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Songnisa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속리산 국립공원의 경관 및 식생 분석과 그 보존을 위한 생태학적 제안 (Analyses of Landscape and Vegetation and Ecological Suggestion for The Conservation of Mt. Songnisan National Park, Central Korea)

  • 엄안흠;조용찬;신현철;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3호
    • /
    • pp.185-192
    • /
    • 2004
  • 속리산 국립공원의 산지에는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및 졸참나무군락의 자연적 과정을 통해 성립된 식생과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리기다소나무 조림지로 이루어진 인위적으로 조성된 식생이 성립하고 있다. 한편, 하천 주변의 저지대에는 농경지, 주거지, 상업시설 등으로 이루어진 개발지가 분포하고 있다. 식생의 공간적 분포에 의하면, 행정구역상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과 경북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공원구역 남부 약 1/3 지역은 자연성과 식생의 다양성이 높았지만 청천면 및 칠성면에 속하는 나머지 지역은 그 대부분을 소나무림이 차지하고 조림지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 식생의 다양성과 자연성이 모두 낮았다. 조사된 식분율 서열법으로 처리한 결과, 식분의 배열은 고도, 사면 등의 지형요인과 그것에서 비롯된 수분요인에 의해 지배되는 경향이었다. 주요 목본식물의 직경 급별 빈도분포를 분석하여 식생의 동태를 분석한 결과, 향후 이 지역의 식생은 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이 중심을 이루는 식생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그러나 교란의 발생과 그것에 대한 식생의 반응을 고려하면, 이러한 판단은 실제와 다소 차이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속리산 국립공원의 보전전략이 경관생태, 주요 식물군락의 보전 및 생물다양성 보전의 관점에서 검토되었다.

Three new records of wolf spiders(Araneae: Lycosidae) from Korea

  • Chang Moon Jang;Yang Seop Bae;Jung Sun Yoo;Sue Yeon Lee;Seung Tae Ki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224-228
    • /
    • 2023
  • Three wolf spiders of the family Lycosidae Sundevall, 1833 are newly described from Korea: Arctosa labiata Tso & Chen, 2004, Pardosa altitudis Tikader & Malhotra, 1980, and Pardosa laevitarsis Tanaka & Suwa, 1986. These spiders were collected during a seasonal survey of the spider fauna of National Parks located in Gangwon-do and Gyeongsanbuk-do in 2018-2019; two males of A. labiata from Mt. Songnisan National Park, one female of P. altitudis from Mt. Chiaksan National Park, and two males of P. laevitarsis from Mt. Odaesan and Sobaeksan National Parks. The three newly recorded spiders have previously been known to be distributed in Taiwan, India, China, and Japan. These spiders were collected by hand in mixed forest leaf litter in mountainous terrains. The present paper taxonomically describes these three wolf spiders with measurements and morphological illustrations.

Dynamics of Organic Carbon and Nutrients in Litterfall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Mt. Songnisan National Park

  • Kang, Sang-Joon;Han, Dong-Yeou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6호
    • /
    • pp.347-351
    • /
    • 2005
  • The amounts of organic carbon and several nutrients in litterfall on the forest floor of Quercus mongolica forest were assessed for two years from 1998 through 2000 in Mt. Songnisan National Park in Korea. The amounts of organic carbon (C) in litterfall were the highest in autumn with the values of $150.4g/m^2$ (62.6%) in 1998 and $219.2g/m^2$ (61.0%) in 1999. In winter, organic C was the lowest with the values of $16.3g/m^2$ (6.8%) in 1998 and $12.5g/m^2$ (6.7%) in 1999. It was estimated that the organic C add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as 240.1 $g{\cdot}m^{-2}yr^{-1}$ and 186.6 $g{\cdot}m^{-2}yr^{-1}$ 1998 and 1999, respectively. The amounts of nitrogen (N) in litterfall were the highest in autumn with the values of 5.9 $g/m^2$ (58.0%) in 1998 and 5.2 $g/m^2$ (62.3%) in 1999. The amount of phosphorus (P) in litterfall showed its peak in autumn with 0.19 $g/m^2$ (52.9%) in 1998 and 0.11 $g/m^2$ (52.6%) in 1999. The amount of P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as 0.35 $g{\cdot}m^{-2}yr^{-1}$ in 1998 and 0.22 $g{\cdot}m^{-2}yr^{-1}$ in 1999. The amount of potassium (K) in litterfall showed its peak in autumn with 0.57 $g/m^{2}$ (53.8%) in 1998 and 0.42 $g/m^2$ (55.3%) in 1999. The amounts of K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as 1.11 $g{\cdot}m^{-2}yr^{-1}$ in 1998 and 0.81 $g{\cdot}m^{-2}yr^{-1}$ in 1999.

종 분포 모형을 활용한 새로운 구상나무 서식지 탐색, 그리고 식물보전 활용 (A Detection of Novel Habitats of Abies Koreana by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SDMs) and Its Application for Plant Conservation)

  • 김남신;한동욱;차진열;박용수;조현제;권혜진;조용찬;오승환;이창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35-149
    • /
    • 2015
  • Korean fir(Abies koreana E.H.Wilson 1920), endemic tree species of Korean peninsula, is considered as vulnerable and endangered species to rec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land use and climate change. There are limited activities and efforts to find natural habitats of Korean fir for conservation of the species and habitats. In this study, by applying SDMs (Species Distribution Models) based on climate and topographic factors of Korean fir, we developed Korean fir's predicted distribution model and explored novel natural habitats. In Mt. Shinbulsan, Youngnam region and Mt. Songnisan, we could find korean fir's two novel habitat and the former was the warmest($13^{\circ}C$ in annual mean temperature), the driest(1,200mm~1,600mm in annual rainfall) and relatively low altitude environment among Korean fir's habitats in Korea. The result of SDMs did not include mountain areas of Gangwon-do as habitats of A. nephrolepis, because there were different contributions of key habitat environment factors, summer rainfall, winter mean temperature and winter rainfall, between A. koreana and A. nephrolepis. Our results raise modification of other distribution models on Korean fir. Novel habitat of Korean fir in Mt. Shinbulsan revealed similar habitat affinity of the species, ridgy and rocky site, with other habitats in Korea. Our results also suggest potential areas for creation of Korea fir's alternative habitats through species reintroduction in landscape and ecosystem level.

속리산 신갈나무림의 토양층별 영양염류 함량과 분해율 (Nutrients and Decomposition Rate Accumulated on Soil Layers in Quercus mongolica Forest of Mt. Songnisan National Park)

  • 강상준;한동열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93-100
    • /
    • 2004
  • 속리산 국립공원 내 용바위골 지역(a.s.1. 560∼640 m)의 신갈나무림에서 토양에 축적된 유기탄소, 질소, 인 및 칼륨의 함량을 측정하고 또 O1son(1963)의 부지수곡선 모델을 적용하여 낙엽의 분해상수(k)와 분해시간(t)를 측정하였다. 유기탄소량은 L층 231.25 g $m^{-2}$, F층 291.50 g $m^{-2}$, H층 166.91 g $m^{-2}$, 그리고 $A_1$층 174.51 g $m^{-2}$, 로 L층과 F층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고, 질소함량 역시 L층과 F층에서 각각 17.47 mg $g^{-1}$, 17.00 mg $g^{-1}$으로 많았으며, 인과 칼륨함량은 H층과 $A_1$층에서 433.34 mg $g^{-1}$ 392.74 mg $g^{-1}$ 및 2,323.31 mg $g^{-1}$, 2,155.57 mg $g^{-1}$으로 다른 토양층에 비하여 많았다. 토양 속 유기물의 분해상수는 유기탄소 k = 0.3657, 질소 k = 0.3319, 인 k = 0.2050, 칼륨 k = 0.0934이였고, 99%가 분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유기탄소 13.94년, 질소 15.18년, 인 24.79년 그리고 칼륨 55.11년으로 순환 cycle이 없는 칼륨이 분해되는데 가장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신갈나무림에서 매년 유입되는 영양염류량과 집적층에 축적되는 영양염류량을 Turbo Pascal로 Programming한 후 신갈나무 군락의 상태를 진단해 본 결과, 임상에 유입된 유기탄소 중 87.67%인 714.84 mg $g^{-1}$, 축적된 유기탄소 중 81.62%인 1,594.62 g mg $g^{-1}$이 분해되어 유입되는 양과 분해되는 양이 거의 비슷하였다. 질소, 인 그리고 칼륨도 유입되는 영양염류량과 분해되는 영양염류량이 비슷하여 안정상태(steady state)를 유지하고 있는 군락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