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t's variable range hopping mode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La2/3TiO2.84 세라믹스의 전기전도특성 (Electrical Transport Properties of La2/3TiO2.84 Ceramic)

  • 정우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858-863
    • /
    • 2004
  • 본 연구는 입방정 L $a_{2}$ 3/Ti $O_{2.84}$ 세라믹스의 전기전도율, 열기전력 그리고 자기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350 K 이하의 은도영역에서의 입방정 L $a_{2}$ 3/Ti $O_{2.84}$ 세라믹스의 열기전력은 음으로 나타났다 열기전력은 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A+BT의 형태로 표현가능 하였으며, Emin과 Wood가 제안한 모델과 잘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열기전력의 온도의존성은 L $a_{2}$ 3/Ti $O_{2.84}$ 세라믹스의 전도 carrier가 small polaron임을 의미한다. L $a_{2}$ 3/Ti $O_{2.84}$ 세라믹스는 실온 이하의 특정온도에서 variable range hopping에서 small polaron hopping으로 변화하였다. 저온영역에서는 직류전도 기구해석은 Mott의 접근방식을 이용하였다. Mott의 보조변수 해석결과 Fermi면에서의 상태밀도 [N( $E_{F}$)]는 3.18${\times}$$10^{20}$ $cm^{-3}$e $V^{-1}$이었으며, 무질서에너지 $W_{d}$는 0.93로 고온에서의 활성화 에너지 보다 매우 크다. 200K와 300K온도 범위에서 log($\sigma$T)와 1/T의 직선 관계가 존재 하였으며, small polaron의 hopping energy는 0.15 eV였다.

Effect of Partial Substitution of Magnetic Rare Earths for La on the Structure, Electric Transport And Magnetic Properties of Oxygen Deficient Phase LaSr2MnCrO7-δ

  • Singh, Devinder;Sharma, Sushma;Mahajan, Arun;Singh, Suram;Singh, Rajinder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6호
    • /
    • pp.1679-1683
    • /
    • 2013
  • Intergrowth perovskite type complex oxides $La_{0.8}Ln_{0.2}Sr_2MnCrO_{7-{\delta}}$ (Ln=La, Nd, Gd, and Dy) have been synthesized by sol-gel method. Rietveld profile analysis shows that the phases crystallize with tetragonal unit cell in the space group I4/mmm. The unit cell parameters a and c decrease with decreasing effective ionic radius of the lanthanide ion. The magnetic studies suggest that the ferromagnetic interactions are dominant due to $Mn^{3+}$-O-$Mn^{4+}$ and $Mn^{3+}$-O-$Cr^{3+}$ double exchange interactions. Both Weiss constant (${\theta}$) and Curie temperature ($T_C$) increase with decreasing ionic radius of lanthanide ion. It was found that the transport mechanism is dominated by Mott's variable range hopping (VRH) model with an increase of Mott localization energy.

Transport Properties of Polypyrrole Films Doped with Sulphonic Acids

  • Basavaraja, C.;Kim, Na-Ri;Jo, Eun-Ae;Pierson, R.;Huh, Do-Sung;Venkataraman, 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1호
    • /
    • pp.2701-2706
    • /
    • 2009
  • The polymer blends containing polypyrrole (PPy) and the sulphonic acids such as β-naphthalene sulfonic acid (NSA), camphor sulfonic acid (CSA), and dodecylbenzenesulfonic acid (DBSA) were synthesized by in situ deposition technique in an aqueous media using ammonium per sulfate (APS) as an initiator. The obtained film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he thermal behavior of these polymer blends was analyz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 temperature-dependent (DC) conductivity of the obtained films shows a semiconducting behavior with a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ivity (TCR). The conductivity data were also analyzed through Mott’s equation, which provides the variable range hopping model in three dimensions. The parameters such as density of states at the Fermi energy, hopping energy, and hopping distance were calculated for PPy, PPy-NSA, PPy-CSA, and PPy-DBSA films, and the data were compared.

수소화된 비정질 탄소박막에서 전기적 특성의 불안정성 (Instability of Electric Characteristics in Hydrogenated Amorphous Carbon)

  • 강성수;이원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5-111
    • /
    • 1999
  • PECVD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수소화된 비정질 탄소박막에서 측정 전압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급격한 변화와 시간에 따른 전류의 이완 현상을 관측하였다. 이 현상은 Hammer 등에 의해 four-probe 측정과 샌드위치형 전극 시료에 대해서 측정한 것과 동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전압에서 전자가 트랩에 포획될 확률이 작아진다"는 가정 하에서 정성적이지만 전기전도도의 측정 전압 의존에 관한 세 가지 현상이 비교적 잘 설명됨을 제시하였다.

  • PDF

수소화된 비정질 탄소 박막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chanism In a-C : H)

  • 정진우;강성수;육도진;이원진;신재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3-110
    • /
    • 1997
  • PECVD 방법으로 제작한 비정질 탄소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존에 제시되어 있는 전기전도의 두 가지 모형을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상온에서 제작된 시료는 VRH 모델, 고온에서 제작된 시료는 MPH 모델로서 설명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새로운 전기전도에 대한 모델이 확립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