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Hallasan National Park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영실탐방로의 해설표지판 분석 (An Analysis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along Eorimok-Yeongsil Trail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 고지희;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3-140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of interpretive signs along Eorimok-Yeongsil Trail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focusing on factors of distracting visitor's attention from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igns. Eorimok-Yeongsil Trail has a total of 86 signs, and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content, they are classified into thirteen general signs, sixteen location signs, nine safety signs and forty-eight interpretive signs. Interpretive signs provide visitors with information and explanations about the nature and human resources of Mt. Hallasan as well as enhancing the opportunity for self-guided interpretation. The contents of interpretive signs of Eorimok-Yeongsil Trail are composed of landscapes, flora and fauna, topography, geology, history and culture, of which 70.8% of the total are related to plants and animals. Interpretive signs on the Eorimok-Yeongsil Trail do not attract visitors' attention because of the low readability, inappropriate locations and frequent errors in translation from Korean into other languages. The causes of low readability of interpretive signs include thirty-six physically damaged and faded signs, twenty-two improper font sizes and misuse of color schemes and five unclear description signs. The reasons for the incorrect locations include twenty-two long distances from the trails, twenty-one inadequate heights and fifteen inconsistencies in descriptions and locations. Problems with English use include eight grammar and spelling errors, twenty-one incorrect translations, and twenty-six English names missing.

제주도 한라산 나비군집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Butterfly Communities inhabited of Mt. Hallasan, Jeju island, Korea)

  • 김도성;박성준;김동순;조영복;이영돈;안능호;김기경;서홍렬;차진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97-704
    • /
    • 2014
  • 제주도 한라산은 나비 학자들로부터 주요 관심의 대상지로 남방계와 북방계의 나비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월별로 선조사법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구간별 나비군집과 유사도를 분석하고 과거 기록과 비교하여 고도분포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5과 26종 3,397개체의 나비류가 조사되었다. 이중 상위 4종(가락지나비, 산굴뚝나비, 먹그늘나비, 조흰뱀눈나비)가 2,578개체(75.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한라산의 나비는 초지대에서 서식하는 특정종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나비 유사도는 교목층의 수관부와 열린 초지대와 같은 단일경관지역보다는 수관부와 열린 초지 공간이 함께 있는 지역에서 유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고도별 나비분포는 해발 1,665~1,700m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관찰되어 한라산 백록담 아래에 형성된 열린 초지공간이 주요 서식지로 나타났다. 또한 아고산대에 서식하던 종들은 고도가 좀 더 높은 쪽으로 이동하고 낮은 지역에 서식하던 종들이 새롭게 아고산대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 현황과 관리방안 (The Current Number of Its Individuals and Management Plan of Roe Deer(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 Inhabiting Mt. Halla(Hallasan), Jeju Island, Korea)

  • 김병수;오장근;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6-373
    • /
    • 2007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및 주변 약 $270km^2$의 면적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8년 11월(늦가을)에서 2001년 3월(이른 봄)사이에 이루어졌으며, 2006년 11월에서 2007년 1월사이에 추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1,444마리가 확인되어 $1km^2$당 5.33마리의 노루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돈내코 등산코스 주변에서 270마리로 가장 많았고 제 2횡단도로 주변이 12마리로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노루집단의 관찰빈도는 한라산국립공원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겨울철 한라산노루의 분포는 인위적인 간섭보다 먹이의 양과 질에 영향을 더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멸종위기야생식물II급 한라송이풀 자생지의 환경특성 및 식물상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Floristic Study of Endangered Pedicularis hallaisanensis Habitats)

  • 김임규;최성대;추갑철;황부영;강근혜;소순구;박은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163-173
    • /
    • 2018
  • 본 연구는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식물II급이자 한반도 고유종인 한라송이풀의 자생지 환경특성과 식물상을 조사하여 자생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야산 자생지는 해발 1,400m의 남서사면, 한라산 자생지는 해발 1,500m의 남동사면에서 출현하였으며, 두 자생지 모두 상층식생이 전무한 초지대에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의 이화학성 분석결과 토양 pH는 4.93-6.48, 토양유기물함량은 4.4-8.1%로 나타났다. 조사구 내 출현식물은 총 27과 40속 43종 8변종 4품종 등 총 55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가야산은 25분류군, 한라산은 3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라송이풀은 한반도 내 아고산지역에 잔존하는 북방계성 식물로 현재의 자생지는 주변식물의 피압에 의해 경쟁에서 지속적으로 밀려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하여 광도, 온도, 집단의 유전적 평가 등 다양한 인자를 포함한 종합적인 보전생물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주목(Taxus cuspidata) 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Taxus cuspidata Populations)

  • 전영문;홍문표;이나연;서은경;이승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3-131
    • /
    • 2012
  • 본 연구는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국립공원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개체군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개체군동태, 연륜생장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별 계층구조는 덕유산과 한라산은 교목층이 없는 3층구조를, 설악산지역에서는 4층구조로 분포하였다. 중요치를 통한 주요 분포 수종은 주목을 비롯하여 시닥나무, 신갈나무, 구상나무, 마가목 등으로 나타났다. 주목의 개체(DBH > 5 cm) 밀도는 한라산지역에서 986.0개체/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흉고직경은 설악산지역이 42.0 cm로 대경목의 개체들이 주로 분포하였다. 유묘와 치수, 그리고 후계목으로서 유목의 밀도는 357.3개체/ha와 128.6개체/ha로 한라산지역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한라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현 식생상태의 지속적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평균 연륜생장은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지역이 1.27 mm/연, 0.93 mm/연, 0.89 mm/연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Disturbance in seedling development of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tree species on higher altitude forests of Mt. Hallasan National Park, the central part of Jeju Island, Korea

  • Kim, Eun-Shik;Lee, Jong-Won;Choi, Im-Joon;Lim, Wontaek;Choi, Junghwan;Oh, Choong Hyeon;Lee, Sung-Hoon;Kim, Young-S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6호
    • /
    • pp.152-164
    • /
    • 2017
  • Background: Natural regeneration of seedlings as well as saplings of Korean fir has been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 browsing from the early stages of their development, potentially, by roe deer for the last two to three decades at the study site since late 1980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the disturbance in the seedling development of Korean fir (Abies koreana) on Mt. Hallasan, Jeju Island, Korea. Methods: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June and August in 2016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site and understory vegetation by applying systematic sampling to 125 plots of $5m{\times}5m$ quadrat located on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the variables quantified from the data sets using the SAS software. Results: No saplings with their diameters at breast heights smaller than 5.0 cm were found at the study site indicating the serious disturbance in the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fir at the study site. No seedlings with their heights taller than 36.0 cm were found at the study site indicating even more serious disturbance during earlier stage of the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fir at the study site. A total of 616 individuals of the seedlings of Korean fir were found at 54 out of 125 sampling plots. One hundred thirty-eight seedlings (22.4%) out of 616 individual seedlings have the vestiges for being grazed, potentially, by roe deer. Conclusions: Due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to the effects of browsing of the seedlings by roe deer to promote the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fir, ultimately to restore Korean fir. It is needed for the managers of the forest to install fences around the forest area. Exclosure experiments as well as enclosure experiments of different densities of browsing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treatment with different densities of Jeju dwarf bamboo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experiment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Jeju Island, Korea.

한라산국립공원내 도로변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Distributional Attribute of Naturalized Plants on the Roadsides in Hallasan National Park)

  • 김현철;김찬수;송창길;고정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8-289
    • /
    • 2007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내 1100도로와 5 16도로변의 식물상 및 식생을 조사하여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내 도로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2과 145속 총 197분류군이었으며, 이중 귀화식물은 11과 29속 37분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변 식생구조는 1100도로변인 경우 큰김의털-오리새 군집으로 대부분 이루어졌으며, 이 군집은 붉은토끼풀-창질경이 아군집과 제주조릿대-풀고사리 아군집으로 구분되었다. 5 16 도로변인 경우 큰김의털-오리새 군집과 주름조개풀-양지꽃 군집 및 돼지풀-고마리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1년생 식물이 전체 51.4%를 차지하였으며, 유럽원산이 70.3%로 가장 높은 구성율을 보였다. 도입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에 혼입되거나 목초용으로 유입된 경우가 각각 35.1%, 21.6%로 나타나 다른 도입경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한라산국립공원내 도로변에는 귀화식물인 큰김의털-오리새 군집이 대부분의 도로변에서 형성되어 있고 다양한 귀화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이는 도로 개설이나 확장, 정비 등에 따른 훼손지역 녹화용으로 큰김의털과 오리새 등이 주로 사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라산 구상나무 구과 해충 발생 현황 (Occurrence status of cone insects on Korean fir (Abies koreana) in Mt. Halla)

  • 김도성;이영돈;좌명은;이차영;남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7-420
    • /
    • 2020
  •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에서 구과 해충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8-10월에 3개 지역의 4개 조사구에서 구과 117개를 수집하여 생육상에서 우화시킨 후 출현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지역별 구과 해충의 피해율 조사를 위해 4개 조사구에서 93그루 1,235개 구과의 구과해충 피해를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채집된 117개 구과에서 솔알락명나방 233개체, 구상애기잎말이나방 101개체, 똥파리 4개체가 확인되었다. 구과 당 평균 개체수는 솔알락명나방 1.99, 구상애기잎말이나방은 0.86개체로 솔알락명나방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라산 4개 조사구 전체 구상나무 구과의 평균 피해율은 49.7에서 80.1%로 조사구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구과 피해율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을수록, 피해 구과에서 우화하는 구과해충 수는 구과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구과 해충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구과를 갖는 구상나무를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A New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Copepoda, Harpacticoida, Canthocamptidae) from Alpine Wetlands at Jeju Island, Korea

  • Lee, Jimin;Chang, Cheon 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3호
    • /
    • pp.219-229
    • /
    • 2016
  • Material of a Bryocamptus species, formerly reported as B. umiatensis Wilson, 1958 from Sakhalin and South Korea, is here recognized as a distinct new species. Specimens of both sexes were recently obtained from an alpine wetland, Sumeunmulbaengdui, located in the Hallasan National Park, Korea, and newly registered as a Ramsar Wetland in 2015. The new species, B. jejuensis n. sp., differs from the type population of B. umiatensis from Alaska by the smooth margin of the anal operculum in both sexes, the peculiarly modified terminal seta on the distal endopodal segment of the male leg 3, the sword-like spinous seta on the distal endopodal segment of the male leg 4, and the presence of a setule row on the inner distal margin of the caudal rami in the female. Both sexes of the new specie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male characters. A revised key to the seven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Chappuis, 1929 occurring in Korean waters is provided.

Possibility of Climate Change and Simulation of Soil Moisture Content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Chejudo Island, Korea

  • Kim, Eun-Shik;Kim, Young-S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17-123
    • /
    • 2000
  • Changing patterns and the possibility of climate change in the area of Cheiudo island, the southernmost Island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dail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observed at the Chei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from May 1923 to December 1998. A hydrologic simulation model "BROOK" was used to simulate and analyze the dynamics of daily soil moisture content and soil moisture deficit by applying the daily weather data. During the period, significantly increasing pattern was observed in temperature data of both annual and monthly basis, while no significantly changing pattern was observed in precipitation data. During the last 76 years. mean annual temperature was observed to have risen about 1.4$^{\circ}C$, which may show the Possibility of the initiation of climate change on the island whose validity should be tested in future studies after long-term studies on temperature. Based on the simulation, due to increased temperature, significant increase was predicted in evapotranspiration. while no significant decrease was detected in simulated soil moisture content during the period. Changing pattern of annual soil moisture content was markedly different from those of precipitation. In some dominant trees, negative effects of the drought of the late season for the previous year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radial growth of the tree for the current year. As annual variation of radial growth of trees is mainly affected by the soil moisture content. the information on the dynamics of soil moisture deficit possibly provides us with useful informat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tree growth decline on the mountain. mount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