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s Flor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기후적 질서로 본 오대산 선식물상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4권2호
    • /
    • pp.33-40
    • /
    • 1961
  • The moss flora and it's geoecological study were made on Mt. Odae which is situated in the easterm part(37$^{\circ}$43'N. Lat., 128$^{\circ}$30' E. Long) of Korea. The total number ofmosses collected on Mt. Odae in the autumn of 1960 is 50 species, 1 varieties and 1 subspecies, belonging to 23 families. For climate index, Warmth index and Humidity index were calculaterd on Mt. Odae. From the result, it was known that the climate of Mt. Odae is Humid temperate climate and that it's vegetation zone is Deciduous broad-leaf forest zone. Moss Quotient of this mountain is 1.21 and it indicates that the plant climate of Mt. Odae is Hemicryptophytic climate. The moss flora of this mountain was discussed from the pnytogeographical point of view. The flora consists of the following elements: Holarctic element : 20 species (38.5%) North Pacific element: 1 (1.9%) Cosmopolian element: 6 (11.6%) Tropical element: 1 (1.9%) East Asiatic element: 12 (23.05%) Korean-Japan element: 12 (23.05%) Coefficient of closeness was also calculated between the moss flora of Mt. Odae and that of Mt. Sulak and Mt. Kwanak. It was known, therefore, that the flora relation between Mt. Odae and the Mt. Sulak was closer than that between Mt. Odae and Mt. Kwanak.

  • PDF

The Mosses of Barton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New Records and an Updated Checklist

  • Yoon,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1호
    • /
    • pp.15-20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oss flora of Barton Peninsula on King George Island of Antarctica. The study presented here was based on field surveys of Barton Peninsula conducted by the author during the austral summer season in 2012/2013, 2013/2014, 2014/2015 and herbarium specimens from Hiroshima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oss flora Barton Peninsula consisted of a total of 35 species, with 11 families and 21 genera.

The moss flora of Mt. Deogyu in Korea

  • Yoon, Young Jun;Kim, Chul Hwan;Gorobets, Konstantin V.;Sun, Byung-Y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7-297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ss flora of Mt. Deogyu located on the border of the Jeonbuk and Kyungnam provinces in Korea. A total of 21 field surveys were carried out at various sites in the mountain area from August 2007 to September 2008. All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rocessed into voucher specimens and were currently deposited in the herbarium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NU). In this study, we collected and identified 158 moss taxa, which included 156 species, 1 subsp. and 1 var. of 96 genera and 37 families. Unconfirmed taxa in this study, but previously recorded, belonged to 25 taxa, which included 13 families, 19 genera and 25 species. In addition, 183 taxa were found on Mt. Dreogyu, which belonged to 37 families, 101 genera, 1 subsp. and 1 var. The habitat of each collection was examined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Ignatov et al. (2006) was used. New vernacular names of 6 families and 11 genera were then determined. Six species, formerly thought be only in North Korea, were shown to be present on Mt. Deogyu, which included Bucklandiella laeta, Anomobryum filiforme var. concinnatum, Herzogiella turfacea, Brachythecium rutabulum, Eurhynchium angustirete and Campylidium hispidulum.

Brachydontium olympicum (E. Britton) T. T. McIntosh & J. R. Spence (Ptychomitriaceae), a newly recorded species for the Korean moss flora

  • PARK, Seung Jin;SUN, Byung-Yun;CHOI, Seung S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1-373
    • /
    • 2019
  • While conducting a floristic study of Korean moss, we discovered one unrecorded species collected from Mt. Hallasan in Korea. Brachydontium olympicum (E. Britton) T. T. McIntosh & J. R. Spence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or Korea. Unlike other species of Brachydontium, this species has no peristome and its distal laminal cells are mostly isodiametric.

New and noteworthy records of the moss flora of Korea

  • KIM, Wonhee;HIGUCHI, Masanobu;YAMAGUCHI, Tomio;SATO, Takumi;INOUE, Yuy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19-426
    • /
    • 2020
  • A total of 34 taxa, 33 species and one variety, are newly added to the moss checklist of Korea. They were collected on Jejudo Island, Samcheok limestone areas in Gangwon Province, and Socheongdo Island from 2015 to 2018 and organized into 19 families and 26 genera. Additionally, eight genera are new to Korea. This study verifies the distributions of nine species whose distributions and specimens have remained unknown thus far. Finally, two unrecorded taxa, consisting of one species and one variety, are identified by reexamining Korean specimens deposited at the National Museum and Science in Japan (TNS).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in 1942 and 1940 from Mt. Baekdusan and Anbyun in North Korea.

한반도 미기록 선류식물 I (Four unrecorded moss species from the Korean flora)

  • 윤영준;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6-191
    • /
    • 2010
  • 우리나라 미기록 선류식물 4종을 발견하였다. 미기록속인 Meteoriaceae (누운끈이끼과)의 오름끈이끼(Barbella flagellifera (Card.) Nog.)는 주로 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제주도 서검은오름의 나무 등에 착생하여 생육하고 있었다. 미기록종인 Lembophyllaceae (호랑꼬리이끼과)의 울릉잎맥호랑꼬리이끼(Isothecium hakkodense Besch.)는 I. subdiversiforme와 유사하지만 가지 잎의 모양과 익부세포의 분화정도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고, 울릉도 성인봉 부근의 바위에서 수백개체가 생육하고 있었다. Mniaceae (초롱이끼과)의 백무초롱이끼(Mnium orientale R. E. Wyatt, Odrzykoski & T. J. Kop.)는 M. heterophyllum와 유사하지만 식물체의 크기, 겹톱니의 유무, 세포의 크기면에서 구분이 가능하며, 경상남도 함양군 지리산 백무동계곡에서 채집되었다. Fissidentaceae (봉황이끼과)의 바위봉황이끼(Fissidens gardneri Mitt.)는 F. obscurirete와 유사하지만 식물체의 크기, 잎의 모양, 잎맥의 길이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전라남도 고흥군 팔령산 계곡의 바위 착생하여 생육하고 있었다.

Fissidens (Fissidentaceae, Bryophyta) species newly recorded in Korea

  • KWON, Woocha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8-32
    • /
    • 2021
  • Here, 15 taxa of genus Fissidens Hedw. are reported as new to the moss flora of Korea: F. bryoides var. esquirolii, F. closteri subsp. kiusiuensis, F. crispus, F. curvatus, F. enervis, F. flabellulus, F. ganguleei, F. gracilifolius, F. gymnandrus, F. incurvus, F. longisetus, F. pusillus, F. takayukii, F. viridulus, and F. wichurae. The list of Fissidens in Korea, consisting of 26 taxa previously, is updated to 38 taxa by adding 15 taxa and excluding three taxa. Descriptions, taxonomic notes with diagnoses, in situ and microscopic photographs of the unrecorded species, and taxonomic keys of four sections belonging to the subgen. Fissidens are provided.

Unrecorded moss species from Korean flora II

  • Yoon, Young Jun;Kim, Chul Hwan;Gorobets, Konstantin-V.;Sun, Byung-Y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35-241
    • /
    • 2011
  • Five unrecorded species (Oedipodium griffithianum, Myurella tenerrima, Trachypus bicolor, Coscinodon humilis, Meteoriu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with one unrecorded family and two unrecorded genera, were reported as new to the Korean moss flora. The monotypic family Oedipodiaceae consisting of a single genus and single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Splachnaceae by small plants that were 10 mm in length simple or sometimes branched, obovate-spathulate to ${\pm}$ orbicular, costa ending below the apex and entire margins except for the lower long-ciliate portion The species was first found at the top of the Mt. Seorak at an altitude of 1708 m. The two genera, Myurella and Coscinodon were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Myurella tenerrima (Theliaceae) was found around the top of Jung-bong on Mt. Jiri. It was mixed with other mosses in the crevices of rocks in the alpine regions. The species is similar to M. sibirica, yet i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osition of papilla in the median laminal cells. Coscinodon humilis (Grimmiaceae) were found on the ridge of Mt. Gaya. C. humilis has a variety of hyaline apex according to leaf position and forms a capsule so it can be distinguished by family. Trachypus bicolor and Meteoriu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are unrecorded species. T. bicolor (Trachypodaceae) were found on the ridge of Mt. Gaya. T. bicolor is similar to T. humilis but distinguished by the costal lengths of the leaves. 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Meteoriaceae) was found in Gageo-do. This species was distinguished by the plant form and morphology of stem leaves in the same genus.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의 구상나무숲 내 주요 하층식물이 구상나무 유묘 발생에 미치는 상관성 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ccurrence of Seedling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E.H. Wilson) and Understory on the Eastern Slope of Mt. Halla)

  • 이종원;이수홍;임원택;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91-501
    • /
    • 2021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숲에서 구상나무의 유묘 및 치수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6년 6 ~ 8월 사이에 5 × 5m 방형구 125곳을 대상으로 계통추출법을 적용하여 임황, 지황, 구상나무 유묘와 치수 발생 현황과 발달 상황 및 제주조릿대를 비롯한 하층식생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한 전체 125개 방형구 중에서 유묘가 나타난곳은 43.2%인 54개 방형구에서 616개체 발견되었다. 71개 방형구에서는 유묘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각 방형구의 유묘 개체수는 평균4.9개로, 치수발생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전체 125개 방형구 내의 주요 식물종은 31과 44속 56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상층목으로는 구상나무, 마가목, 산개벚지나무, 주목 등이 주요 우점종으로 파악되었다. 주요 하층식생은 제주 조릿대, 뱀톱, 다람쥐꼬리 및 등수국 등이 조사되었다. 이들 식물 중에서 구상나무 유묘의 빈도와 피도에 대해서 높은 양의 상관이 있는 식생은 제주조릿대, 뱀톱, 다람쥐꼬리 순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 유묘의 빈도 및 피도는 제주조릿대의 빈도 및 피도와 양의 상관이 있는 것이었는데, 이는 구상나무의 유묘는 제주 조릿대의 피도가 높은 곳에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 구상나무숲 내에서 구상나무 유묘의 발생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수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교란이 일어나는 것이 파악되었고, 구상나무 유묘 발생 및 치수 발달에 교란을 야기하는 한 가지 요인으로 유제류에 의한 섭식일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제류 섭식 등의 연구를 추후 한라산 전반에 걸쳐 유묘 및 치수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식생 천이와 생태계 발달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그 교란 원인을 파악하여, 구상나무의 천연갱신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은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구상나무를 보전함에 핵심적으로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선흘 곶자왈 동백동산의 선태식물상 연구 (Floristics of bryophytes in Dongbaek-dongsan at Seonheul Gotjawal)

  • 임은영;문명옥;선병윤;나카니시 코즈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74-284
    • /
    • 2013
  •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 북동사면의 선흘 곶자왈에 위치하고 있는 동백동산의 선태식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물상 조사 결과, 선류는 22 과 44 속 62 종, 태류는 12 과 16 속 23 종으로 총 85 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Diphyscium perminutum Takaki, Racomitrium japonicum Dozy & Molk., 그리고 Isopterygium minutirameum (M$\ddot{u}$. Hal.) A. Jaeger.는 한국미기록식물에 해당하여 본 연구를 통해 기재하였다. 태류지수는 27.0%이고, 직물형의 생활형에 해당하는 선태식물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습성 또는 습성의 환경에 주로 생육하는 선태식물의 비율이 건조한 환경에서 주로 출현하는 선태식물의 비율보다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 내의 상록활엽수림, 습지, 나지 등에 의한 다양한 환경 요인이 종의 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암석은 선태식물에 미소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기질이었다. 특히, 동백동산의 소택지에 분포하는 선태식물은 면적에 비해 독특하고 다양하며, 관속식물과 함께 모자이크 공간 유형의 식물군락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제주고사리삼과 자생지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국 고유 양치식물인 제주고사리삼이 자생하는 소택지를 대상으로 한 보다 정밀하고 종합적인 조사를 제안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