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al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2초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 김진아;엄정애
    • 아동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5-100
    • /
    • 2006
  • In this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137 five-year-olds were interviewed to measure moral judgment and moral emotions. Their teachers measured children's moral behavior.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judged moral and conventional rules by using the 4 criterion judgments of seriousness, rule contingency, generalizability and punishment. Children with highly felt moral emotions had higher scores in moral behavior. Moral judg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were highly interrelated. Children's moral behavior was related to rule contingency and generalizability. Their moral behavior was highly related to positive moral emotions. Positive moral emotions were related to the rule contingency and generalizability. Negative moral emotions were highly related to seriousness and punishment.

  • PDF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인습 구분에 대한 논쟁과 함의 (A critical review and implications of the moral-conventional distinction in moral judgment)

  • 설선혜;이승민
    • 인지과학
    • /
    • 제29권2호
    • /
    • pp.137-160
    • /
    • 2018
  • 본 논문은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인습 구분에 관한 최근의 논쟁들을 개관하고 그 함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도덕 판단에 대한 연구들은 규범 위반에 대한 판단에서 타인의 규범 위반 행위에 대한 평가와 함께 위반한 규범의 도덕-인습 차원에서의 분류를 함께 고려해왔다. Kohlberg와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을 발전시킨 Turiel(1983)은 도덕 원칙이 인습과 명확하게 구별된다고 보고 도덕-인습 구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도덕은 보살핌과 정의의 영역에 특수하며, 보편성/객관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전통적인 도덕 심리학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 왔으나 최근 들어 지속적인 도전을 받아왔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인습 구분 기준에 대한 비판을 도덕 감정 이론(moral sentimentalism)과 도덕 지역주의(moral parochialism), 도덕 다원주의(moral pluralism)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도덕 감정 이론은 도덕 판단에서 정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도덕과 인습이 정서-비정서 차원의 연속선상에 혼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도덕 지역주의는 인류학과 비교문화 심리학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규범 위반 행위가 집단의 유지와 집단 내 개인의 존속에 의미가 있는 경우에만 규범 위반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처벌 의사가 강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덕 위반에 대한 판단도 인습에 대한 판단만큼이나 상대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도덕 다원주의에서는 문화와 개인차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도덕적 직관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살핌과 정의의 차원만 도덕에 해당한다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들은 기존의 합리주의적 도덕 발달 이론에서 가정하였던 도덕-인습의 구분이 사람들이 실제로 규범 위반을 판단하는 양상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며 체계적인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귀인 경향에 따른 도덕성(도덕신념, 판단, 행동) 발달 분석 (Developmental Analysis of Morality(Belief, Judgment & Behavior) in Relation to Attribution)

  • 하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1-282
    • /
    • 1996
  • Different aspects of morality, namely, moral belief, moral judgement and moral behavior have been studied seperately.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se three aspects of morality in relation to internal attribution in one sample. A total of 371, third -and sixth- grade children from Masan city were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moral belief, moral judgement, and attibutional tendency. In addition, children's moral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teachers' 5-item rating scale. As results, there were signigicant but low correlations among three components of morality. There were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moral belief and moral judgement but there was no age difference in moral behavior. Compared to third graders, sixth graders were higher in moral judgement but lower in moral belief. Social experience as well as cognitive development on moral relativity could explain this paradoxical developmental trend in moral belief. There was a sex difference only on moral behavior : Girls were rated higher in moral behavior than boys. Internal attribu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three aspects of morality, .15 with moral belief, .45 with moral judgement, .14 with moral behavior,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evelopmental difference but no sex difference in attributional tendency: Sixth graders reported higher internal attribution than third graders. However, there was no developmental difference in correlations among internal attribution and three aspects of morality. Most importantly, internal attribution explained morality better than either age -or sex- variable.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programs on morality need to focus on the internalization of it.

  • PDF

The Role of Moral Deficiency in Moral Consumption Behavior - The Implicit and Explicit Approaches: An Empirical Study from Indonesia

  • SYAHRIVAR, Jhanghiz;GENOVEVA, Genoveva;WIDYANTO, Hanif Adinugroho;WEI, Yuling;CHAIRY, Chair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1호
    • /
    • pp.307-316
    • /
    • 2021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eficiency and moral consumption. Consumers' moral values cannot be separated from their consumption activities. In other words, consumers' spending preferences may be an expression of their beliefs about what is right and wrong. A less explored concept within moral consumption behavior theory is 'moral deficienc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search effort to integrate green purchasing and religious purchasing under the banner of moral consumption behavior. There are two studies: Study 1 aimed to measure the moral deficiency of participants through moral scenarios (implicit) and then test its relationship with the green purchase and religious purchase, two proxies of moral consumption. A total of 121 universities were chosen via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o improve the results of the prior study, Study 2 aimed to measure the moral deficiency of participants through moral deficiency self-report (explicit) and then test its effects on green purchase and religious purchase. A total of 208 participants from the general public were recruited via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he findings of the two studies suggest that participants with high moral deficiency showed more intention to engage in moral consumption behavior.

Impact of Moral Intensity on Moral Behavior in the contex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Mediating Role of Technology Moral Sense

  • Wen Wu;Xiuqing Huang;Seth Y. Ntim;Yue Shen;Xinyu Li;GuoPeng W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8권6호
    • /
    • pp.1583-1598
    • /
    • 2024
  • With the popularization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daily life, new ethical and moral problems constantly appear in human society. These ethical and moral problems have been associated with people's moral behavior and have become crucial issues. In traditional social situations, researches have proved that moral intensity affects people's moral behavior. However, in the context of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mechanism between moral intensity and moral behavior is unknow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intensity and moral behavior in the context of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ntroduces a new concept - technology moral sense (TMS) into the theoretical model. Research method: We set various situations of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dopt the situational experiment metho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intensity and moral behavior in different application scenarios. The results show that moral intens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moral behavior, while the technology moral sense performs a mediating function.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구조모형 구축 (A Structural Model on the Moral Distress in Clinical Nurses)

  • 이은자;채영란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4-20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to build a path model geared toward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of influential variables for the moral distress of clinical nurses by analyzing literatures of earlier stud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hospitals with 300 beds or more. The participants were 257 nurses with more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14 to October 24, 2017.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and ethical education-related characteristics, personality type, moral dilemma experience, moral sensitivity, moral climate and moral distress. Results: The direct influencing factors of moral distress were the individual's experience of moral dilemma, moral sensitivity, and the moral climate of the organization. Factors that indirectly affected via moral sensitivity were personality type, experience in ethical education, and moral climate. The explanatory power was 40.3%.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reduce moral distress by conside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oral distress of clinical nur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dditional influencing factors of moral distress.

도덕적 정체성 이론은 탈 콜버그주의인가? (Is Moral Identity theory a post-kohlbergian? - The function of the reflective reasoning in the moral identity theory and it's implication)

  • 손경원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395-432
    • /
    • 2011
  • 본 연구는 탈 콜버그주의 논쟁이 도덕적 정체성 이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도덕적 추론을 통합한 도덕적 정체성 이론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간 학문적 연구들에 기반 한 도덕 심리학적 연구 수행과 이에 근거한 도덕교육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8년 Journal of moral education 특집호에 실린 탈 콜버그주의 논문에 대해 튜리엘과 깁스는 문화상대주의를 극복하고 도덕 판단의 규범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도덕의 작용에서 도덕적 추론은 반드시 요청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비판은 도덕적 정체성 이론의 전개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도덕적 정체성이론은 인지발달이론의 도덕적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 패러다임으로 탈 콜버그주의 특징을 보였다. 하지만 특집호 이후에 블라시는 관습이후 수준의 도덕추론 능력을, 탈 콜버그주의를 주도하던 나바에즈는 직관과 추론의 동등모델에 근거한 도덕 전문가를 성숙한 도덕인의 특징으로서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도덕적 추론을 통합한 도덕적 정체성 모델의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여 도덕철학과 도덕 심리학의 관계에 대해 후행적으로 상보적일 수 있음을 인정하였다. 이는 도덕의 작용에 대한 뇌 과학, 생물학, 문화 인류학 등 간 학문적 연구의 가능성을 인정하지만 도덕 심리학의 규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덕철학적 분석과 이론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도덕의 작용은 합리적 의식적 추론과정은 물론 자동적 무의식적 암묵적 과정에 근거한다. 도덕적 추론만큼이나 직관도 도덕의 작용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간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며 도덕교육의 연구에 학제적 연구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죄책감과 수치심의 억제가 도덕적 판단, 의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uppressing Guilt and Shame on Moral Judgment, Intention, and Behavior)

  • 한규은;김민영;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9권3호
    • /
    • pp.121-132
    • /
    • 2016
  • 정서는 도덕적 판단, 의도, 행동으로 구성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방법을 통하여 도덕적 정서인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에 도덕적인 판단, 의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도덕과 관련된 정서가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덕과 관련된 정서(죄책감, 수치심)와 정서의 억제(억제, 대조집단)를 실험적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죄책감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되어있지만, 도덕적 행동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다시 말해, 죄책감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지문에 묘사된 도덕적인 상황을 더 도덕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도덕적 행동에 대한 의도가 높았다. 반면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하지 않았지만, 도덕적인 행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였다. 수치심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실제 도덕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본 연구는 비연속적 정서이론을 적용하여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 도덕적 의사결정 단계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도덕교육의 쟁점과 동양윤리교육 (Main Issues in Korean Moral Education and Eastern Moral Education)

  • 고대혁
    • 동양고전연구
    • /
    • 제36호
    • /
    • pp.333-374
    • /
    • 2009
  • 우리 문화는 다른 어떤 국가나 문화보다도 학교교육에서 도덕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 전통문화에서 교육은 인간의 자기완성과 초월(초범입성(超凡入聖))을 위한 실천적 과업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다음 두 가지 문제의 식에서 출발한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도덕교육은 19세기 후반 근대적인 학교 교육의 출범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사회 정치적 상황에 따라 어떤 형태로 유형화될 수 있는가? 둘째, 해방이후 한국 교육의 전개 과정에 나타난 도덕교육의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 특히 본 연구는 이들 쟁점을 동양 윤리 교육의 맥락에서 반성하고 검토하는 논의를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로 삼고 있다. 19세기 후반 이후 우리나라 도덕교육은 "충효교육과 수신교육", "민주시민교육과 반공교육", "도덕교육과 인성교육"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도덕교육의 유형은 우리 근대사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한국사회에서 도덕교육의 유형은 전통 도덕교육의 정신이나 기본 가치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그 정신을 일정한 형태로 왜곡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주장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주요한 두 가지 쟁점, 곧 "국가 중심주의"와 "서양 중심주의"를 중심으로 도덕교육의 특징과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국가중심주의는 개인의 인격 함양에 기초한 공동체 건설보다는 국가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구성원들의 의지를 집단화함으로써 개인들로 하여금 "자기 소외"를 심화하게 하였고, 서양 중심주의는 서양을 중심부로 한국이나 기타 전통과 사상을 주변부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한국인들에게 "자기부정" 의식을 강화하여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쟁점, 특히 한국 도덕교육에서 "서양 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양윤리교육에 대한 재해석과 이해를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요청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Influencing factors on Moral Distress in Long-term Care Hospital and Facility Nurses

  • Kim, Hyun Sook;Yu, Sujeong;Lim, Kyung C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21-13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 of the moral distress for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or nursing homes, and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moral distre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Korean version of Moral Distress Scale-Revised (KMDS-R), Jefferson Empathy Scale for Health professionals (K-JSE-HP),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K-MSQ), and the Hospital Ethical Climate Survey (HECS). A total of 194 nurses from 11 long-term care hospitals or 27 nursing homes comple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As results, the mean score for moral distress was $73.81{\pm}51.29$ in this study. The moral distress of nurses working at nursing homes was higher than that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Among the sub-factors of moral distress, the 'futile care' was the highest score and the 'limit to claim the ethical issue' was the lowest. The main factor affecting moral distress among nurses in this study was the ethical climate of organiz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moral distress of nurses working in a long-term care hospital or a nursing home, it is more impactful to address structural issues related to the caregiver workplace than to adjust individu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