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ument Hous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함양 상림 복원을 위한 식생 및 입지특성 분석 II (Analysis on the Plant and Site Characteristics for the Restoration of Sangrim Woodlands in Hamyang-Gun, Korea II)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73-18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for the Sangrim Woodlands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vegetation survey and the site characteristics of the Sangrim Woodlands Natural Monument (Natural Monument 154) in Hamyang-Gun, Gyoungsangnam-Do, Korea. According to the vegetation analysis, the species diversity by the location of Sangrim was higher near forest (1.000) than near urban (0.358) areas. Although forest occupied 53% of the Sangrim woodlands area, it is still insufficient, requiring to transform arable land, lawn, or house areas to the forest within the woodlands. Soil bulk density was increased in access areas frequently used by public, while it was decreased in closed areas. Soil hardness at 0-10 cm soil depth was generally improved in the closed areas, while became worse in the public access areas compared with the soil hardness in 2004.

영건(營建) 관련 자료를 통해 본 조경단(肇慶壇)의 건축특성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Jogeongdan Examined through Construction-Related Records)

  • 안선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5호
    • /
    • pp.59-68
    • /
    • 2023
  • Jogyeongdan is an altar built by the Korean Empire within the burial grounds of Sijomyo(始祖墓), the Jeonju Lee clan, as a part of their posthumous respecting project. This site adheres to strict rules and formalities that a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with its altars and monument House demonstrating construction techniques that hold high value in architectural histor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construction-related records such as Uigwe, Statements, and Figure, along with their historical context. Through this effort, the study explores in detail the original form of Jogyeongdan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and subsequent transformations in later periods. Findings showed that the Figure was drawed by Chae Yongsin and was only a blueprint prior to the construction; it was modified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process. A part of Jogyeongdan project was carried out by demolishing four government office buildings that were closed because of the Gabo Reform in order to secure wood and roof tiles, among other materials. Additionally, concluded the Jaesil was by relocated Deokryudang from Samryeyeokcham. Further, instances of distinctive terminology usage were found related to construction materials in the Jogyeongdan Uigwe, which were not used in another Uigwe. These terms were distinguish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locations in which the materials were used.

최초의 주미조선공사관 피서옥(皮瑞屋) 개설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st Korean Legation Building, The Fisher House, in Washington, D.C.)

  • 김종헌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6호
    • /
    • pp.77-85
    • /
    • 2019
  • The Fisher House, the first Korean Legation in the USA was located at 1513 O Street in Washington, D.C. This house was a three-story brick building with a height of 12.2m(8.84m up to the eaves) and a mansard roof. Facing the street, it is 7.32m (24 feet) wide and 23.6m(77.4 feet) depth. There is a long hallway after the entrance and a parlor with a grand fireplace next to it. This long hallway leads to a central hallway with another fireplace and a central staircase connecting the 2nd and 3rd floors. After the stairs a dining room is with a fireplace in the middle, which then leads to a pantry for dishes and the kitchen. It can also be argued that The Fisher House was the first Western-style residence for Koreans who were officially dispatched from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when living in The Fisher House, Park Jung-yang, who was sent on the three premises of the Yeonjak, directly experienced how the United States sought independence from the U.K. through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Mount Vernon, the Washington monument, the Arlington National Cemetery, and battlefields. Even though he was summoned back to Korea by China in less than a year, Park Jung-yang actively suppo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when he became acting prime minister in 1896. In this regard, The Fisher House arguably is the birthplace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가람(嘉藍) 이병기 생가(李秉岐 生家) 수우재(守愚齋)에서 찾는 소박함과 선비정신 (The Rusticity and Spirit of Scholars Found at Suwoojae, the Birth House of Garam Byungi Lee)

  • 김정식;노재현;김정문;오현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
    • /
    • 2010
  • 본 연구는 가람의 문학적 성과 중 자연관 등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가람 이병기의 생가 수우재에 대한 실측 도면조사 그리고 현지답사 등의 고찰을 통하여 가람의 시조 문학적 특성의 가장 핵심어로 회자(膾炙)되는 '소박함'과 '선비정신'이 정원의장 및 공간특성에 어떠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우재의 입지는 용화산 줄기를 배산으로, 동쪽으로 노령산맥의 지맥에서 분기된 천호산을 안산으로 입지하며, 가람 시의 회고와 애착공간으로 자주 드러나고 있음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수우재의 장소성은 인걸지령론(人傑地靈論)과 관련된 양택 명당과 관련 깊은 것으로 해석된다. 2. 조선 후기인 1844년에 가람의 조부 이조흥에 의해 건립된 수우재는 안채의 일부가 정지(부엌)와 이어진 ㄱ자형의 고패집으로 구성되었으며, 4칸의 사랑채와 3칸의 고방채, 안채의 뒤쪽에 장독대를 중심으로 여유로운 민가 정원구성을 이루고 있다. 3. 수우재 내 외의 공간구성은 담장과 건축물의 영역이 세분화된 가운데 동선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시선의 다양함을 느낄 수 있으며, 승운정을 비롯해 정원 곳곳에서는 가람의 존재감 및 일상생활이 녹아든 시적 세계가 담긴 철학적인 영역의 공간감이 감지된다. 4. 수우재의 주요 정원시설은 사랑채 전면에 위치한 단아한 장방형의 연지, 곳곳에 산치(散置)된 괴석 그리고 차경 목적으로 낮게 둘러친 담장 등에서 소박한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 선비의식과 자연친화적 정원 면모를 읽게된다. 5. 수우재의 조경식물 중 주로 연지 주변에는 배롱나무, 살구나무, 일본목련, 산수유, 향나무, 배롱나무, 동백나무 등이 식재되었으며, 내원에는 감나무, 대추나무, 자두나무, 모과나무 등 유실수 위주의 실용적 식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승운정 후면에 악센트용으로 식재된 수령 200년 이상의 탱자나무는 특히 주목된다. 6. 가람의 시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자연을 관조하는 시이고 다음이 풍류를 담은 시이듯 수우재 주변의 다채로운 자연경관적 요소는 가람 시의 시적공간으로 설정된 자연공간의 소재 및 주제를 전환되는 모티브적 환경으로 보이는데 이는 승운정기(勝雲亭記) 등에서도 나타나는 자족의 심정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제주도 마을의 돌문화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Elements of Stone to Village in Jeju)

  • 김형남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25-36
    • /
    • 2009
  • Coastal village and Inland village was village in jeju. This study was cultural elements of stone to village in jeju. Memorial Stone and Stone Monument Street, Shrine, An altar of sarificial site for village tutelary spirits, Bangsatap(pagoda), 25 Bongsu(25 beacon fire stations) and 38 Yeondae(38 signaling sites), Hwanhaejangseong Fortress, Grave wall and Horse pasture walls were included in el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to village in jeju. An altar of sarificial rite for village tutelary spirits was generally on the a hill near a village, built of Stone wall. Bangsatap(pagoda) was the kind and the size of stone to a location, that expresses the form and the scale. the form of grave wall was the oval or the rectangle, the latter was frequent. Thatched houses in jeju and facilities in a house, Stone wall, Tongsi(pigsty), Paeng namu and A heights of stone, Spring water and Water collected in a depression, Stone Weir, Horse mill and Dodaebul(Old Lighthouse) were included in elements of life and culture to village in jeju. Stone wall has the multiplicity of the size and the building method in the use, the function and the region. The form of Stone weir was the rectangular figure or the curvilinear figure, the section of that was the right triangle or the rectangular form.

  • PDF

가평 이천보(李天輔) 고가(古家)의 정원 현황과 원형 복원을 위한 제안 (A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the Garden and Restoration Proposal for the Original Garden of Yi Cheon-bo's Historic House in Gapyeong)

  • 노재현;최승희;장혜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4호
    • /
    • pp.118-135
    • /
    • 2020
  • 우리나라 사대부 민가 정원 중 그 형태는 물론 정원의 구조와 기능 등이 온전히 남아 있는 경우는 흔치 않다.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위치한 이천보 고가(경기도문화재자료 제55호)는 명문가로서의 내력이나 장소성 그리고 잔존하는 건물과 자연문화재 등의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정원 유산으로 판단되지만, 현재는 사랑채를 제외하고는 그 진가를 찾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이천보 고가를 비롯하여 경기 북부와 가평군 관내 민가 정원의 배치 양식 등을 문헌 연구, 현장 연구, 1954년 항공사진 비교 검토 그리고 관련자 인터뷰 등을 통해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천보 고가의 가치를 조명하고, 이천보 고가의 정원 원형을 추론하는 등 산림채와 정원 복원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원의 장소성이 그나마 잘 보존된 반계천 일대의 반계동문(磻溪洞門) 암각서와 반석암의 존재를 통해 외원의 영역과 경관상을 살피고 이천보 고가의 입지 및 풍수 형국 그리고 조망축을 해석하였다. 이와 함께 사랑채에 걸린 상고당(尙古堂), 반계정사(磻溪精舍) 그리고 옥경산방(玉聲山房) 3개의 편액을 통해 사랑채의 경관성과 용도 및 상징성을 추론하였다. 더불어 내원에 현존하거나 존재했던 수목에 대해서는 실측 조사를 병행한 결과, 연하리향나무(경기도기념물 제61호)는 안내판이나 문화재 정보 등의 실제 규격보다도 과소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뿐 아니라 행랑채 전면에 잔존하는 향나무 또한 제원 조사 후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내원에 남아 있는 사랑채와 이전된 행랑채의 배치와 형태 그리고 사랑채 누마루와 지붕 측면부 합각 형태의 비대칭성 등을 통해 소실된 안채의 모습을 유추하였다. 또한 소실된 안채 및 사당 등의 복원을 통해 정원의 완전성을 추구할 목적으로 원래 모습을 추정한 결과, 안채는 사랑채 우측(북쪽)에 '구(口)자' 또는 '튼구(口)자'형태로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이천보 고가에 대한 복원 대안을 제시하였다.

로마시대 건축으로부터 재생된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초기 르네상스시대 건축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Revived from the Roman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early Renaissance Architecture Building -)

  • 김석만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2호
    • /
    • pp.7-2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revived from the roman architecture, focused on the early renaissance architecture building.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 1. The composition system of Domus which is formed of urban house in the Roman period is presented by spatial arrangement of palace architecture centering around atrium in the Renaissance period. Thus plan type of Domus is used by atrium from which is composed of peristyle from the palace and villa in the Renaissance period. 2. The circular temple in the Roman period is composed of element such as podium, stair, peristyle centering around the basic circular plan. Bramante planed to revive above elements for the Tempietto to concept from the circular temple in the Roman period. 3. The triumphal arch in the Roman period is strong monument to the independent building in the city, but thus arch is used of church facade as the important example which is composed with building elevation in the Renaissance period. 4. The composition system and element of Roman temple which is planned to rectangular plan is composed of high podium, stair, portico, prostyle and pediment. The facade plan of church is used by the partial elements and total elements perfectly from the temple in the Roman period. 5. The linearly successive and repetitive composition which is composition system and element of aqueduct arches of same dimension shows to the palace facade, arcade for gallery space and side elevation plan of S.Fracesco church. 6. Such as background of Colloseum, Rucellai palace can be called good example which is created by the new architectural form to the creative starting point from the classical architecture from.

  • PDF

풍경(風景)에 대한 대순사상적 접근 (Daesoon Thought Regarding Landscapes)

  • 노승복
    • 대순사상논총
    • /
    • 제33집
    • /
    • pp.287-317
    • /
    • 2019
  • 예술을 한마디로 정의하거나 그 범위를 특정하기란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예술이란 어떤 특정한 대상이나 환경, 경험과 기억을 작품 활동을 통해 창조적으로 표현한 미적 산물의 총칭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작품의 대상을 풍경, 풍경 중에서도 외면과 혐오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무연고 묘지로 하였으며, 무연고 묘지가 된 역사적 배경과 사실을 매체를 통해, 또 그 묘지를 돌보는 사람들의 전언을 통해 확실히 인지한 후 작품을 형상화하였다. 본 작품은 무연고 묘지와 무연고 묘지를 돌보며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풍경'을 작품 속에 담아냈다. 작품은 사회적 산물로서 사회로부터 동기부여를 받기 때문에, 작가는 시대적 사회상을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판단하여 밝은 것 이면에 있는 어두운 것이나 어두운 것 이면에 있는 밝은 것을 찾아내 작품으로 승화시킴으로써, 더 나은 세계를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자의 작품 2013년 <조화(弔花, 造花, 調和)>, 2015년 <풍경의 가장자리>, 2017년~2018년 <풍경이 된 몸>과 <기억하는 풍경>은 묘원에 있는 조화(弔花), 오랫동안 찾지 않은 무덤, 버려진 무연고 무덤이 있는 풍경을 소재로 하였다. 예술가들은 자신이 의도한 생각을 작품에 반영하여 관객과 소통을 원한다. 더 나아가 창작의 성격과 목적이 명확하다면 관람객들의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논자는 지금까지 창작한 작품 중 대순사상과 관련지어 해석할 수 있는 것들을 소개함으로써 작품의 의미를 더하려고 했다. 따라서 이 글은 작품의 대순사상적 해석에 대한 하나의 시도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대순사상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작품 해설이 우선해야 할 것이다. 작품 <풍경이 된 몸>의 소재로 전남 나주, 대구, 경기도 안성에 있는 무연고 묘지, 작품 <기억하는 풍경>의 소재로 경기도 안산에 있는 선감학원과 제주도 4·3 사건의 무연고 묘지를 다루었다. 특히 <기억하는 풍경> 작품 중의 하나로 제주 4·3 사건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는 <백비_기억하는 풍경>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그리고 작품의 대순사상적 해석을 위해 작품 <풍경이 된 몸> 중 나주 무연고 묘지에 대한 것은 음양합덕(陰陽合德)에, 안성 무연고 묘지에 관한 것은 성·경·신(誠敬信)에, 대구 사형수 무연고 묘지와 <기억하는 풍경> 작품인 안산 선감학원의 무연고 묘지와 제주도 4·3 사건 백비(白碑)에 관한 것은 해원상생(解冤相生)에 적용시켜 대순사상적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서울 이태원 부군당(府君堂) 마을 숲의 변천과 가치 (The Value and Change of the Forest Village Bugundang in Itaewon, Seoul)

  • 김해경;김영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8-69
    • /
    • 2013
  • 본 연구는 서민의 삶과 문화가 담긴 이태원 부군당 마을 숲의 변천 과정과 변형 전 모습을 기록하여 서민 생활문화 공간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이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태원 부군당은 마을 숲의 중심건물로 가장 높은 곳에 입지하며, 이중의 담장과 금기사항으로 보존되어 왔다. 마을 숲의 물리적 요소는 부군당의 신성성을 부여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둘째, 이태원 부군당 마을 숲은 도심지 내 녹지의 역할과 남산에서 용산가족공원을 잇는 연결 녹지로서 역할을 담당한다. 더불어 비오톱 1등급 지역으로 절대 보존지역에 해당하는 생태적 가치를 지녔다. 셋째, 마을 숲 내 대경목인 느티나무와 음나무는 서울시 보호수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를 지녔다. 넷째, 부군당 건물은 한식목구조 형태로 이질적인 재료가 결합되어 건축되었다. 건축사적 희소성과 구조적 특징으로 등록문화재로 등록할 수 있는 가치를 갖추고 있다. 다섯째, 이태원 부군당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당과 당제는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로서 가치를 지니며, 자생적인 전통 커뮤니티 발굴로도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이태원 부군당 마을 숲은 지역의 전통조경 대상지로서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를 이어주며 오늘날 새로운 마을 공동체의 공간으로 재생되었을 때 지역의 커뮤니티 공간 및 도시경관 요소로서 잠재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군당 건물의 경우 건축적으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