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ain soils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1초

대관령(大關嶺) 고령지(高嶺地) 토양(土壤)의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 조사(調査) (Microflora of Daekwanryung Highland soil)

  • 윤세영;김정제;양재의;정영상;최중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4-98
    • /
    • 1997
  • 본연구는 대관령 고령지 토양의 토양미생물상을 조사한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예정지토양의 토양미생물상을 비교할 때 작물을 재배한 토양이 나지에 비하여, 세균, 방선균, 사상균등의 일반미생물수와 병원성세균인 Erwinia속의 미생물 공히 균수가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층토양과 심층토양의 미생물상을 보면 세균, 방선균, 사상균, Pseudomonas spp., Erwinia sp.등 모든 균종에서 표층토양에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시험예정지 토양의 Pseudomonas fluorescens 및 P. putida균수를 보면 전체적으로 심토 보다는 표토에서 균수가 많은 것은 다른 일반 미생물의 경우와 같으나 배추재배 토양에 있어서 표토와 심토의 균수의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감자재배토양에서는 표토와 심토의 균수의 차이가 더욱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나지토양에 있어서는 P. fluorescens는 표토에서 균수가 현저히 많았으나, P. putida는 표토와 심토의 균수차이가 크지 않았다. 3. 옥수수를 재배하는 인근 농가포장의 미생물상을 보면 배추와 감자를 재배하는 시험예정 지토양에 비하여 모든 균수에서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나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균수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4. 산림토양의 Pseudomonas 속의 균수는 ${\times}10^4$ 범위에 있어서 초지토양이나 옥수수재배 토양보다는 균수가 적은 경향을 보였다. 5. 초지토양의 층위별 P. fluorescens 및 P. putida는 상층토양 (0-15cm)보다 중층토양(15-30cm)에서 균수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하층토양(30cm이하)에서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초지토양의 뿌리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6. 옥수수재배토양에서의 Pseudomonas속 균수의 범위는 $10-49{\times}10^4$(CFU/건토g)였으며 이것은 대체로 작물을 재배하지 않은 토양에 비해서는 균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7. 토양병원성세균의 하나로 배추나 감자의 무름병의 원인균과 동일한 속(屬)에 속하는 Erwinia속 균수의 범위는 $0-23{\times}10^3$(CFU/토양g)로서 감자재배토양에서는 다른 토양에 비하여 균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밖의 토양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Characteristics of Fertility of Cucumber Cultivated Soils at Controlled Horticulture in Chungnam Province

  • Choi, Moon-Tae;Yun, Yeo-Uk;Lee, Jin-Il;Lee, Jong-Eun;Jung, Suck-Kee;Nam, Yun-Gyu;Lee, Young 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62-268
    • /
    • 2014
  • The managem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s very important to sustainable agriculture of many horticultural crops, including cucumb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optimal soil propertie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in controlled horticultur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267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oil in Chungnam Province. The average of pH, EC, OM,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 Ca, and Mg was 6.1, $5.38dS\;m^{-1}$, $34g\;kg^{-1}$, $1,321mg\;kg^{-1}$, $1.50cmol_c\;kg{-1}$, $10.3cmol_c\;kg{-1}$, and $3.4cmol_c\;kg{-1}$, respectively. The organic matter content in silty clay loa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soil textures, whereas the pH, EC, exchangeable K, and Mg in loamy fine sand showed significantly lower among soil textures. The EC value and exchangeable Mg concentration were highest in mountain foot-slope soils. The frequency distribution within optimum range of soil chemical properties was 26.2%, 30.3%, 2.3%, 3.8%, 3.4%, and 6.7% for pH, OM,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 Ca, and Mg, respectively. Especially, excessive portion of available $P_2O_5$ and exchangeable Ca were 94.0% and 94.4%, respectively. The EC value and organic matter content of soil samples were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chemical properties except soil pH. In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f chemical properties in soil samples, the percentage of variance explained by PC 1 was 52.2%, while PC 2 explained 21.3% of the variance, for a cumulative total of 73.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improve soil nutrient management for sustainable controlled horticulture.

논의 휴한기 이용형태와 토양화학성이 토양세균의 탄소원 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icultural Practic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on Community-level Physiological Profiles (CLPP) of Soil Bacteria in Rice Fields During the Non-growing Season)

  • 어진우;김명현;송영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9-224
    • /
    • 2019
  • BACKGROUND: Soil bacteria play important roles in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and nutrient cycling during the non-growing s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management and chemical properties on the utilization of carbon sources by soil bacteria in paddy fields. METHODS AND RESULTS: The Biolog EcoPlate was used for analyzing community-level carbon substrate utilization profiles of soil bacteria. Soils were collected from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areas: plain, interface and mountain areas, which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topology effect. The results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Kendall rank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oil C/N ratio and NH4+ influenced utilization of carbon sources by bacteria. The utilization of carbohydrates and complex carbon sourc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H4+ concentration. Cultivated paddy fields were compared with adjacent abandoned field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ultivation cessation. The level of utilization of putrescine was lower in abandoned fields than in cultivated fields. Monoculture fields were compared with double cropping fields cultivated with barle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inter crop cultivation. Cropping system altered bacterial use of carbon sources, as reflected by the enhanced utilization of 2-hydroxy benzoic acid under monoculture condi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soil use intensity and topological characteristics have a minimal impact on soil bacterial functioning in relation to carbon substrate utilization. Moreover,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physiological profile of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in paddy fields.

토양 방선균 Streptomyces sp. MG 121의 항균활성 및 고추 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reptomyces sp. MG 121 on Growth of Pepper Plants and Antifungal Activity)

  • 임태헌;조성현;김진호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93-97
    • /
    • 2007
  • 비경작 산림 토양으로부터 고추 역병균과 탄저병균에 대한 항균활성, 불용태 인산의 가용화 및 식물체 초기생육촉진 효과를 보이는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선발된 미생물의 16S rDNA 염시서열을 분석한 결과, Streptomyces sp.로 동정되었다. Streptomyces sp. MG 121 균주는 고추열매를 이용한 역병과 탄저병을 80% 이상 억제하였다. MG 121균주 배양액의 식물체 엽면살포는 식물체의 초기생육을 10% 이상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용태 인산의 가용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유리인산의 농도는 144시간 후 $762{\mu}g/ml$까지 증가하였다.

Depth Profiles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H^{o}edong$ Reservoir

  • Moon Byung-Chul;Park Kwang-Jae;Jung Eui-Han;Jeong Gi Ho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1권1호
    • /
    • pp.1-9
    • /
    • 1997
  • We investigated the depth profiles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at Heedong reservoir in Pusan. Sampling was done at the intervals of 50 m of drift along the water channel into the reservoir. All samples were analyzed with an ICP-AES. We determined the content of Zn, Pb, Cd, Mn, Cu, Cr, and Fe. The overall mean content of these heavy metals were observed to $(2.9\pm1.2){\times}10^{-3},\;(1.3\pm0.7){\times}10^{-3},$ $(1.9\pm2.1){\times}10^{-4},$ $(2.3\pm1.1){\times}10^{-2},\;(1.6\pm1.0){\times}10^{-3},\;and\;(4.5\pm2.6){\times}10^{-4}$ ppm/ppmFe, respectively excluding iron data. Mean contents of Cu show an increasing trend toward the surface of sediments, while those of Cd show a decreasing trend, and those of Pb and Cr are relatively stable. Comparing with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soils at two sites of Kumjeong mountain, enrichment factors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were determined. Among heavy metals we investigated, copper showed the largest value of enrichment factor. Considering the maximum content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 the values of enrichment factors of Cu, Cd and Cr were significant, which were 22, 8.1 and 4.0, respectively. In leaching experiment, it appeared that Pb, Cd, Cr, and Fe in sediments were hardly leached out into water,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pH on the content of heavy metals.

  • PDF

Depth Profiles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Haedong Reservoir

  • Byung-Chul Moon;Kwa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9
    • /
    • 1992
  • We investigated the depth profiles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at Haedong reservoir in Pusan. Sampling was done at the intervals of 50 m of drift along the water channel into the reservoir. All samples were analyzed with an ICP-AES. We determined the content of Zn, Pb, Cd, Mn, Cu, Cr, and Fe. The overall mean content of these heavy metals were observed to $(2.9{\pm}1.2){\times}10^{-3}$, $(1.3{\pm}0.7){\times}10^{-3}$, $(1.9{\pm}2.1){\times}10^{-4}$ $(2.3{\pm}1.1){\times}10^{-2}$ $(1.6{\pm}1.0){\times}10{-3}$, and $(4.5{\pm}2.6){\times}10^{-4}$ ppm/ppm Fe, recpectively excluding iron data. Mean contents of Cu show an increasing trend toward the surface of sediments, while those of U show a decreasing trend, and those of Pb and Cr are relatively stable. Comparing with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soils at two sites of Kumjeong mountain, enrichment factors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were determined. Among heavy metals we investigated, copper showed the largest value of enrichment factor. Considering the maximum content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 the values of enrichment factors of Cu, Cd and Cr were significant which were n, 8.1 and 4.0, respectively. In leaching experiment, it appeared that Pb, Cd, Cr, and Fe in sediments were hardly leached out into water.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pH on the content of heavy metals.

  • PDF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II -서울·인천·경기지역을 중심으로- (Management Guidelines of Natural Monuments Old Trees through an Ananlysis of Growing Environments II -A Focus o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s-)

  • 강현경;이승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6-4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rmulate management guidelines for monumental old trees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growing environments. A total of 20 old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s were surveyed for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rrounding environments, root collar conditions, tree health, and soi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s among root collar conditions, tree health, and soi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The old solitary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included Pinus bungeana(4 trees), Juniperus chinensis(3 trees), Ginkgo biloba(3 trees), Poncirus trifoliata(2 trees), Actinidia arguta, Wisteria floribunda, Thuja orientalis, Quercus variabilis, Sophora japonica, Fraxinus rhynchophylla, Zelkova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The tree height ranged from 3.56 to 67m, and root collar diameter ranged from 1.01 to 15.2m. The monumental old trees were growing on the various sites ranging from gardens, historical sites, open agricultural fields, mountain hills, to near the ocean beaches and streams. The coverage of bald land ranged from 50 to 100%, and depth of filled soil around the root collar ranged from 0 to 50cm. Tree health was expressed as the amount of branch dieback, cavity development, detachment of cambial tissue, infliction by diseases and insects. The branch dieback ranged from 5 to 20%, cavity development ranged from 10 to 100$cm^3$, detachment of cambial tissue ranged from 5 to 45%, and infliction by diseases and insects ranged from 5 to 20%. Soil pH ranged from 5.9 to 8.3, organic matter contents from 12 to 56%, phosphorus contents from 104 to 618ppm, while soil compaction ranged from 7 to 28mm.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overage of bald land was the most serious factor to deteriorate the cavity development and detachment of cambial tissue. In additi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health of the trees.

토석류의 침식 및 퇴적을 고려한 유동층의 거동 분석 (Analysis of Liquefied Layer Activities Considering Erosion and Sedimentation of Debris Flow)

  • 김성덕;이호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23-29
    • /
    • 2019
  • 최근의 기후변화는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토석류를 발생시켜 하류에 많은 재난을 야기하였다.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는 퇴적과 침식을 반복하며 하류로 이동하고, 유동화된 토사-물 혼합물 형태로 나타난다. 이처럼 강한 운동성의 토석류를 해석하기 위하여 연속방정식 및 운동량 방정식을 적용하였고, 퇴적 및 침식에 관한 속도식은 세립사가 포한된 수정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산지 상류부에서 발생 가능한 퇴적토사량의 변화에 대한 하류부에서의 토석류 거동을 분석한 것이다. 조립토사의 포설 길이 변화에 따른 수로 하류단에서 토사체적농도를 분석해 보면, 공급유량이 많고 포설길이가 길수록 토사농도의 고저차가 크게 나타났고, 변곡점 발생 시점도 빨라진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경사의 비탈사면에서의 침식 및 퇴적 가능 여부를 알 수 있는 침식-퇴적 속도를 판단하여 토석류 재해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데 좋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동남(東南)스페인 Mula지역(地域)에서의 Land Resources Survey (A Land Resources Survey of the Mula Area, S. E. Spain)

  • 윤석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6권1호
    • /
    • pp.29-64
    • /
    • 1973
  • 아건조지대(亞乾燥地帶)인 동남(東南)스페인 Mula지역(地域)에서 약(約)$400km^2$에 걸쳐 1972년(年) 봄에 실시(實施)된 본조사(本調査)의 주목적(主目的)은 지형학(地形學)을 응용(應用)하여 조사지역(調査地域)을 유사(類似)한 지질(地質), 지형(地形), 토양(土壞) 및 식물(植物)로서 특징(特徵)지어지는 일련(一連)의 land complex로 분석(分析) 결합(結合)하여 내재(內在)된 토지자원(士地資源)(land resources)의 특질(特質)을 연구(硏究)함에 있었다. 본지역(本地域)은 서북부(西北部)의 삼(三)첩~백악기(白堊記) 석회암(石灰岩), Eocene 암석암(岩石岩) 및 Oligocene 사암(妙岩)으로 된 습곡산맥(褶曲山脈)과 구릉지대(丘陵地帶), 중앙부(中央部)의 Miocene marl과 이를 덮는 석회암(石灰岩)의 개암층(蓋岩層)으로 된 일련(一連)의 탁상지군(卓狀地群)과 이에 병행(倂行)하는 동(同) marl과 충적층으로 된 Mula 강(江) 유역(流域)의 저지대(低地帶), 그리고 동남부(東南部)의 Miocene marl 및 석회질(石灰質) 또는 묘질암(妙質岩)의 호층(互層)으로 된 cuesta 지대(地帶)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이들은 동북동일서남서(東北東一西南西)의 방향(方向)으로 평행배열(平行配列)을 이루어 기반암층(基盤岩層)의 동사구조(同料構造)와 이에 대한 차별침식(差別浸蝕)의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총(總) 26개(個)의 land complex로 분류(分類)된 본지역(本地域)의 토양(土壞)은 대체(大體)로 담색(淡色) 석회질(石灰質) 광물성토양(鑛物性土壤)으로 pH 7 이상(以上)의 강한 알칼리성(性)을 띰으로서 주(主)로 이회질(泥灰質) 모물질(母物質)로 부터 이루어 졌음을 반영(反映)하고 있으며 지표(地表)의 기복(起伏) 조건(條件)에 의(依)해 slope catena를 이루고 있다. 본지역(本地域)에 있어서의 토지이용(土地利用)은 주(主)로 Sequra 및 Mula 강(江) 유역(流域)의 단구상(段丘狀) 충적층상에서의 영구관개(永久灌漑)에 의(依)한 Citrus 재배(栽培)와 저구배(低句配) 경사지(傾斜地)에 있어서의 건륙(乾陸) 곡물경작(穀物耕作)으로 특징(特徵)지어 진다. 고구배지대(高勾配地帶)나 shrub 지대내(地帶內)에서의 선구적(先驅的) 개(閒)간은 주(主)로 천수(天水)가 모이는 배수곡(排水谷)을 따라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미 그 한계(限界)에 달하고 있다. 아건조기후하(亞乾燥氣候下)에 있는 본지역(本地域)에 있어서 물의 혜택(惠擇)은 천연(天然) 및 경작식물(耕作植物)의 소장(消長)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根本的) 요인(要因)이며 표토유실(表土流失) 및 우곡작용(雨谷作用)은 자연보존(自然保存) 및 토지자원관리상(土地資源管理上) 기본적(基本的)으로 고려(考慮)해야 할 중요(重要)한 요인(要因)이다.

  • PDF

천연문엽수임내(天然聞葉樹林內) 주요(主要) 구성(構成) 수종(樹種)의 천연경신(天然更新) 양상(樣相) (The Aspect of Natural Regeneration for Major Tree Speci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양희문;김광택;이원섭;강성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1-17
    • /
    • 2001
  • 이 연구는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의 일환으로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주요 수종별 천연갱신 특성을 평가하여 연구대상 산림의 전반적인 천연갱신에 대한 종합적인 생태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수종별 천연갱신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거제수나무 : 비산되는 종자이므로 종자 공급에는 문제가 없으나, 종자 발아를 위해서 노출된 광물질토양이 필요하며, 두꺼운 낙엽층은 종자 발아를 제한한다. 발아 후 갱신치수는 다량의 광선을 필요로 한다. 고로쇠나무 : 내음성은 강하나, 치수의 내건성이 약하므로 50% 이상의 피음을 요구하며, 우량 형질의 임목 조성을 위해 높은 초기 밀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맹아정신력은 높다. 난티나무 : 수분 요구도가 높고 내음성이 약하므로 60% 가량의 상층 울폐도를 유지하여 보습과 광선유입이 원활하여야 하며, 치수 활착을 위해서 관목류 및 기타 식생으로부터 경쟁 요인을 제거한다. 들메나무 : 종자 발아를 위해 광물질 토양의 노출이 필수적이며, 치수 활착을 위해서 다량의 수분과 광선이 요구되고, 지피식생에 의한 치수의 피압이 우려되므로 임지정리작업 도입이 필수적이다. 물푸레나무 : 종자 결실의 풍흉이 심하며, 두꺼운 낙엽층은 종자발아를 제한한다. 치수 활착시 지피식생에 의한 피압이 우려되므로 임지정리작업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신갈나무 : 종자공급의 문제(설치류에 의한 피해) 및 두꺼운 낙엽층 및 조릿대 밀생 지역에서는 종자발아가 제한되며, 치수 발생 후, 임관의 50% 이상을 열어줄 필요가 있고, 맹아갱신력이 높다. 음나무 : 두꺼운 낙엽층은 종자발아를 제한하며, 유령목 생육에 다량의 광선이 요구된다. 젓나무 : 내음성은 강하나, 유령목 단계에서 생육은 극히 저조하다. 층층나무 : 동물에 의해서 종자가 산포되지만 종자 피해는 불가피하며, 발아와 치수 활착을 위해서 다량의 광선이 요구된다. 피나무 : 종자 충실률이 낮고 이중 휴면성 때문에 종자 공급에 어려움이 있으며, 두꺼운 낙엽층은 종자발아의 걸림이 되므로 광물질 토양이 필요하고, 맹아갱신력이 매우 높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