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Worak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형성층 활동 기간을 활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및 벌채 적기 추정 (Estimation of the Optimal Periods for Planting and Felling Larix kaempferi Based on the Period of Its Cambial Activity)

  • YOO, Hye-Ji;JU, Jeong-Deuk;PARK, Jun-Hui;SHIN, Chang-Seob;EOM, Chang-Deuk;SEO, Je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399-415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인 일본잎갈나무 형성층 활동 시기를 모니터링 하여 적절한 식재 및 벌채시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각 지역 일본잎갈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유도하는 적산온도도 함께 조사하였다. 연구지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월악산과 미동산이다. 월악산과 미동산에서 일본잎갈나무 5본씩을 선발한 후, 월악산에서는 2017년 4월 7일 ~ 10월 6일, 미동산에서는 2017년 4월 7일 ~ 9월 29일까지 직경 2 mm 미니 생장추(trephor)로 형성층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형성층 시료는 PEG2000에 임베딩 한 후,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두께 10-15 ㎛로 박편 제작을 하였다. 상해세포간구 발생으로 정확한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월악산 일본잎갈나무 1본과 미동산 일본잎갈나무 1본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현미경으로 월악산과 미동산 일본잎갈나무의 형성층 개시 일을 관찰한 결과, 4월 28일에 월악산에서 2본, 미동산에서 3본이 개시하였다. 나머지인 월악산 2본과 미동산 1본은 일주일 후인 5월 4일에 개시하였다. 형성층 활동 개시를 유도한 적산온도는 월악산의 경우 196.4-271.8이었으며, 미동산은 204.7-277.3로 유사하였다. 형성층 활동 종료는 월악산 8월 4일 ~ 8월 25일, 미동산 8월 4일 ~ 9월 1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월악산과 미동산에 적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시기는 형성층 활동 약 한 달 전인 4월 이전이며, 벌채 시기는 형성층 활동이 완전히 종료되는 10월부터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 식물 왕제비꽃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Environment of Natural Habitat of an Endangered Plant, Viola websteri)

  • 송재모;이기영;김남영;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67-276
    • /
    • 2010
  • 환경부 멸종위기 식물과 산림청 희귀식물로 지정된 왕제비꽃의 5개 지역 천연집단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을 조사한 결과 돌배나무-신나무-산뽕나무 우점군락(강원도 홍천군 내면), 신갈나무-물푸레나무-산뽕나무 우점군락(경기도 연인산), 층층나무-당단풍-산뽕나무 우점군락(경기도 유명산), 고로쇠나무-찰피나무(신갈나무)-고추나무 우점군락(경기도 대부산), 일본잎갈나무-고로쇠나무-물푸레나무 우점군락(충북 월악산)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생지의 평균 산도는 pH 5.23, 전기전도도 0.30 ds/m, 유기물함량 12.6%, 전질소함량 0.68%, 유효인산 21.66 ppm 및 양이온치환용량 23.45 cmol(+)/kg로 나타났으며, 치환성양이온의 경우 $Ca^{2+}$ > $Mg^{2+}$ > $K^{2+}$순으로 감소하였다. 왕제비꽃은 둥굴레 및 이질풀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포아풀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본층에서는 대부산 지역이, 초본층에서는 월악산 지역의 종다양성지수가 각각 0.9656, 1.3295로 가장 높았으며, 최대종다양도는 목본층의 경우 홍천군 내면 지역이 1.3010, 초본층의 경우 대부산 지역이 1.6435로 가장 높았다. 균재도의 경우 목본층은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인 월악산 지역(0.5330)을 제외하면 0.6185~0.8947 범위에, 초본층은 0.6984~0.8356 범위에 있었으며, 우점도는 목본층의 경우 월악산 지역(0.4670)을 제외하면 0.1053~0.3815, 초본층은 0.1644~0.3016의 범위에 있었다.

월악산에 분포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림에서의 교란체제와 천이 과정 (Disturbance and Regeneration Proces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Mt. Worak)

  • 김홍은;권기철;정택상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79-85
    • /
    • 2000
  • 월악산에 소재하여 있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소나무림의 숲틈형성과 재생 및 천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악산 소나무림을 이루고 있는 수종들로는 교목층으로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중층으로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쇠물푸레 등의 수종이 우점하고 있다. (2) 소나무림의 숲틈형성요인으로서 고사목의 고사유형은 입목고사형이 가장 많았다. (3) 흉고직경급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은 먼저 굴참나무림으로 바뀌다가 다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소나무 치수는 건조한 지역에서 생성된 숲틈에서만 발견되고 있어 이러한 지역에서만 환경적 극상으로서 소나무림이 유지될 가능성을 조여주고 있었다.

  • PDF

P-V곡선에 의한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의 수분특성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from P-V Curves)

  • 김남영;이경철;한상섭;박완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4-378
    • /
    • 2010
  • 식물 수분 특성을 규명하는 것은 재배뿐만 아니라 현지외 보전에도 필수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희귀식물로 알려진 꼬리진달래의 현지외 보전을 목적으로 P-V 곡선법을 이용하여 수분특성을 조사하였다. 꼬리진달래 잎의 최대팽압시의 삼투포텐셜은 월악산과 석포리의 개체가 각각 -1.5 MPa 이었고, 연하리의 삼투포텐셜이 -1.2 MPa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초기원형질분리점의 삼투포텐셜은 월악산 -1.29 MPa, 연하리 -1.02 MPa, 석포리 -1.26 MPa로 연하리의 초기원형질분리점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꼬리진달래의 세포막의 최대탄성계수($E_{max}$)값은 석포리 14.0 MPa로 나타냈고, 월악산 8.67 MPa로 다소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연하리 4.00 MPa로 석포리에 비해 3배정도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초기원형질분리점의 상대함수율은 월악산 83.2%, 연하리 83.1%, 석포리 83.8%으로 비교적 수분보존 기능이 비교적 좋은 수종이다. 따라서, 꼬리진달래는 수분특성상 다른 진달래와 철쭉, 관목류들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현지외 이식시 자생지간 내건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월악산, 석포리의 개체가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형적 특성에 따른 월악산 신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Ring Growths of Mongolian Oaks with Variou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Mt. Worak, Korea)

  • 서정욱;박원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6-45
    • /
    • 2010
  •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factors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total precipitation) and tree-ring growths of Quercus mongolica Fischer (Mongolian oak) with different topographic sites in Mt. Worak, more than 10 trees were selected from each of seven stands. Two cores from each tree were measured for ring width. After crossdating, each ring-width series was double standardized by fitting first a negative exponential or straight regression line and secondly a 60-year cubic spline. Seven stands were categorized in two groups using cluster analysis for tree-ring index patterns. Cluster I (four stands) was located in higher elevation (550-812 m) with aspects of east, west and northwest, and cluster II (three stands) was located in rather lower election (330-628 m) with aspects of north and northwest. The aspects of two clus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sponse-func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sponse to March precipitation for both clusters. It indicates that moisture supply during early spring season is important to radial growth because the cambial growths of ring-porous species, such as Mongolian oak, start before leaf growth. Cluster II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precipitation of middle and late growing season, too.

Weight Loss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at Mt. Worak National Park

  • NamGung, Jeong;Han, A-Reum;Mun, Hyeong-T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4호
    • /
    • pp.291-295
    • /
    • 2008
  • Weight loss and nutrient dynamics of oak and pine leaf litter during de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from December 2005 through June 2008 at Mt. Worak National Park as a part of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 in Korea. The decay constant (k) of oak and pine leaf litter were 0.314 and 0.217, respectively. After 30 months decomposition, remaining weight of oak and pine leaf litter was 45.5% and 58.1%, respectively. Initial C/N ratio of oak and pine leaf litter was 53.4 and 153.0, respectively. Carbon % of initial oak and pine leaf litter was similar with each other; however, nitrogen content of initial oak leaf litter (0.85%) was greater than that of initial pine leaf litter (0.33%). N and P concentration in both decomposing leaf litter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decomposition. There was no net N and P mineralization period in decomposing pine leaf litter. K, Ca and Mg concentration in both decomposing leaf litter showed different pattern with those of N and P. After 30 months decomposition, remaining nutrients in oak and pine leaf litter were 97.7 and 216.2% for N, 123.2 and 216.5% for P, 39.3 and 44.8% for K, 47.9 and 40.6% for Ca, 30.7 and 51.2% for Mg, respectively.

국가 장기 생태 연구지(남산, 지리산, 월악산)의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포획된 나방류의 종조성 및 종다양도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of Moths (Lepidoptera) on Quercus mongolica forests sand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n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s (Mt. Nam, Mt. Jiri, Mt. Wolak))

  • 이훈복;김현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5-113
    • /
    • 2010
  • 본 연구는 2005년과 2006년 6월부터 9월까지 남산, 지리산, 월악산의 신갈나무림, 소나무림에서 유브이 버킷 라이트 트랩(22 W)을 이용하여 나방을 포획하였고 식생 및 삼림의 주요 1차 소비자인 나방류(불나방과, 자나방과, 밤나방과, 재주나방과, 명나방과)의 종다양성을 시공간적으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기간동안 국가장기생태연구지에서 포획된 나방의 종수는 435종이었다. 포획된 나방의 개체수는 월악산에서 가장 높았고, 지리산, 남산 순이었다. ANOVA 분석결과 개체수를 종속변수로 하였을때는 조사시기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종풍부도의 경우에는 조사시기와 지역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변량분석 방법인 다차원분석법을 사용하였을때, 나방의 군집구조는 각 지역별로 뚜렷이 구분되어 나타났지만, 같은 지역내의 산림유형에 따른 구분은 명확하지 않았다.

Weight Loss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mongolica in Mt. Worak National Park

  • Mun, Hyeong-T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123-127
    • /
    • 2009
  • Weight loss and nutrient dynamics of Quercus mongolica leaf litter during de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from December 2005 through August 2008 in Mt. Worak National Park as a part of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 in Korea. The decay constant (k) of Q. mongolica litter was 0.26. After 33 months decomposition, remaining weight of Q. mongolica litter was 49.3$\pm$4.4%. Initial C/N and C/P ratios of Q. mongolica litter were 43.3 and 2,032, respectively. C/N ratio in decomposing litter decreased rapidly from the beginning to nine months decomposition, and then showed more or less constant. C/P ratio increased to 2,407 after three months decomposition, and then decreased steadily thereafter. N and P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decomposition. N immobilization occurred from the beginning through 18 months decomposition, and mineralization occurred afterwards in decomposing litter. P immobilized significantly from fifteen months during decomposition. K concentration decreased rapidly from the beginning to six months decomposition. However it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during later stage of decomposition. Remaining K decreased rapidly during early stage of decomposition. There was no net K immobilization. Ca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to twelve months decomposition, and then decreased rapidly till twenty one months elapsed. However, it increased again thereafter. Ca mineralization occurred from fifteen months. Mg concentration increased during decomposition. There was no Mg immobilization during litter decomposition. After 33 months decomposition, remaining N, P, K, Ca and Mg in Q. mongolica litter were 79.2, 110.9, 36.2, 52.7 and 74.4%,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