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vation-Threat-Abilit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대학 스마트워크 수업 중 스마트워크 이용저항과 수업 외적인 행동 고찰: 동기-위협-능력 프레임워크 관점 (Examining the Smartwork Use Resistance and Non-Class-Related Behavior of Attendees in University Smartwork Class: A Motivation-Threat-Ability Framework Perspective)

  • 이종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39-4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위협-능력 관점에서 대학 스마트워크 수업 중에 수강생들의 스마트워크 이용저항과 수업 외적인 행동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을 개발하였고, 스마트워크 전환비용, 위협,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스마트워크 이용저항을 거쳐 수업 외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수업 외적인 행동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방법을 이용하였고,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80개의 데이터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첫째, 전환비용과 수강위협은 스마트워크 이용저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워크 이용저항은 수업 외적인 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효능감은 수업 외적인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정책 수립에 있어서 스마트워크 이용저항 동기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보호동기요인이 나트륨 저감화 관련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경남·부산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Effect of Protection Motivation Factors on Behavioral Intention to Reduce Sodium Intak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nam and Busan)

  • 장수현;윤은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4-114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otection motiv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 serious illnesses related to excessive sodium intake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nam and Busan. Within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PMT) framework,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participants' perceptions on the severity of and the vulnerability to the threat of serious diseases due to the high sodium intake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measures (response efficacy), and the ability to perform them (self-efficacy) along with their willingness to follow recommendations (behavioral intention). Data was collected in June 2015.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ither low (n=117) or high (n=177) sodium intake behavior groups based on their current behavio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measure construct validity and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to check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The high sodium intake behavior group perceived higher vulnerability than the low sodium intake behavior group among four PMT factors. Differences of the other three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lf-efficacy and response efficacy affected behavioral intention of high sodium intake behavior among students. Henc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response efficacy are strongly recommended.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한 나트륨 과다섭취에 따른 위험성 및 나트륨 섭취 감소 방안의 효과성에 대한 부산·경남 지역 남녀 대학생들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Health Risks and the Risk Reduction Measures Related to Sodium Intake between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An Application of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 장수현;윤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6-14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motivating university students to decrease their sodium intake and to identify effective motivating factors. Within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PMT) framework,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participants' perceptions on the severity of and the vulnerability to risk of serious diseases due to the high sodium intake,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response efficacy) and the ability to perform preventive measures (self-efficacy). Behavioral intentions on five specific practices (checking nutrition label, consuming more fruits and vegetables, consuming less soups, avoiding spicy and pungent food, purchasing less instant or restaurant foods) related to decreasing sodium intake were also included. A total of 294 usable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92 male, 202 female) in Busan and Gyeongnam in June 2015 and analyzed using IBM SPSS 22. Severity was the highest (4.04) PMT factor followed by response efficacy (3.72), self-efficacy (3.42), and vulnerability (3.26). Compared to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thought that the threat was more severe (t=6.035, p<0.001) and reducing sodium intake would be effective to prevent serious illnesses (t=4.724, p<0.001), but their vulnerability and self-efficacy perceptions were not different from male students. Among the five items measuring behavioral intention,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fruits and vegetables consumption (t=3.811, p<0.001), while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avoid spicy and pungent foods (t=2.336, p=0.020). Based on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commended strategy to effectively motivate university students to lower their sodium consumption level is the development of campaign focused on increased vulnerability perception, response efficacy, and ease of practicing preventive measures instead of emphasizing the severity of the consequences.

위치기반 지식정보를 활용한 맛집 추천 앱의 효과: 프라이버시 계산을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f Apps Recommending Best Restaurant through Location-based Knowledg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 장택붕;임현아;최재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9-106
    • /
    • 2017
  •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세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 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가 새로운 서비스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LBS 앱 관련 제도와 법규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LBS 앱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개인 사생활 침해 가능성 및 개인 정보유출과 같은 프라이버시 염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사용자가 사용하는 맛집 앱을 대상으로 LBS 앱 사용자의 인지된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맛집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개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얻게 되는 인지된 가치와 그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가 정보의 유용성을 인지하며 정보에 대한 통제능력이 높을수록 정보에 대한 인지된 가치가 증가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위치기반서비스 앱 활용능력이 프라이버시 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보에 지각된 취약성이 프라이버시 위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달리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가치는 프라이버시 계산에 구성되는 프라이버시 이익과 위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