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ida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모시대의 항산화 효과 및 모시대 이용 콘소메 스프의 품질 평가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nsomme Soup Prepared with Mosidae)

  • 한명륜;김명환;김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3-429
    • /
    • 2013
  • In this study, to develop a new anti-aging agent, we will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mosidae for the MMP-1 activities in UVB-irradiated HS68 human foreskin fibroblast cell lines and human keratinocytes (Ha- CaT cell line). And the consomme soup being prepared with mosidae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3, 6, 9, 12%) and then quality characteristics will be determined by sensory evaluations and color values.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mosidae has the inhibition of UVB-induced MMP-1 activities. The consomme soup prepared with mosidae is found to reduce the level of $IC_{50}$ in SOD-like activities and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spectively. And consomme soup prepared with mosidae (CS6) is the best by sensory evaluation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omme soup prepared with mosidae can be further developed as new anti-aging food.

모시대의 면역 활성 탐색 및 모시대 분말 첨가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 (Immune Activity of Mosida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Using Mosidae Powder)

  • 김애정;한명륜;김명환;태기환;이수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48-554
    • /
    • 2009
  • 모시대의 면역 활성 탐색 및 모시대 분말 첨가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을 평가한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모시대의 면역 활성 탐색 결과, MEE 농도 $1000{\mu}g/mL$($4195.8{\pm}106.9\;pg/mL$)에서 IL-6 생성량은 양성대조군인 LPS($5578.7{\pm}195.9\;pg/mL$)의 75% 수준이 생성되었으며, MEE 농도 $200{\mu}g/mL$($224.4{\pm}3.0\;pg/mL$)과 $1000{\mu}g/mL$ ($235{\pm}7.1\;pg/mL$)에서 IL-12생성량은 양성 대조군인 LPS ($647{\pm}10.6\;pg/mL$)의 각각 34.68%, 35.70% 수준이 생성되었고, MEE 농도 $1000{\mu}g/mL$에서 TNF-$\alpha$($197.62{\pm}15.83\;pg/mL$)는 양성 대조군인 LPS($723{\pm}14.10\;pg/mL$)의 27.32% 수준이 생성되어, 모시대를 면역 활성 관련 새로운 식물자원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일반성분 분석결과를 보면, 대조군과 비교시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일반성분 가운데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에는 유의차가 없었는데, 이는 현미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1{\sim}3%$(w/w)로 첨가 비율이 낮아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조지방 함량의 경우는 모시대 첨가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색도 변화를 보면,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L값)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모시대 분말 1% 첨가 시료(MPD1)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2%와 3%를 첨가한 MPD2과 MPD3 시료는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모시대 분말 첨가 시료들이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p<0.05), 비교군들의 경우도 모시대 첨가비율의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를 보였다(p<0.05). 황색도 "b" 값의 경우는 대조군과 비교 시 MPD1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MPD2, MPD3 시료들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물성 변화를 살펴보면, 탄력성(springness)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MPD1을 제외한 MPD2와 MPD3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응집성(cohesiveness)의 경우는 대조군과 모시대 분말 첨가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검성(gumminess)은 대조군에 비해 모시대 분말첨가 시료들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p<0.05), 모시대 분말 첨가 시료들 간 비교에서도 모시대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인 증가 현상을 보였다. 씹힘성(chewiness)과 경도(hardness)는 MPD3가 대조군을 포함한 MPD1, MPD2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관능평가 결과, 색상,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비교 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p<0.05), 조직감에서는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모시대 분말 1%를 첨가한 현미다식(MPD1)의 상품 가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차후 모시대 분말의 배합비 조절이나 첨가 형태 변화를 통해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다식의 외형 개선 후속 연구를 하고자 한다.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Volatil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denophora remotiflora)

  • 김성향;최향숙;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9-113
    • /
    • 2007
  • 신선 및 자연건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한 후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linoleic acid system과 DPPH 방법으로 유리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신선한 모시대에서 산류 4종, 알데하이드류 7종, 알코올류 12종, 에스터류 9종, 탄화수소류 23종, 케톤류 2종 및 기타 3종의 총 60종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자연건조한 모시대에서 확인된 성분은 총 72종으로 산류 6종, 알데하이드류 11종, 알코올류 14종, 에스터류 10종, 탄화수소류 25종, 케톤류 3종 및 기타 3종이었다. Linoleic acid peroxidation 억제효과를 살펴보면, BHT가 가장 높은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였을 때 신선한 모시대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의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자연건조 시료는 동일하였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모시대 휘발성 성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로 측정한 결과, BHT가 가장 높았으며 자연건조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이 ${\alpha}-tocopherol$ 보다 높은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신선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도 ${\alpha}-tocopherol$과 같은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모시대잎을 이용한 항산화 및 피부개선 효과 측정 (Measuring of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Improvement Effect using Adenophora remotiflora leaf)

  • 이민정;이연희;김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39-246
    • /
    • 2013
  • 본 연구는 모시대(Adenophora remotrflora)잎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시대잎의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모시대잎 열수추출물의 DPPH 소거능이 에탄올추출물에 비하여 약 9% 정도 높은 값을 보였고(p<0.05),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경우에는 열수추출물(65.22%)이 에탄올추출물(63.50%)에 비해서 약간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의 경우에는 에탄올추출물(47.90 mg/mL)이 열수추출물(40.82 mg/mL)에 비해 유의차 있는 효능을 보였다(p<0.05). 2011년 10월 20부터 11월 17일까지 35~60세 중년여성 16명을 대상으로 오른쪽 얼굴에는 베이스팩을, 왼쪽 얼굴에는 모시대잎 파우더팩을 주 2회씩 4주 동안 적용하여 수분, 거칠기, 모공, 투명도를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 색소침착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나(p<0.05) 거칠기, 모공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시대잎은 새로운 화장품소재로서 피부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antioxidant and chemopreventive potentialities of Mosidae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 Kim, Ae-Jung;Han, Myung-Ryun;Kim, Myung-Hwan;Lee, Myoung-Sook;Yoon, Taek-Joon;Ha, Sang-D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1호
    • /
    • pp.30-35
    • /
    • 2010
  • Our study focused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Mosidae leaf ethanol extract (MLE) and included measurements of reducing power, total phenolic compoun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MLE evidences any chemopreventive activities,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was induced via the i.v. inoculation of colon26-M3.l carcinoma cells into BALB/c mice. Additionally, we attempted to characterize any possible cytotoxic effects in murine normal splenocytes and tumor cells (B16-BL6 and colon26-M3.1).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reducing capacity were measured at 39 mg/100 mL and 1.24, respectively, whereas the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LE were measured to be 88.89% and 22.10%, respectively. Prophylactic i.v. treatment with MLE resulted in a dose-dependent and significant inhibition of lung metastasis. Specifically, a MLE dose of 200 ug per mouse resulted in an 88.90% inhibition of lung metastasis. For the cytotoxicity assay, MLE doses up to 100 ug/mL were not shown to affect the growth of normal murine splenocytes. Additionally, the survival of normal cells was not affected at MLE doses below 500 ug/mL. However, MLE doses up to 500 ug/mL reduced the percentage of tumor cell growth for B16BL6 (67% alive) and colon26-M3.1 (62% alive) cells.

모시대 분말을 첨가한 미용식품(모시대 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ner Beauty Food (Mosidae Tofu) by the Addition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 김애정;손은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7-373
    • /
    • 2012
  • In this study, physio-chemical,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fu containing 0, 0.5, 1.0, and 2.0%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ere examine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potential of utilizing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by estimating total phenol contents, electron-donating abilities,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in the range from 0~2.0%. The total phenol content of the ethanol extracts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as $487.93{\mu}g/mL$ while the that of the water extract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as $403.70{\mu}/mL$. The electron-donating abilities of the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ere 75.37 and 86.10%, respectively.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ere 65.50 and 66.22%, respectively. We also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ntaining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In the case of color values, as the level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increased, the values of L (lightness) and a (redness) decreased, whereas that of b (yellowness) increased. In the case of mechanical properties, as the level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increased,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values increased (p<0.05), wherea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values decreased (p<0.05). In the case of sensory evaluation, MPT1.0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color, flavor, tenderness, texture, and overall quality. To sum up, Tofu containing 1%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showed the highest overall p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