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nascus Koji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홍국발효 콩 함유 현미 식초의 Tyrosinase와 Elastase의 저해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polished Rice Vinegar Containing Monascus-Fermented Soybean on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Elastase)

  • 황지영;조호연;표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49-154
    • /
    • 2016
  • 현미와 홍국발효 콩 시료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초의 미용건강기능성 소재(cosmeceuticals)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현미 식초에 비해 홍국발효 콩이 첨가된 시료가 첨가량에 비례하여 최대 7배 이상 증가하였다(P<0.05). 특히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0% 첨가량의 시료에서 kojic acid의 저해 활성과 유사하게 나타나 미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elastase 저해 활성 역시 첨가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현미 식초에 비해 홍국발효 콩을 1:1(w/w)의 비율로 첨가한 식초의 높은 생리활성은 시료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 특히 이소플라본 비배당체형의 genistein과 daidzein의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Development of New Edible Pigments using Monascus spp.

  • Cho, Gyu-Seong;Kim, Kwangwook;Park, Won-Jong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1-49
    • /
    • 2019
  • Carotene, xanthophyll, carotenoid anthocyan, phycopyrine, chlorophyll, and monascus pigments are used as natural coloring agents since they are more stable to human body than synthetic coloring agents. Among them, monascus pigments are a natural red pigment produced by the Monascus purpureus. For the development of edible paint using natural pigment, Monascus purpureus strain was cultured at a temperature of $35^{\circ}C$ for 15 days on a PDYA plate and liquid medium to produce a red pigment.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the red pigment was extracted from Hongkuk Koji in parallel with water extraction and ultrasonic wave extraction. At this time, the yield of ultrasonic extract was 2~4 times higher. Thus, Monascus purpureus strains, etc. were prepared by freeze-drying powder. In conclusion, natural paints made with red pigments have enabled the development of been edible paints that can be used as eco-friendly materials with good viscosity, enhanced spread ability and coloration.

액체 홍국의 배양조건에 따른 색소생산과 색조의 변화 (Pigment Production and Color Diference of Liquid Beni-koji under Submerged Cultural Conditions)

  • 강성국;정순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2-478
    • /
    • 1995
  • Mycelial growth, color difference and productivity of red pigment of beni-koji by Monascus anka KCCM 11832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it's pigment in submerged culture with various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Shaking incubation was more promoted mycelial growth and the production of pigments than that for non-shaking incubation, and red color became ten times deeper. The production of red pigment was the highest when incubated at 25$\circ$C for 7 days in pH 6.0, but mycelial growth was showed the highest at 32.5$\circ$C. The level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 for maximum red pigment production were 2% rice powder and 0.05% peptone, respectively and the level of peptone for maximum pigment production was lower than that for maximum mycelial growth. Among pigmentation promoting agents tested, MgSO$_{4}$,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red pigment, and the optimum level was 0.1%.

  • PDF

비지홍국의 색소 및 Monacolin K 함량 (Pigment and Monacolin K Content of Beni-koji Fermented with Soybean Curd Residue)

  • 윤은경;김영희;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0-364
    • /
    • 2003
  • 두부폐기물인 비지와 M. Pilosu를 이용한 홍국제조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건조분말 비지에 20%양의 물을 첨가하여 증자한 비지에 glucose(0∼10%), monosodium glutamate(0∼0.1%), 감귤과피물추출물(감귤과피 양으로 0∼0.5%)의 첨가에 따른 색소 및 monacolin K 함량을 조사하였다. Glucose 첨가량을 10%로 하였을 때 색소 생성량이 O.D.1.06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 때의 monacolin K 함량은 96.38 mg%(w/w)이었다. Monosodium glutamate는 0.01%에서 색소 생성량이 O.D. 2.26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때의 monacolin K 함량은 118.25 mg%(w/w) 이었다. 감귤과피 물추출물(g/mL)의 경우는 0.4%(v/w) 첨가하였을 때 색소 생성량이 O.D.2.61로 가장 높았으며 이때의 monacolin K 함량은 104.50mg%(w/w) 이었다.

식이성 홍국이 Bromobenzene에 의한 간 손상의 해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onascus Koji on the Liver Damage Induced by Bromobenzene in Rats)

  • 오정대;윤종국;유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65-972
    • /
    • 2004
  • 홍국이 bromobenzene에 의한 간 손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 에 2% 및 4% 홍국 첨가식이로 1개월 간 성장시킨 다음 체중 1 kg당 400 mg의 bromobenzene을 1일 1회 복강으로 3회 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2% 및 4% 홍국 첨가식이로 성장시킨 흰쥐에 있어서 체중증가율은 표준식이군과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으며 간 기능 및 병리조직검사에서도 홍국 섭취로 인한 간 조직의 병태생리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동물에 bromobenzene을 투여 시 간 손상 정도가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가장 경미하게 나타났다.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bromobenzene에 의한 간손상이 경미하게 나타난 원인을 구명하고자 간 손상 실험모델에bromobenaene을 재투여시, 간 조직 중 cytochrome P-450 dependant aniline hydroxyl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는 유의한 증가(p<0.01)를 보였으나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그리고 대조군에 대한 간 조직 glutathione 함량 감소율에 있어서는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간 조직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은 3군간에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반응속도적 측면에서는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보다 V$_{max}$치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bromobenzene 투여에 의한 간 조직의 cytochrome P-450 dependant aniline hydroxylase 증가율은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xanthine oxidase 활성은 3군간에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특히 대조군 및 bromobenzene 투여군 모두superoxidas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bromobenzene에 의한 간 손상이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2% 흥국 첨가식이의 섭취로 인한 bromobenzene 대사 및 유해산소 해독의 촉진에 기인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다.

액체홍국코지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Hot Pepper Soybean Paste (Kochujang) Prepared by Liquid Beni-koji)

  • 강성국;박인배;정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2-89
    • /
    • 1997
  • 홍국 액체 koji를 사용한 고추장 제조의 가능성과 홍국의 생리적 활성을 이용한 기능성고추장을 제조하고자 홍국만을 사용한 고추장, 황국만을 사용한 고추장 및 홍국과 황국을 혼용한 고추장을 제조하고 숙성 과정중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검토하였다. 고추장 제조용 액체 koji의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alpha}-amylase$와 protease활성은 황국 koju가 높았으며, ${\beta}-amylase$활성은 홍국 koji가 높았다.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숙성기간중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점조도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0일 숙성 후 평균 수분함량과 점조도는 각각 46%내외와 $1.4{\times}10^5\;cp$ 수준이었다. 홍국 koji와 황국koji를 이용하여 제조조건을 달리한 고추장의 숙성과정중 pH 변화를 검토한 결과, 숙성 초기 pH는 $4.63{\sim}4.65$ 수준이었으며 40일 숙성 후에는 $4.53{\sim}4.67$ 수준으로 전체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으나 숙성과정중 초기 5일까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25일까지는 증가하였으며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추장의 숙성과정중 색조의 변화는 L, a 및 b값 모두 숙성 20일째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0일 숙성 후 홍국 koji를 사용량이 많을수록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낮았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높았다. 고추장의 숙성과정중 아미노태 질소나 암모니아성 질소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아미노태 질소의 경우는 황국만을 사용한 것이 40일째 241.2 ㎎%로 가장 높았으며, 암모니아성 질소는 홍국만을 사용한 것이 97.2 ㎎%으로 가장 낮았다. 40일 숙성제품의 수분은 $46.31{\sim}47.25%$, 조단백은 $9.91{\sim}10.41%$, 조지방은 $8.23{\sim}8.51%$, 회분은 $21.87{\sim}22.99%$, 총당은 $10.90{\sim}11.89%$를 보였으며, 염분은 $10.04{\sim}11.40$를 나타냈다. 유리아미노산의 구성은 대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alanine, tyrosine순으로 많았으며 glycine, histidine, methionine순으로 적은 함량을 보였고 cyste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홍국주의 제조와 기능성에 관한 연구 (Brewing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ongkuk Ju Prepared with Various Hongkuks)

  • 박인배;박배선;정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43-950
    • /
    • 2003
  • 홍국주의 제조방법을 재현하고 그의 기능성을 탐색하고자 Monascus purpureus, Monascus anka, Monascus araneosus의 홍국균으로 3종류의 쌀 홍국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6종류의 홍국주를 제조하여 발효과정중의 성분변화를 분석하고 제조한 홍국주의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소거능, ACE 저해효과를 측정하여 생리적기능성을 서로 비교 검토하였다. 홍국주 제조용 홍국의 효소활성은 Monascus purpureus로 제조한 홍국이 모든 효소활성에서 다른 두 종류의 홍국보다 더 높았다. 발효 기간에 따른 홍국주의 pH는 pH $3.65{\sim}4.05$ 부근이었고 홍국의 종류와 사용량이 pH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총산의 변화는 $0.3{\sim}0.7%$ 부근으로 변화가 적었다. 환원당은 발효기간 중 계속 감소하여 누룩으로만 담금한 대조구의 경우 발효 10일 에 환원당의 함량이 1%로 낮아졌으나 홍국의 사용비율이 높을수록 발호속도가 빨라, 홍국과 누룩으로 담금한 경우는 8일, 홍국만으로 담금한 술덧은 발효 6일에 환원당의 함량이 1%정도가 되었다. 에칠 알코올은 발효 6일에 누룩으로만 담금한 대조구는 10.8%를, 홍국과 누룩으로 담금한 홍국주는 $12{\sim}12.5%$를, 홍국만으로 담금한 홍국주의 경우는 $12.8{\sim}13.3%$를 나타내 홍국의 함량이 높을수록 발효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이중 Monascus purpureus 홍국만으로 담금한 홍국주가 알코올 생성능이 가장 좋았다. 홍국주의 적색도(a값)는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적색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16이 되었다. 홍국주의 총 페놀 함량은 Monascus purpureus 홍국만으로 제조한 것이 20.55 mg%로 가장 높았으며 Monascus araneosus 홍국과 누룩을 혼합하여 제조한 홍국주가 10.25 mg%로 가장 낮았다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14.50{\sim}30.25%$를 나타내었으나 홍국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력은 뛰어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누룩으로만 담금한 대조구의 경우 18.25%로 홍국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폭의 향상을 보여 $19.25{\sim}28.65%$이었다. 대조구의 ACE 저해활성은 20.55%이었고 홍국 사용량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ACE 저해활성은 각각 $24.66{\sim}50.13%$로 홍국주의 제조방법에 따라 그 차이가 컸다.

Monascus anka를 이용한 홍국의 제조 및 특성 (Hongkuk Produ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ngkuk Made from Monascus anka)

  • 방병호;이문수;김관필;이기원;이동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55-1060
    • /
    • 2012
  • In order to produce Hongkuk-ju,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ongkuk (Monascus red koji) by Monascus anka KCTC 6121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cultur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enzyme (${\alpha}$-amylase and glucoamylase) and pigment (yellow and red) from this strain on solid culture (steamed rice)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ion of ${\alpha}$-amylase and glucoamylase reached the highest for 9 days and 8 days, respectively. Since then, the productions decreased slightly. The production of yellow and red pigments reached the highest for 8 days, decreasing slightly soon after. The optimal content of the initial moisture equally presented 30% in the enzyme and pigment production. After that, the enzyme production decreased slowly, whereas pigment production decreased sharply. The optimal temperature of the culture also showed $30^{\circ}C$ in the production of enzyme and pigment.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inoculum size in enzyme and pigment production was 10% and 20%, respectively. Under these optimal conditions, the production of monacolin K and citrinin was 74.35 mg/kg and 5 mg/kg for 12 days, respectively.

Monascus pilosus 코오지로 담근 간장의 품질 특성 (Quality of Soy Sauce Brewed by Monascus pilosus Soybean Koji)

  • 김순동;박미자;김미정;이윤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8-35
    • /
    • 2002
  • A. oryzae 코오지로 담근 간장(SAO), M pilosus-1 코오지 담근 간장(SMP) 및 이들 코오지를 50%씩 혼합하여 담근 간장(SAM)의 숙성 중 품질을 평가하였다. 90일간 숙성시킨 간장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SAO>SAM>SMP 순서로 SMP에서 가장 낮았다. SAO, SMP 및 SAM의 총 질소 함량은 각각 1.15, 1.22 및 1.36%로 SAM에서 가장 높았다. SAM의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0.78%로 SAO 및 SMP보다 높았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SAO, SMP 및 SAM에서 각각 533.5, 732.4 및 807.3 mg/100 mL 이였다. SAO에서는 glutamic acid(65.20 mg/100 mL), SMP에서는 alanine(101.42 mg/100 mL), SAM에서는 glutamic acid(130.52 mg/100 mL)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간장 숙성 중 protease와 $\beta$-amylase의 활성은 SAM에서 가장 높았으며, $\alpha$-amylase활성은 SAO에서, glucoamylase의 활성은 SMP에서 가장 낮았다. Hue angle 값은 SAO 56.3, SMP 29.0, SAM 32.2 이였다. SMP 및 SAM의 monacolin K의 함량은 각각 6.21 및 3.10 $\mu\textrm{g}$/mL을 함유하였으며 HMG-CoA reduc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각각 21.5 및 10.2%를 나타내었다. 색상, 냄새, 맛난 맛 및 종합적인 맛은 SAM에서 비교적 양호하였다.

홍국첨가 김치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Extracts Prepared with Monascus purpureus Koji Paste)

  • 김현정;황보미향;이효주;유대식;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18-623
    • /
    • 2005
  • 홍국 김치는 절임 배추량에 대하여 홍국 쌀풀(20%)을 각각 2.5, 5%씩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다음, $10^{\circ}C$에서 15일간 발효시키면서 3일 간격으로 채취하여 김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김치 추출물을 인간 유래의 4종의 암세포주인 AGS, KATOIII, HepG2, Hela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및 6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생육 저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시료농도 1mg/mL 처리시에는 홍국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 대조군과 홍국을 첨가만 김치군 모두 40% 이하의 암세포 증식 억제를 보였으며, 시료농도 2mg/mL 처리시에는 대조군에 비해 홍국첨가 김치군에서 더 큰 증식 저해율을 보였다. 또한 김치를 담근 직후부터 발효 3일까지는 대부분의 균에 대한 김치의 항균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발효 6일째부터는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내어, 발효가 진행되면서 김치 대조군 및 흥국첨가 김치군에서 항균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김치 대조군에 비해 5% 홍국첨가 김치군에서 높은 항균성을 보여 홍국 함량이 증가할수록 항균활성이 조금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김치의 발효가 진행되면서 김치 추출물은 여러 암세포 주의 증식을 억제하고 6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높은 항균황성을 보였고, 특히 홍국의 첨가량이 많은 김치추출물에서 암세포 주 증식 저해 활성 및 항균활성이 더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