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thly Average Temperature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5초

교차기온반응함수로 추정한 전력수요의 냉난방 수요 변화 추정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lectricity Demand for Heating and Cooling using Cross Temperature Response Function)

  • 박성근;홍순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7권2호
    • /
    • pp.287-313
    • /
    • 2018
  • 본 연구는 전력수요의 냉방 및 난방 수요를 측정하고 분석한다. 이를 위해 냉난방기온효과를 추정하고 이를 Chang et al. (2014)의 전력수요함수 모형에 적용하여 전력수요를 기본수요, 냉방수요 그리고 난방수요로 분해하였다. 1999년 1월부터 2016년 12월의 한국의 일반용과 주택용 전력수요를 분석한 결과, 난방수요의 증가율이 기본수요와 냉방수요의 증가율을 월등히 상회하였으며 특히 일반용에서 난방수요 증가가 두드러졌다. 평년기온으로 통제한 기온보정된 난방수요는 실현된 난방수요보다 상대적으로 '더' 증가하였고, 냉방수요는 반대로 기온보정된 수요가 실현된 수요에 비해서 '덜' 증가하였다. 본 논문은 전력수요 내의 냉방 및 난방수요를 측정할 뿐 아니라 경제주체들의 전력수요 변화 패턴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추정 결과들은 향후 전력수요예측과 에너지수요관리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상 고밀도 관측 시스템을 이용한 대구의 여름철 고온현상 조사 (Investigation of Urban High Temperature Phenomenon in Summer using the High Density Ground Monitoring System in Daegu Metropolitan Area)

  • 김상헌;조창범;김해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619-1626
    • /
    • 2014
  • We analyzed diurnal variations in the surface air temperature using the high density urban climate observation network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presentative basin-type city in Korea, in summer, 2013. We used a total of 28 air temperature observation points data(16 thermometers and 12 AWSs). From the distribution of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air temperature at the center of Daegu was higher than the suburbs. Also, the days of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more than or equal to $25^{\circ}C$ and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more than or equal to $35^{\circ}C$ at the schools near the center of Daegu was more than those at other schools. This tendency appeared more clearly on the days of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more than or equal to $25^{\circ}C$. Also, the air temperature near the center of the c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uburbs in the early morning. Thus it was indicated that the air temperature was hard to decrease as the bottom of the basin. From these results,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to the formation of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Daegu was indicated.

위성 야간광 자료를 이용한 북한의 발전량 예측 연구 (A Study on Predicting North Korea's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Satellite Nighttime Light Data)

  • 김봉찬;이슬기;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1-91
    • /
    • 2024
  • 전기 에너지는 현대 문명의 핵심 에너지원으로 발전량, 전력 소모량의 변화 추이는 산업 및 생활 전반과 밀접한 관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 지역의 발전량과 야간광 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북한 지역의 월간 발전량 추이를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의 경우 야간광과 발전량 사이에는 0.34의 낮은 피어슨(Pearson) 상관계수를 보였으나 월 평균 기온을 이용하여 서울시의 가중치가 적용된 야간광 값과 발전량 사이에는 0.79의 높은 피어슨 상관계수를 보였다. 평양시의 월 평균 기온을 이용한 서울시의 가중치가 적용된 야간광 값을 이용하여 북한 지역의 월간 발전량 추이를 예측한 결과 2020년, 2021년 12월의 전월 대비 발전량 상승폭보다 2022년 12월의 전월 대비 발전량 상승폭이 약 6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월간 발전량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기민한 산업 동향 등의 파악이 힘든 지역의 월간 발전량의 추이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온과 봄 식물계절지수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 장정걸;유성태;김병도;손성원;이명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6-115
    • /
    • 2020
  •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NOAA/AVHRR NDVI를 이용한 북한지역 봄 가뭄 분석 (Analysis of Spring Drought Using NOAA/AVHRR NDVI for North Korea)

  • 장민원;유승환;최진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21-33
    • /
    • 2007
  • Different vegetation indices from satellite images have been used for monitoring drought damages, an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rought index using NOAA/AVHRR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pring drought severity in North Korea from 1998 to 2001. A new drought index, DevNDVI(Deviation of NDVI),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a monthly NDVI and average monthly NDVI at the same cover area, and the DevNDVI images at all years except for 2001 demonstrated the drought-damaged areas referred from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publications. The vegetation of 2001 showed high vitality despite the least amount of rainfall among the target years, and the reason was investigated that higher temperature above normal average would shift the growing stages of plants ahead. Therefore, complementary methods like plant growth models or ground survey data should be adopted in order to evaluate drought-induced plant stress using satellite-based NDVI and to make up far the distortion induced by other environments than lack of precipitation.

하동녹차 재배지역의 기상요소별 분석 (Analysis of Meteorological Elements in the Cultivated Area of Hadong Green Tea)

  • 황정규;김종철;조경환;한재윤;김루미;김연수;정강원;김용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2-142
    • /
    • 2010
  • 우리나라에서 대표적 녹차재배 지역인 화개지역과 악양지역의 2009년 기상특성을 정리하면 화개지역과 악양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각각 $14.5^{\circ}C$$14.2^{\circ}C$이며, 두 지역의 월평균기온을 보면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각각 $25.4^{\circ}C$$24.9^{\circ}C$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각각 $0.3^{\circ}C$$0.2^{\circ}C$ 이었으며, 일 최고기온은 각각 $28.4^{\circ}C$$27.9^{\circ}C$이고 일 최저기온은 $-5.0^{\circ}C$$-5.4^{\circ}C$이다. 연평균일교차는 화개지역이 $11.3^{\circ}C$이고 악양지역은 $11.1^{\circ}C$이다. 화개와 악양지역의 연평균습도는 각각 62.7%와 65.3% 이고, 연강수량은 1,387mm와 1,793mm로 2008년 대비 각각 605mm와 835mm가 더 내렸고, 5월부터 8월까지 화개 1,074mm, 악양 1,374mm로 집중적인 강수량을 보였다. 이것은 2009년 전체 강수량의 77.6%와 76.6%에 해당하는 수치로써 나머지 달에 비해 많은 강수량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연평균 일조시간은 2,054.3시간으로 관측되었고 4, 5월에 각각 232.2시간과 235.1시간으로 가장 긴 일조시간을 보인 반면에 7, 8월에는 각각 102.5시간과 28.8시간으로 가장 짧은 일조시간을 보였다. 풍향은 가을과 겨울에 서북서, 서, 북서계열의 서풍이 불었고 봄, 여름철에는 남동, 북북동, 남동계열의 동풍이 불었으며, 연평균 풍속은 1.5m/s로 관측 되었으며 12월이 2.0m/s로 평균 풍속이 가장 높은 달이었고 2월이 1.1m/s로 평균풍속 이 가장 낮은 달이었다. 순간최대풍속은 3월 13일에 측정된 23.3m/s이었다. 2009년 조사된 기상관측정보를 토대로 매년 기상관측정보를 데이터화해서 녹차재배지역의 기상환경을 이해하고 생장환경 정보를 수집하며 최적의 녹차재배 환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시 공원 내 식생 수관에 의한 기온 변화 (Air Temperature Change by Vegetation Canopy in Urban Park)

  • 이상화;이규석;정해연;김문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4-51
    • /
    • 2009
  • In order to determine air temperature difference by canopy layer in the forest, air temperatures were observed at Seolleung Park, Gahngnam-ku, Seoul. from November 9, 2007 to November 8, 2008 by 10 minute interval. Th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diurnal variation based on annual and monthly temperature difference. Using calm, less cloudy and no rainy weather data, average air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orest and grass was observed as $0.8^{\circ}C$. The maximum air temperature difference was observed at 22:10, 23:20, 23:30 and 23:40 by $2.13^{\circ}C$ and the minimum one observed at 13:00 by $-0.84^{\circ}C$ in diurnal variation. Th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occurred at 19 : 50 on September by $3.67^{\circ}C$, Overall the air temperature in the forest was higher than that of grass at night and lower in midday.

목포지방 기상요인과 단작목화의 생육 및 섬유수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Lint Yield of Monoculture Cotton in Mokpo Area)

  • 박희진;김상곤;정동희;권병선;임준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2-149
    • /
    • 1995
  • 1978년부터 1992년까지 작물시험장목포지장의 시험포장에서 재배하여 관측한 목화의 4품종(Kinggus, 용당재래, 113-4,380)의 주요특성과 재배기문중 관측된 기상자과를 이용하여 목화 단작의 생육 및 수량과 기상요인과의 및 수량 추정식을 한 유도는 다음과 같다. 1. 기상요인중 변이가 큰 것은 7월의 강수량과 폭풍일수로서 변이계수가 84.89%, 97.05%로 높았고 5~9월중의 평균기온과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은 비교적 변이가 적었다. 2. 생육및 수량형질의 변이는 9,10월의 적채면수량에서 68.77%, 78.52%로 높아서 연차간변이가 아주 컸고 조면비율과 결과지수는 11.77%, 19.13%로 변이가 약간 컸으며 개화기와 개서기는 6.05%, 7.83%로 변이가 아주 적어서 연차간 변이가 아주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5월의 강수량과 결과지수간, 7월의 일조시수와 삭수간, 7월의 최고기온과 적채면 수량간, 8월의 증발량과 적채면 수량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7월의 기상요인($X_1$~$X_8$)을 이용하여 9. 10. 11월의 총적채면 수량(Y)을 추정한 결과 Y =-1080.8515 + 144.7133$X_1$+15.8722$X_2$ + 164.9367$X_3$ + 0.0802$X_4$ + 0.5932$X_5$ + 11.3373$X_6$ + 3.4683$X_7$ - 9.0846$X_8$(r=0.8448**)의 회귀식을 유도할 수 있었으며 8월의 기상요인(X$_4$를 제외한 X$_1$~X$_{9}$)을 이용하여 총적채면 수량(Y)을 추정한 결과 Y =2835.2497 + 57.9134$X_1$ - 46.9055$X_2$ - 41.5886$X_3$ + 1.2559$X_5$ - 21.9687$X_6$- 3.3763$X_7$- 4.1080$X_8$- 17.5586$X_9$의 회귀식을 유도할 수 있었으며, 이 식을 이용하여 실제수량과 이론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직선상에 아주 가깝게 추정하여 오차가 적었다.

  • PDF

SWAT 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유역의 기후인자에 따른 유출 및 유사량 민감도 평가 (Sensitivity Analysis of Climate Factors on Runoff and Soil Losses in Daecheong Reservoir Watershed using SWAT)

  • 예령;정세웅;이흥수;윤성완;정희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7
    • /
    • 2009
  •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was used to assess the impact of potential future climate change on the water cycle and soil loss of the Daecheong reservoir watershed. A sensitivity analysis using influence coefficient method was conducted for two selected hydrological input parameters and three selected sediment input parameters to identify the most to the least sensitive parameters. A further detailed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parameters: Manning coefficient for channel (Cn), evaporation (ESCO), and sediment concentration in lateral (LAT_SED), support practice factor (USLA_P).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SWAT were performed on monthly basis for 1993~2006 and 1977~1991, respectively. The model efficiency index (EI)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computed for the monthly comparisons of runoffs were 0.78 and 0.76 for the calibration period, and 0.58 and 0.65 for the verification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drological cycle in the watershed is very sensitive to climate factors. A doubling of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s was predicted to result in an average annual flow increase of 27.9% and annual sediment yield increase of 23.3%. Essentially linear impacts were predicted between two precipitation change scenarios of -20, and 20%, which resulted in average annual flow and sediment yield changes at Okcheon of -53.8%, 63.0% and -55.3%, 65.8%, respectively. An average annual flow increase of 46.3% and annual sediment yield increase of 36.4% was estimated for a constant humidity increase 5%. An average annual flow decrease of 9.6% and annual sediment yield increase of 216.4% was estimated for a constant temperature increase $4^{\circ}C$.

일본 Shikoku, Ikata지역 인공어초 주변의 해양생물 군집 (Marine Communities around Artificial Reefs Located in Ikata, Shikoku, Japan)

  • 최창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8-214
    • /
    • 2008
  • This study monitored a variety of marine communities during monthly or bimonthly censuses from February 1999 to August 2000. The communities investigated included artificial reefs composed of various substrates, which were placed on an area of sandy bottom at 8, 10, and 13m depths in Muronohana, Ikata, Shikoku, Japan. Economically important shell fishes, such as the turban shell and abalone, appeared on the artificial reefs after 1 month of construction. Shell fishes were recorded at levels of five to 20 individuals per reef. A total of 37 species (4 orders, 19 families) were identifi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pagon semilineatus, Trachurus japonicus, Pteragogus sp., and Pterogobius elapoides accumulated over an average of 100 individuals during the study period. Apagon semilineatus, Pteragogus sp., and P. elapoides accumulated over 1,000 individuals on all artificial reefs in May 1999. Trachurus japonicus reached well over 500 individuals in the artificial iron reef during June and July 2000. Higher monthly variation in fish abundance occurred during periods of high temperature, as compared to periods of low temperature between December 1999 and March 2000. More fish were observed in the artificial iron reef than in the artificial concrete reef, because the former offered a broader inner space and the shadows of the roofs served as a shelter for 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