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t. Geumwon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Vegetation in the Mt. Geumwon Recreational Forest (금원산 자연휴양림 산림식생의 종 조성)

  • Park, Jun-Ho;Im, Jong-Taek;Gu, Gwan-Hyo;Cho, Min-Ki;Jung, Hye-Ran;Lee, Jung-Hwan;Moon, Hyun-Shi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6 no.2
    • /
    • pp.149-158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offer a basis data for application of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through grasping of species composition by layer of forest vegetation in the Mt. Geumwon recreational forest. The tree and subtree layer consisted of 27 and 44 species in Mt. Geumwon recreational forest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 of Quercus mongolica (57.1) and Q. serrata (40.4) were highest in the tree layer and that of Acer pseudo-sieboldianum (43.4) was highest in the subtree layer, respectively. The shrub and herb layer was composed of 71 and 69 species, respectively. The value of species diversity ranged from 1.0391 to 1.5403. Evenness ranged from 0.7259 to 0.8320. Dominance was 0.2741 at tree layer, 0.2440 at subtree layer, 0.1680 at shrub layer, and 0.1702 at herb layer, which showed that Mt. Geumwon recreational forest is dominated by a large number of species at all layer. The result of forest vegetation in Mt. Geumwon recreational forest may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application of reasonable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nalysis on Early Growth Performances of Abies koreana by Seedling Treatments and Site Conditions for Restoration of Relict Population in Mt. Geumwon (금원산 구상나무 잔존집단 복원을 위한 묘목처리 및 입지환경에 따른 초기생장분석)

  • Chae, Seung-Beom;Kim, Joon-Hyeok;Lim, Hyo-I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28-28
    • /
    • 2019
  • 본 연구는 멸종위기 아고산수종 구상나무 잔존집단 복원을 위해서 묘목처리 및 입지환경이 구상나무묘목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경상남도 금원산으로 해발 1,300 m 이상 능선부(1입지)와 구상나무 잔존집단(2입지)을 선정하였다. 식재한 구상나무 실생묘는 지리산 5개 개체에서 종자를 채취하여 2014년도 파종한 1~5묘 1,350본을 이용하였다. 2019년 5월 연구대상지의 조릿대를 제거 후 무처리, 분해포트, 균근균 접종 실생묘를 9개 구역으로 나누어 3반복씩 입지별 0.15 ha, 4,500 본/ha 밀도로 식재하였다. 식재 후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입지별 기상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묘목의 생존율, 수고, 1년지 생장량 및 근원경을 측정하였다. 환경분석 결과 1입지(88.2%, $42.8umole{\cdot}m^{-2}{\cdot}s^{-1}$)가 2입지(84.5%, $29.4umole{\cdot}m^{-2}{\cdot}s^{-1}$)에 비해 대기습도와 광량이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 실생묘의 생존율은 모든 입지에서 100%로 나타났다. 입지별 생장특성 분석 결과 1입지가 수고 17.3 cm, 1년지 생장 4.72 cm 및 근원경 6.20 mm로 2입지(19.0 cm, 3.88 cm, 5.31 mm)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묘목 처리에 따른 분석 결과 무처리와 분해포트 묘목이 모든 입지에서 초기 생장이 양호하였고 균근균 접종 처리는 초기에는 비교적 낮은 생장특성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기습도와 광량이 높은 환경 조건이 구상나무 묘목의 초기 생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묘목 처리에 따른 생장특성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