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Structure

검색결과 883건 처리시간 0.031초

The Usefulness of Selected Physicochemical Indices, Cell Membrane Integrity and Sperm Chromatin Structure in Assessments of Boar Semen Sensitivity

  • Wysokinska, A.;Kondracki, S.;Iwanin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2호
    • /
    • pp.1713-1720
    • /
    • 2015
  • The present work describes experiments undertaken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selected physicochemical indices of semen, cell membrane integrity and sperm chromatin structure for the assessment of boar semen sensitivity to processes connected with pre-insemination procedures.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30 boars: including 15 regarded as providers of sensitive semen and 15 regarded as providers of semen that is little sensitive to laboratory processing. The selection of boars for both groups was based on sperm morphology analyses, assuming secondary morphological change incidence in spermatozoa as the criterion. Two ejaculates were manually collected from each boar at an interval of 3 to 4 months. The following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each ejaculate: sperm motility assessment, sperm pH measurement, sperm morphology assessment, sperm chromatin structure evaluation and cell membrane integrity assessment. The analyses were performed three times. Semen storage did not cause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secondary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group of boars considered to provide sperm of low sensitivity. On the other hand, with continued storage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spermatozoa with secondary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group of boars regarded as producing more sensitive semen. Ejaculates of group I boars evaluated directly after collection had an approximately 6% smaller share of spermatozoa with undamaged cell membranes than the ejaculates of boars in group II ($p{\leq}0.05$). In the process of time the percentage of spermatozoa with undamaged cell membranes decreased. The sperm of group I boars was characterised with a lower sperm motility than the semen of group II boars. After 1 hour of storing diluted semen, the sperm motility of boars producing highly sensitive semen was already 4% lower ($p{\leq}0.05$), and after 24 hours of storage it was 6.33% lower than that of the boars that produced semen with a low sensitivity. Factors that confirm the accuracy of insemination male selection can include a low rate of sperm motility decrease during the storage of diluted semen, low and contained incidence of secondary morphological changes in spermatozoa during semen storage and a high frequency of spermatozoa with undamaged cell membranes.

형태학적 형질에 기초한 한국산 부추속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Korean Allium 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 최혁재;장창기;이유미;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5-308
    • /
    • 2007
  • 한국산 부추속 16종 5변종의 총 21분류군에 대하여 성적특성, 지하부의 구조 및 형태, 지상부의 생자양상, 엽신과 화경의 모양 및 내부구조, 화피, 화사 및 암술의 형태 등의 외부형태형질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 분류형질의 특수화 및 진화경향성을 고찰하였고, 분류군들간의 유연관계와 계통을 추론하였다. 진화경향성이 있는 형질은 근경과 인경을 포함한 지하부, 잎, 화경, 화서, 화사 및 자방의 모양 등이었다. 근경의 형태는 비후형에서 미세형으로 발달하였고, 인경의 외피는 얇은 막질에서 그물상 섬유질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졌다. 막질의 초상엽은 달래에서만 관찰된 파생형질이였으며, 엽신은 단면이 둥글고 유관속이 환상으로 배열하는 것에서 각진 형태를 거쳐 단면이 납작하고 넓어지면서 유관속이 1열로 배열하는 것으로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화경의 개화 전 생장은 직립하는 것이, 그리고 화사는 치편이 발달하지 않은 것이 원시적이며 자방은 실 당 2개의 배주를 가지는 것에서 1개씩 가지는 것으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편 성적특성, 지하부의 구조, 막질의 초상엽의 존재유무 및 잎의 내부구조는 아속 수준에서, 지하경 및 인경의 형태, 잎의 모양, 화경 및 소화경의 모양은 아속 내 절 수준에서 분류체계를 결정해 주는 좋은 식별형질이었다. 화피와 화사의 모양 및 배열은 자방 및 주두의 모양과 함께 종을 구분해 주는 좋은 식별형질이었다.

형태형질에 기초한 동아시아산 황기속 식물의 계통분류 (Phylogenetic study of East-Asia Astragalus L.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 송일배;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1-201
    • /
    • 2014
  • 동아시아산 황기속의 외부형태학적 특징과 과피, 종피의 해부구조 및 표면 형태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질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황기속의 외부형태, 과피, 종피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징 중 생활사, 소엽의 형태, 꽃차례, 꽃잎의 색, 종자의 색, 과피의 형태, 과피 표면에서 털의 존재유무, 봉선의 구조, 그리고 내과피 층의 두께가 종을 나누는 식별형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황기라는 약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4종의 형태 및 해부학적인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서로 같은 군으로 유집되었다. 한편, 분류학적으로 논쟁이 되고 있는 정선황기와 갯황기에서는 두 분류군간에 형태적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금후 정선황기, 갯황기, A. bhotanensis의 종간 분류학적 처리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염기서열 및 분자세포학 수준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형태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선시대 고산현의 도시형태 변천과정 해석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Urban Form in Gosan-Up)

  • 이경찬;강인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49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읍치로부터 성장한 지방 소도읍의 하나인 고산을 대상으로 형태학적 개념과 연계하여 도시의 형성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형태구조와 도시평면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보고 시기별 형태특성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산의 도시형태 분석을 위하여 콘젠과 카니지아가 설정한 도시형태 분석개념을 토대로 형태구조, 도시평면, 경로체계, 개발규정선, 전이지대, 중심지구, 평면단위, 형태시기, 브레이크 포인트, 자투리필지, 유휴지, 사유화 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고산현시대에 골격이 형성된 고산의 도시형태 변천과정에는 도시형태 형성-구시가(kernel)의 형태구조 해체 재편-중심지구(epidome district)의 형성 발달-확장형 충진-중심지구 확장 재편으로 이어지는 순환적 사이클이 존재하고 있다. 공공사업은 고산의 형태구조와 도시평면의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초기 단계 고산의 형태적 변화과정에는 간선경로로서 구시가(kernel)을 관통하며 개설된 신작로(고산로)와 이를 연결하는 계획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작로 개설을 계기로 T(십(十))자형 골격도로체계를 바탕으로 구시가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던 관아시설구역의 평면단위가 소블록 단위의 개방형 평면단위로 전이되었다. 이와 더불어 신작로와 시장 경계도로를 따라 상가가 들어서면서 선형의 평면단위를 지니는 노선상가와 시장이 어우러진 근대적 중심지구를 형성하게 되었다.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between natural and cultivated populations of sea lettuce, Enteromorpha prolifera, in Korea revealed by RAPD markers

  • Chang, Hyo-Jae;Huh, Man-Kyu;Huh, Hong-Wook;Lee, Bok-Kyu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9-280
    • /
    • 2003
  • Although it has been known though many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udies, its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in this species. Therefore, detailed studies, in particular at the DNA level, on genetic diversity of natural populations of wild sea lettuce, and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natural sea lettuce and cultivated sea lettuce are necessary from the viewpoint of plant evolution. (omitted)

  • PDF

형태학 필터의 효과적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EFFICIENT IMPLEMENTATION OF GRAYSCALE MORPHOLOGICAL OPERATORS)

  • 고성제;이경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861-1871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농담구조소(濃淡構造素)(GSE, grayscale structuring element)를 갖는 형태학 필터의 실시간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GSE로부터 유도된 basis matrix와 입력 샘플들로 구성된 input matrix를 이용하여 각 형태학 연산들을 소역행렬연산(local matrix operation)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opening이나 closing과 같은 복합 형태학 연산들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복원 형태학 연산들을 erosion과 dilation의 직렬조합(cascade combination)으로 처리하던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적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면서도, 출력을 얻기까지의 지연(遲延)(delay)이 훨씬 적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형태학 필터를 VLSI로 구현하기 위한 효율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p-bit으로 표현되는 신호에 대한 형태학 연산을 p개의 이진(binary) 형태학 연산자들의 조합으로 구현하였는데, 각 이진 연산자들은 MSB(most significant bit)부터 순차적으로 (bit-serial approach) 해당 레벨의 bit들을 처리하여 출력을 부를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학 필터의 VLSI 구현에 있어서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Threshold Decomposition 방법 등에 비해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을 보였다.

  • PDF

Quantitative Morphology of High-Redshift Galaxies Using GALEX Ultraviolet Images of Nearby Galaxies

  • Yeom, Bum-Suk;Rey, Soo-Chang;Kim, Youngkwang;Lee, Youngdae;Chung, Jiwon;Kim, Suk;Lee, Woo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4권3호
    • /
    • pp.183-197
    • /
    • 2017
  • We present simulations of the optical-band images of high-redshift galaxies utilizing 845 near-ultraviolet (NUV) images of nearby galaxies obtained through the Galaxy Evolution Explorer (GALEX). We compute the concentration (C), asymmetry (A), Gini (G), and $M_{20}$ parameters of the GALEX NUV/Sloan Digital Sky Survey r-band images at z ~ 0 and their artificially redshifted optical images at z = 0.9 and 1.6 in order to quantify the morphology of galaxies at local and high redshifts.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nearby galaxies in the NUV are presented using a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parameters, in which early-type galaxies are well separated from late-type galaxies in the $G-M_{20}$, $C-M_{20}$, A-C, and $A-M_{20}$ plane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galaxies in the A-C and $G-M_{20}$ planes, we examine the morphological K-correction (i.e., cosmological distance effect and bandshift effect). The cosmological distance effect on the quantitative morphological parameters i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early-type galaxies, while late-type galaxies are more greatly affected by the bandshift effect. Knowledge of the morphological K-correction will set the foundation for forthcoming studies on understanding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galaxy evolution.

Effects of Chitosan on Body Weight Gain, Growth Hormone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Weaned Pigs

  • Xu, Yuanqing;Shi, Binlin;Yan, Sumei;Li, Tiyu;Guo, Yiwei;Li, Junli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0호
    • /
    • pp.1484-1489
    • /
    • 2013
  •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hitosan on the concentrations of GH and IGF-I in serum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ical structure of piglets, in order to evaluate the regulating action of chitosan on weaned pig growth through endocrine and intestinal morphological approaches. A total of 180 weaned pigs (35 d of age; $11.56{\pm}1.61kg$ of body weight) were selected and assigned randomly to 5 dietary treatments, including 1 basal diet (control) and 4 diets with chitosan supplementation (100, 500, 1,000 and 2,000 mg/kg, respectively). Each treatment contained six replicate pens with six pigs per pen. The experiment lasted for 28 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body weight gain (BWG) of pigs was improved quadratically by dietary chitosan during the former 14 d and the later 14 d after weaned (p<0.05). Furthermore, dietary supplementation of chitosan tended to quadratically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serum GH on d 14 (p = 0.082) and 28 (p = 0.087). Diets supplemented with increasing levels of chitosan increased quadratically the villus height of jejunum and ileum on d 14 (p = 0.089, p<0.01) and 28 (p = 0.074, p<0.01), meanwhile, chitosan increased quadratically the ratio of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in duodenum, jejunum and ileum on d 14 (p<0.05, p = 0.055, p<0.01) and 28 (p<0.01, p<0.01, p<0.01), however, it decreased quadratically crypt depth in ileum on d 14 (p<0.05) and that in duodenum, jejunum and ileum on d 28 (p<0.01, p<0.05, p<0.0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itosan could quadratically improve growth in weaned pig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may due to the increase of the serum GH concent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small intestines morphological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