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chorionic twi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쌍생아 (Twins)

  • 이오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685-690
    • /
    • 2005
  • Recently, twinning rate increases in Korea since the early 1990s by delayed marriage and prevailing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But twin and higher-order multiples are at increased risk for perinatal and neonatal mortality over 5 fold despite of dramatic improvement of perinatal and neonatal care. Because twins are born more prematurely and have lower birth weights than singleton. In addition, twins are at increased risk for cerebral palsy mainly in monochorionic twins due to co-twin fetal death, twin to twin transfusion and congenital anomaly. So, this article review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mortality and morbidity of the twins and the efforts to decrease the neonatal mortality of twins.

Twin anemia polycythemia sequence in a dichorionic diamniotic pregnancy: a case report

  • Lee, Soo-Young;Bae, Jin Young;Hong, Seong Ye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9권2호
    • /
    • pp.150-152
    • /
    • 2022
  •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vascular anastomosis of the placental vessels in monochorionic twins are fatal. The clinical syndromes of feto-fetal transfusion include twin anemia polycythemia sequence (TAPS), twin-twin transfusion syndrome, and twin reversed arterial perfusion sequence. We present an extremely rare case of TAPS in a dichorionic diamniotic pregnancy. A 36-year-old woman, gravida 0, para 0,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with suspected preterm premature membrane rupture. Although her pelvic examination did not reveal specific findings, the non-stress test result showed minimal variability in the first fetus and late deceleration in the second one. An emergency cesarean section was performed. The placenta was fused, and one portion of the placenta was pale, while the other portion was dark red. The hemoglobin level of the first fetus was 7.8 g/dL and that of the second one was 22.2 g/dL.

쌍생아 임신의 융모막과 주산기 결과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chorionicity in Twin Gestations)

  • 최은진;윤현진;허재원;홍수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67-74
    • /
    • 2008
  • 목 적 : 융모막의 종류에 따른 주산기에 미치는 영향과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이나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이 있는 단일 융모막의 주산기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일신기독병원에서 재태 연령 12주에서부터 분만과정까지 산전 진찰을 받고 분만을 한 단일 융모막 산모 99명, 이 융모막 산모 206명, 그리고 이들에게서 태어난 188명의 단일 융모막 쌍생아와 411명의 이 융모막 쌍생아를 대상으로 외래 및 입원 병력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과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의 빈도 및 융모막 종류에 따른 주산기 영향 및 신생아 이환을 평가하였다. 결 과 : 단일 융모막군은 이 융모막군보다 재태 연령이 작고(35.7 vs 36.6, P=0.03) 태아 사망이 많았다(10% vs 1.5%, P<0.001). 그리고 단일 융모막군의 선택적 발육부전이 이 융모막의 선택적 발육부전보다 태아 사망이 높았다(19% vs 2.5%, P=0.025).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쌍생아는 단일 융모막 쌍생아가 이 융모막 쌍생아보다(31% vs 16%, P=0.042) 빈도가 높았다. 그리고 단일 융모막 쌍생아가 뇌실 주변 백색 연화증(7% vs 0%; P=0.031), Surfactant를 투여한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27% vs 11%; P=0.049)의 빈도가 높았다. 단일 융모막군에서 선택적 자궁 내 발육지연의 빈도는 21%였고 태아 간 수혈 증후군의 빈도는 9%이었다. 일측성 태아 사망은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에서는 9명중 6명(67%)이고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군에서는 21명중에 4명(19%)으로 단순 단일 융모막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신생아실에 입원한 빈도는 쌍태아 간 수혈증후군에서 92%, 선택적 태 아발육부전에서 42%로 단순 단일 융모막군의 2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입원기간 또한 유의하게 길었다(P=0.033). 그리고 뇌실 주변 백색 연화증 및 뇌실 내 출혈빈도인 경우에도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과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군이 단순 단일 융모막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각각 P=0.011, P=0.007). 결 론 : 쌍태아 간 수혈 증후군이나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이 있는 단일 융모막 쌍생아에서 신생아의 합병증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