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clonal antibody against CD11b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백혈구 CD11b에 대한 단 클론 항체 (MAb 1B6)는 Spraque Dawley의 E. coli 폐렴의 조기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Monoclonal Antibody against leucocyte CD11b(MAb 1B6) increase the early mortality rate in Spraque Dawley with E. coli pneumonia)

  • 김형중;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579-589
    • /
    • 1996
  • 연구배경 : 패혈증에서 백혈구의 활성화는 미생물 및 숙주 독성 물질의 청소에 중요한 역활을 하며 한편으로 활성화된 호중구와 그의 특성 물질은 조직 손상파 장기의 기증 부전을 초래한다. 백혈구의 CD11/18 유착 분자는 감염 및 염증 부위로 호중구 이동의 첫 단계인 호중구-내피 세포 유착을 조절한다. 패혈증 치료 전락으로 호중구 억제 효과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rat 에서 Escherichia coli 폐렴을 유발하여 CD11b에 대한 단클론 항체(MAb 1B6)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방법 : 1 mg/kg CD11b에 대한 단클론 항체와 1 mg/kg BSA출 폐렴 유발 6 시간전, 유발시 및 유발 6 시간후 무작위적으로 피하 투여하였다. 폐렴 유발후 무작위적으로 24, 60 및 90%의 산소를 투여하였으며 폐렴 유발후 4시간 및 3일간 하루에 한번씩 100 mg/kg의 ceftriaxone을 투여하였다. 말초 및 폐포 호중구와 폐 손상의 지표인 D(A-a)O2, W/D LW ratio 및 폐포 세척액 단백 농도를 12시간과 96시간까지 생존한 동물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 CD11b에 대한 단클론 항체는 말초 및 폐포 호중구를 감소시켰으며 96시간 보다 12시간에 더욱 감소시켰다. 폐손상 지표는 단클론 항체 투여군과 대조군을 비교시 차이를 보이지 앉았으나 생존 동물 수의 부족으로 통계학적 평가의 의미가 없었다. 조기(6 시간) 사망률은 항체 투여군 51%로 대조군 31%보다 의미(P=0.02) 있게 증가하였으나 후기 사망률(12 시간에서 72 시간)은 항체 투여군 44% 대조군 36%로 의미(P=0.089)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CD11b/18 유착 분자는 감염 및 염증 부위로 호중구의 이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D11b에 대한 단클론 항체는 rat의 폐인성 패혈증에서 폐포 호중구를 감소시키고 조기 사망률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CD11b에 대한 단클론 항체가 rat의 폐인성 패혈증의 초기에 호중구의 폐포내 이동을 억제시켜 숙주의 방어 기전에 장애를 초래하여 조기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 세포 접촉에 의한 단핵구 활성화에서 ${\beta}_2$ Integrin의 역할에 관한 면역화학적 연구 (Immunochemical study on the Role of ${\beta}_2$ Integrin in the Activation of Monocytes Upon Direct Contact with T Lymphocytes)

  • 이석초;이호;오귀옥;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333-350
    • /
    • 1999
  • The modulation of leukocyte cell surface adhesion molecules ma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cellular events that determine the course of the inflammatory process. Direct interaction between activated T cells and monocytes resulted in a large production of $IL-1{\beta}$ by monocytes. In this reactions, adhesion molecules play an important part, yet the role of them in Tmonocytes interaction remain unclear.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an effort to elucidate, 1) the influence of 1.25(OH)$_2D_3-induced$ differentiation on the monocyte responsiveness to direct contact with T lymphocytes, and 2) the role of adhesion molecules on the T-monocyte direct interaction. Initially, I observed that direct contact of monocyte cell line THP-1 with stimulated fixed T cell line HuT78 markedly induces IL-1${\beta}$ production by THP-1. $IL-1{\beta}$ production was higher when THP-1 had been previously exposed to 1.25(OH)$_2D_3$ as compared to control, with ${\alpha}$- 1.25(OH)$_2D_3$ dose-dependent and exposure time-dependent manner. It was shown that 1.25(OH)$_2D_3$ also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eta}_2$ integrin adhesion receptor Mac-1(CD11b/CD18) dose- and timedependently, but did not increase the expression of human leukocyte antigen- D(HLA-D) and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 The $IL-1{\beta}$ producing activity of THP-1 cells correlated well with the ability to induce the Mac-1 expression on THP-1 surface. Monoclonal antibody raised against relevant cell surface glycoproteins on THP-1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block the response of THP-1 to T cells. Antibody to Mac-1 only partially blocked $IL-1{\beta}$ production by THP-1, whereas antibodies to ICAM-1 and HLA-D did not. These data indicate that regulation of Mac-1 expression on THP-1 cells can alter the responsiveness of these cells to contact by activated T cells, however other unknown structures on the THP-1 cells may be involved in this process als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