 환경, 후각 의존적인 야생성의 생태적 습성, 다른 유연 메기목 어류들과 비교되는 분류학적 특징으로 사료된다.

정천화담강기탕(定喘化痰降氣湯)이 ovalbumin으로 유발(誘發)된 천식(喘息)의 조직학적(組織學的)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Histologic Effects of Jungcheonhwadamgangki-tang Extract on the Experimental Asthma induced by ovalbumin)

  • 이상준;박지현;최해윤;김종대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73-288
    • /
    • 2001
  • Objectives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Jungcheonhwadamgangki-tang against the asthma. Method : Asthma was induced to Balb/c mouse with ovalbumin by using method of Hatfield et al. It was observed the changes numbers and morphology of the mast cells in the trachea, numbers of mucous secretory cell in the bronchus, morphology of the bronchus, ultramicroscopical appearance of surface of trachea and number of cilia and mucous secretory cell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 : 1. Degranulation and decreasing of the numbers of mast ce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Jungcheonhwadamgangki-tang extract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Hypertrophy of mucous membrane of bronchus In the lung,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creasing of mucous secretory cells in the bronchu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Jungcheonhwadamgangki-tang extract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Shedding, decreasing of cilia cells and increasing of mucous secretory cells in the surface of the trache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Jungcheonhwadamgangki-tang extract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 : It is considered that Jungcheonhwadamgangki-tang has somewhat favorable effects on the asthma because the asthma specific series of abnormalities in respiratory system were decreas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Jungcheonhwadamgangki-tang in this study. In future, it is needed that the toxicological and dosage specific study of Jungcheonwhadamgangki-tang to use against bronchial asthma with safe.

  • PDF

마황윤폐탕이 ovalbumin으로 유발된 mouse의 천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hwangyoonpye-tang on Asthma Induced by Ovalbumin in Mouse)

  • 김지윤;박동일;김종대;감철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453-1462
    • /
    • 2003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Mawhangyounpye-tang against to asthma, astham was induced to allergy-sensitive Balb/c mouse with ovalbumin using method of Hatfield et al (1997). The changes of diameter lumen of upper portion of the trachea, lung weight, gross appearance of lung, histological profiles of lung and trachea, numbers of cellular compartment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numbers and morphology of the mast cells in the trachea, numbers of mucus-secretory cell in the broncus, morphology of the bronchus, ultramicroscopical appearance of surface of trachea and number of cilia and mucous-secretory cell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ameters of trachea lum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and these decreasing were result from hypertrophy of mucous membrane. However,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2. Lung weights and black spots, which were result from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but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3. Hypertrophy of mucous membrane of trachea and bronchus and !bronchioles in the lung, peritracheal, peribronchus and peribronchio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mucoid exudate deposit in the lumen were observed in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but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4. Cellular compartments including neutrophil and eosinophil were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BALF of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but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5. Mast cell degranulation and decreasing of the numbers of mast cells were detected in the trachea of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However,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6. Shed, decreasing of cilia cell and increasing of mucous-secretory cells in the surface of the trachea of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but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Mawhangyounpye-tang has somewhat favorable effect on the asthma because the asthma specific series of abnormalities in respiratory system were decreased after oral administratin of Mawhangyounpye-tang in this study. In future, it is needed that the toxicological and dosagespecific study of Mawhangyounpye-tang to use against asthma with safe.

농어(Lateolabrax japonicus)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Gill for Lateolabrax japonicus)

  • 강충배;김진구;김재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4호
    • /
    • pp.319-324
    • /
    • 2009
  • 농어 아가미는 새파, 새궁, 새엽 및 새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위쪽 새파수는 7~10개이며, 아래쪽 새파수는 13~18개로 조사되었다. 농어 아가미의 주요부위인 새엽과 새판(이차새엽)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에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 아가미는 새궁(gill arch) 외연의 앞 뒤 2열로 된 긴 점막성의 빗살과 같은 모양으로 줄지어 있는 많은 수의 새엽(gill filament)을 가지고 있으며, 각 새엽은 전후 두개의 새판(gill lamellae)이 근접하여 두 열로 배열되어 있었다. 농어의 새판은 pavement cell, 기둥세포(pillar cell), 혈구세포, 점액세포(mucose cell) 및 염류세포(chloride cell) 등으로 구분되었다. 새판의 표면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pavement 세포로 구성되며, 상피표면의 glycocalyx로 덮혀진 미세융기를 가진다. 그리고 새판은 기둥세포와 혈구세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포하고 있었다. 점액세포는 새판에 드문드문 나타났지만 새엽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염류세포는 미토콘드리아와 tubular system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피부상피층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Integumentary Epidermis of th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김재원;백근욱;백혜자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131-137
    • /
    • 2004
  • 돌돔의 피부는 크게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분되며, 상피층은 지지세포, 선세포 및 부속세포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 선세포는 점액세포와 곤봉상세포, 그리고 부속세포는 염세포가 관찰된다. 표면세포는 편평형 또는 입방형으로서 타원형의 핵을 가지고, 미세융기(microridge)들이 발달되어 있으며 glycocalyx가 관찰된다. 중간세포는 타원형에 가깝고 원형에 가까운 핵을 가진다. 기저세포는 원주형으로서 핵은 세포질의 상부에 위치한다. 점액세포는 타원형으로 세포질은 타원형의 분비과립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AB-PAS (pH 2.5)에 청색으로 반응하였다. 곤봉상세포는 세포질에 많은 액포와 미세섬유다발을 관찰할 수 있다. 부속세포인 염세포 세포질의 대부분이 미토콘드리아로 가득 채워져 있다. 색소세포는 세포질에 전자밀도가 높은 색소과립들을 함유한 종류와 반사소판을 함유한 종류로 구분된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피부상피층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n the Integumentary Epidermis of the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Teleostei: Pleuronectidae))

  • 김재원;진평;진영국;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2
  • 넙치의 피부 상피층은 지지세포, 선세포와 부속세포들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로 구분된다. 선세포는 점액세포와 곤봉상세포, 부속세포는 염세포가 관찰된다. 표면세포는 편평형 또는 입방형이며 미융기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지지세포는 menbrane interdigitation구조와 부착반에 의해서 다른 세포들과 잘 연결되어 있고 세포질 피질부에 당김세사가 잘 발달되어 있다. 점액세포는 타원형으로 중성다당류의 점액을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곤봉상세포는 세포질에 많은 액포와 미세섬유다발을 관찰할 수 있다. 부속세포인 염세포 세포질의 대부분이 미토콘드리아로 가득 채워져 있다.

韓國産 플라나리아(Dy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表皮上皮細胞의 微細構造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al Epidermis of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 장남섭;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4-208
    • /
    • 1985
  • 실험에 사용한 플라나리아는 Dugesia japonicia Ichikawa et Kawakatsu로서 核型分析에 의하여 種을 확인하였다. 이 種의 表皮上皮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세포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行하였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는 hematoxylin-eosin, periodic acid-schiff(PAS)反應, alcian blue(pH 2.5), PAS-alcian blue反應 그리고 methylene blue-basic fuchsin 등으로 염색을 시행하였고, 체표면을 走査電子顯微鏡으로, 또한 各部位의 微細構造를 透過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플라나리아의 表皮는 單層圓桂形上皮로 되어 있었고, 상피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형태학적 및 세포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6類型의 세포들도 區分되었다. 1) 纖毛上皮細胞 (Ciliated epithelial cell) : microtubule 배열이 9+2型인 섬모를 가지고 있었다. 2) 好酸性細胞(Eosinophilic cell) : 세포질에 소수의 큰 好酸性 顆粒을 가진 세포로서, 전자 현미경하에서는 顆粒들은 棒狀形이고, 전자밀도가 매우 낮은 基質에 섬유상 구조물이 분산되어 있었다. 3) 粘液細胞(Mucous cell) : 세포질에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다양한 모습의 과립($0.8\\times0.3 \\muM$) 들이 충만되어 있었다. 4) 棒狀體形成細胞(Rhabdite-forming cell) : 세포질쪽에 매우 강한 eosinophilia를 나타내는 다양한 크기의 棒狀體顆粒을 한 개 혹은 여러개 가지고 있었으며, 顆粒의 전자밀도는 높았다. 5) A型 好鹽基性顆粒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A) 背腹部 상피에서 관찰되었고 그 세포질에는 alcian blue(ph2.5)에 강하게 염색되는 $1.5\\times1.0 \\mum$의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과립들은 형태가 球形에 가깝거나 혹은 불규칙형이였고 전자밀도가 높았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柔組織에서 基底膜은 通過하여 表皮上皮로 이동되었다. 6) B型 好鹽基性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B) 兩側部의 表皮上皮에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에는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0.7\\times0.4 \\mum$의 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包含하고 있었다.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과립들의 형태는 비교적 불규칙하였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역시 柔組織에서 표피로 이동되었다.

  • PDF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 수염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Barbel in the Spined Loach,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

  • 김익수;김선영;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27
    • /
    • 2001
  • Iksookimia longicorpa의 수염은 표피, 진피, 중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중층막으로 되어 있으며 미뢰, 점액세포, 과립형 세포, 표피 세포를 포함한다. 점액세포는 약한 호염기성을 보이며 표피의 표면에 위치하고 있다. 반면에, 미뢰는 강한 호염기성을 나타내며 표피의 기부에 위치하고 있다. 진피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혈관, 색소세포, 신경세포를 함유하고 있다. 중축은 가장 깊숙한 부분으로 근육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 PDF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소화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Gastropoda: Haliotidae))

  • 강승완;이제봉;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87
    • /
    • 2003
  •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의 소화관은 치설낭, 식도, 소낭, 위, 장(전장, 중장, 후장), 항문과 부속기관인 간췌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소화관 상피층은 원주형 섬모상피, 점액세포 및 과립세포들로 구성되어있었으며, 상피층의 두께는 소낭이 90.80 ${\mu}$m로 가장 두꺼웠다. 점막상피에서 점액세포가 차지하는 면적은 식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점액세포의 점액물질은 식도, 전장, 중장, 후장에서는 산성 및 중성의 뮤코다당류였으며, 소낭과 위의 점액물질은 지방성분으로 조사되었다.

  • PDF

구강점막의 통합성 사정기록 체계화를 위한 최소자료세트(Minimum Data Set) 규명 (Identifying Minimum Data Sets of Oral Mucous Integrity Assessment for Documentation Systematization)

  • 김명수;정현경;강명자;박남정;김현희;류정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6-56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inimum data sets for oral mucous integrity-related documentation and to analyze nursing records for oral care. Methods: To identify minimum data sets for oral status, the authors reviewed 26 assessment tools and a practical guideline for oral car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minimum data sets was assessed by three nurse specialists. To map the minimum data sets to nursing records, the authors examined 107 nursing records derived from 44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one tertiary hospital. Results: The minimum data sets were 10 elements such as location, mucositis grade, pain, hygiene, dysphagia, exudate, inflammation, difficulty speaking, and moisture. Inflammation contained two value sets: type and color. Mucositis grade, pain, dysphagia and inflammation were recorded well, accounting for a complete mapping rate of 100%. Hygiene (100%) was incompletely mapped, and there were no records for exudate (83.2%), difficulty speaking (99.1%), or moisture (88.8%).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nursing records on oral mucous integrity were not sufficient and could be improved by adopting minimum data sets as identifi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