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sture ratio

검색결과 1,566건 처리시간 0.025초

컨베이어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특성 - 하향 송풍방식 - (Drying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Using Conveyer Far Infrared Dryer - Down Draft Air Flow Type -)

  • 연광석;김민호;한충수;조성찬;강태환;이해철;김창복;김진국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1호
    • /
    • pp.37-4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ew drying method far reducing the drying cost and time and to investigate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A far infrared dryer of down draft air flow type used for this experiment can control the drying parameters, such as far infrared heater temperature and aeration velocity. The far infrared drying tests were performed at aeration velocities of 0.3 and 0.6m/s under the temperature of 90 and 100$^{\circ}C$ in for infrared heater,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of an heated air drying method used as a control in terms of properties representing the drying characteristics. such as shrinkage rate, color, energy consumption amino acid components, drying rate and moisture rati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rying rate of far infrared drying was faster than that of heated air drying. With high temperature of far infrared heater and slow aeration velocity, the far infrared drying of down draft air flow type was superior to the heated air drying. 2. Most of far infrared drying conditions required less energy consumption than heated air drying. 3. The shrinkage rates of heated air drying and far infrared drying were decreased by 17.0% and 18.2∼19.8%, respectively. 4. The difference of color on oak mushroom surface before and after drying can be represented as $\Delta$E. $\Delta$E values of far infrared drying and heated air drying were 2.39∼4.55 and 6.77, respectively. 5. The amounts of free amino acids were higher in the far infrared than in the heated air drying. In addition the amounts of Gln and Glu generally were increased and those of Ala, Leu, and Val were decreased in order.

Thin Layer Drying Model of Sorghum

  • Kim, Hong-Sik;Kim, Oui-Woung;Kim, Hoon;Lee, Hyo-Jai;Han, Jae-Woo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4호
    • /
    • pp.357-36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sorghum by developing thin layer drying equations and evaluating various grain drying equations. Thin layer drying equations lay the foundation characteristics to establish the thick layer drying equations, which can be adopted to determine the design conditions for an agricultural dryer. Methods: The drying rate of sorghum was measured under three levels of drying temperature ($40^{\circ}C$, $50^{\circ}C$, and $60^{\circ}C$) and relative humidity (30%, 40%, and 50%) to analyze the drying process and investigate the drying conditions. The drying experiment was performed until the weight of sorghum became constant. The experimental constants of four thin layer drying models were determined by developing a non-linear regression model along with the drying experiment results. Result: The half response time (moisture ratio = 0.5) of drying, which is an index of the drying rate, was increased as the drying temperature was high and relative humidity was low. When the drying temperature was $40^{\circ}C$ at a relative humidity (RH) of 50%, the maximum half response time of drying was 2.8 h. Contrastingly, the maximum half response time of drying was 1.2 h when the drying temperature was $60^{\circ}C$ at 30% R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e Lewis model, simplified diffusion model, Page model, and Thompson model was respectively 0.9976, 0.9977, 0.9340, and 0.9783. The Lewis model and the simplified diffusion model satisfied the drying conditions by showing the averag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experimental constants and predicted values of the model as 0.9976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0.0236. Conclusion: The simplified diffusion model was the most suitable for every drying condition of dry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nd the model for the thin layer drying is expected to be useful to develop the thick layer drying model.

증자인삼(蒸煮人蔘)의 건조특성(乾燥特性)과 건조(乾燥)에 수반(隨伴)하는 삼근(蔘根)의 수축(收縮)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Cooked-Ginseng Root and Its Shrinkage during Dehydration)

  • 전재근;박훈;서정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67-173
    • /
    • 1985
  • 홍삼제조(紅蔘製造)와 관련된 품질저하현상(品質低下現象)의 원인구명(原因究明)을 위하여 증자인삼(蒸煮人蔘)의 열풍건조과정(熱風乾燥過程)에 따른 건조특성(乾燥特性)과 이에 수반(隨伴)되는 수축양상(收縮樣相)을 검토(檢討)하였다. 건조초기(乾燥初期)에 급격한 건조현상(乾燥現象)을 볼 수 있으며 확산기작식에 적용한 결과 건조단계(乾燥段階)가 건조온도(乾燥溫度)에 따라서는 2기(期) 내지 3기(期)의 감율건조기(減率乾燥期)로 구분(區分)되었다. 또한 건조상수(乾燥常數)값 k가 건조온도별로 뚜렷한 차이(差異)를 가져 온도의존성(溫度依存性)이 큼을 알 수 있으나 건조중(乾燥中) 일정(一定)한 값은 갖지 않고 계속 변(變)하였다. k값의 감소(減少)는 건조초기(乾燥初期)에 심하였고 $5{\sim}7$시간(時間) 경과후에 크게 둔화되었다. 한편 삼근동체(蔘根胴體)의 길이, 직경(直徑), 표면적(表面的), 체적수축율(體積收縮率)이 건조(乾燥) 40시간(時間)에 있어서 13.0, 39.8, 47.7, 68.5%를 각각(各各) 기록하여 서로간에차이는 있지만 건조중 심한 수축현상(收縮現象)이 동반(同伴)되었으며, 특(特)히 건조초기(乾燥初期)에 수축이 심하였다. 길이보다는 직경(直徑) 수축이 훨씬 심하여 삼근조직(蔘根組織)의 방향(方向)에 따른 차이(差異)를 나타내었고, 또한 체적수축율(體積收縮率)이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에 비해 다소 작았는데 그 차이(差異)가 건조초기(乾燥初期)에 뚜렷하였다.

  • PDF

양식산 굴 첨가가 된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ed Oyster Powder on Food Quality of Soybean Pastes)

  • 김진수;허민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08-215
    • /
    • 2004
  • 양식산 굴을 동결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화한 다음 된장에 첨가하여 양식산 굴 첨가 된장의 제조를 시도하였으며, 아울러 이의 특성에 대하여 살려보고자 하였다. 시판 된장에 굴 분말을 첨가하는 경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굴 첨가 된장의 수분은 감소를 하였고, 조단백질 및 아미노질소 함량은 증가를 하였으며, 염도 및 산도는 거의 변화 없었다. 또한 굴 분말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굴 첨가 된장의 색조는 짙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와 관능검사로 미루어 굴 첨가 된장의 제조를 위한 최적 굴 첨가량은 시판 된장에 대하여 9%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한 굴 첨가 된장은 시판 된장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약 2% 정도 많았고, 무기질의 경우 칼슘과 인의 비율이 1:2-2:1의 범위로 개선되었으며, 건강 기능성 지방산으로 대표되는 EPA 및 DHA이 검출되었다. 한편 굴 첨가 된장의 맛을 지배하는 유리아미노산 중 대표되는 맛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시판 된장에 굴 분말을 9%정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경우 된장의 영양성 단백질 및 건강 기능성 지질의 강화, 뿐만 아니라 다소의 맛 개선으로 된장 이외에 엑스분의 추출을 위해 별도의 굴과 같은 해산물을 첨가하기 위한 노력을 단축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저등급석탄(低等級石炭)(인도네시아 IBC)의 고정층(固定層) 반응기(反應器) 실험(實驗)을 통한 건조(乾操) 반응속도론(反應速度論) 연구(硏究) (A Study on Drying Kinetics of Low Rank Coal(Indonesia-IBC) through the Fixed-Bed Reactor Experiments)

  • 강태진;전도만;전영신;강석환;이시훈;김상도;김형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6호
    • /
    • pp.43-50
    • /
    • 2010
  • 에너지 위기로 인하여 석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저등급석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저등급석탄은 수분함량이 30~60%갱도로 수분함량이 높다. 이러한 저등급 석탄을 발전용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건조공정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저등급석탄의 건조 반응속도론을 도출하였다. 건조반응속도는 입자크기, 주입가스 온도, 가스 유속, L/D의 영향을 변수로 하여 도출하였다. Reynold's number는 가스 유속과 석탄업자의 크기, L/D는 반응기 직경과 대상탄의 충진양을 보정하기 위해 고려하였다. 석탄의 건조 특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한 저등급석탄의 건조에 있어서도 표면수분의 건조가 원활하며, 상 경계 반응이 적합한 메커니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찹쌀 품종별 강정 제조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ngjung Made of Different Varieties of Waxy Rice)

  • 김경미;이지현;김행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5-182
    • /
    • 2010
  • 강정 제조용 최적 찹쌀 품종을 선정을 위해서 찹쌀 10품종의 원료찹쌀과 최적조건 수침찹쌀의 이화학적 특성과 강정의 팽화율, 유지흡수율, 색도, 조직감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주성분분석하여 강정과 이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품종별 원료찹쌀의 수분함량은 10.8-12.7% 수준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백운찰벼가 9.2%로 가장 높았고 최고점도, breakdown, setback은 백진주벼와 백진주벼1호가 가장 높았다. 최적조건 수침찹쌀($31.5^{\circ}C$, 9일)의 수분함량은 한강찰벼가 가장 높았고 백운찰벼가 가장 낮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최고점도와 breakdown은 밀양225호가 가장 높았고 백진주벼가 가장 낮았으며 setback은 백진주벼1호가 가장 높았으며 동진 찰벼, 화선찰벼, 신선찰벼가 가장 낮았다. 원료찹쌀을 수침 시 수분은 증가하였고 단백질, 회분, 무기질은 대부분 감소하였으며 최고점도와 breakdown은 백진주벼와 백진주벼1호를 제외하고는 증가한 반면에 setback은 모든 품종이 감소하였다. 찹쌀 품종별 강정 제조 시 팽화율이 크고 부드럽고 아삭한 강정 제조가 가능한 최적 품종은 신선찰벼, 동진찰벼, 한강찰벼, 백운찰벼, 화선찰벼, 밀양210호, 밀양225호, 상남밭벼 순이었다. 반면 팽화가 잘 일어나지 않고 단단한 조직감을 지닌 백진주벼와 백진주벼1호는 강정 제조용으로 부적합한 품종이었다.

Whey protein isolate가 첨가된 저지방 버터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 Butter Sponge Cakes Prepared with Whey Protein Isolate)

  • 김찬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5-17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버터 스폰지 케이크 제조시 버터 대신 WPI를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제조한 후 반죽의 특징 및 제품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WPI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케이크 반죽의 비중은 일정하게 감소하였지만 점도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완성된 케이크의 굽기손실율은 감소하면서 비용적은 증가함을 보였다. 외형은 W-20과 W-40이 가장 바람직한 버터 스폰지 케이크의 형태를 가지는 동시에 질감도 control과 유사한 정도로 부드러웠다. WPI 80% 이상 대체의 경우 케이크의 부피는 커졌지만 WPI의 열에 의한 응고로 인해 부드럽다기보다는 오히려 무겁고 단단한 케이크가 되었다. WPI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케이크의 수분함량이 감소하면서 응집성, 탄성, 복원성이 감소된 반면 경도, 씹힘성, 점착성, 부착성, 부숴짐성은 증가함을 보였고 케이크 중 W-20은 control과 비교시 모든 값에서 유의적으로 유사함을 보였다. 케이크의 crust 색은 WPI가 많을수록 명도와 황색도가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고 crumb의 경우 명도 결과만 상반된 변화를 보였다. 관능 결과에서도 W-20이 control과 비교해 볼때 가장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WPI 대체 버터 스폰지 케이크의 최종 품질은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낸 W-20이 우수하였고 40% 이상 대체시에는 전체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버터 스폰지 케이크 내에서 버터 대체물로 이용하는 WPI의 가장 적절한 대체비율은 20%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케이크 이외에 유지를 사용하는 식품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WPI를 이용한 지방 대체 식품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숙성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as the Ripening Periods)

  • 이명희;김경탁;이경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9-486
    • /
    • 2012
  • 실험은 생강을 항온항습조에서 10, 20, 30일 숙성시키는 방법과 $95^{\circ}C$에서 3시간 증숙시킨 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숙성생강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생강의 외관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수분 감소로 부피가 크게 감소하였고 색이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조회분 함량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조지방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함량의 경우에는 숙성기간에 따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생강의 주요 유용성분인 6-gingerol은 열에 오랜시간 노출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6-shogaol은 10일 숙성생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숙성생강 중의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은 숙성기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필수아미노산(threon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leucine, tyrosine)이 생강 중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성 10일 생강의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 비율이 약 60:40으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지방산 함량은 숙성기간에 따른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효성분과 영양성분 면에서 판단하였을 때 증숙생강과 10일 숙성생강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국내산 황금콩, 약콩 및 흑태의 일반성분과 기능성 성분 분석 (Function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Hwanggumkong, Yakong and Huktae)

  • 김민정;김강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44-849
    • /
    • 2005
  • 국내산 대두 품종 황금콩, 약콩, 흑태에 대하여 일반 성분, 지방산조성, 아미노산. isoflavone, 대두올리고당. phytic acid 함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10.9-$12.5\%$, 조단백질 36.5-$41.1\%$, 조지방 15.8-$20.8\%$ 및 회분 5.4-$5.6\%$의 범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지방질의 지방산은 시료 콩 모두에서 linoleic acid이 가장 많았으며, ole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이들 세 지방산이 $80\%$이상을 차지하였다. 콩의 주요 아미노산인 Iysine 함량은 황금콩(56.5 mg/g protein)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 흑태가 55.2 mg/g protein였고, 약콩은 48.2 mg/g protein을 함유하였다. 콩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methionine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cysteine, histidine 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시료의 isoflavone 함량($\mu$g/g soybean)은, 약콩(2491.4), 황금콩(2176.8) 그리고 흑태(1893.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올리고당 함량은 12.2-$16.1\%$로 약콩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대두의 phytic acid 함량도 황금콩 $2.63\%$, 약콩 $2.12\%$, 흑태 $2.80\%$로 품종간에 큰 차이를 나태내지 않았다.

나리 생장, 자구 발달 및 화분과 종자발아에 미치는 방사선의 영향 (Effect of Irradiation on Growth, Bulblet Formation, and Germination of Pollen and Seed of Several Lily Cultivars)

  • 박인숙;서동희;황윤정;정재동;강시용;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6권3호
    • /
    • pp.211-217
    • /
    • 2008
  • 나리 돌연변이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구근, 종자, 화분의 방사선 감수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New Wave'외 6품종의 구근은 감마선에 매우 민감하였다. 무조사구는 개화하였으나 조사구에서는 생육이 크게 지연되었으며 화서는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New Wave'와 'Tiny Dino'는 125Gy 조사구에서 생존은 하였으나 생육은 저조하였다. 'New Wave'와 'Tiny Dino'를 제외한 다른 품종들은 잎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고사하였다. 품종별 인편의 수분함량은 72~78%이었다. 인편으로부터 자구 형성은 무조사구에서 100%, 조사된 구에서는 'Siberia' 50Gy 처리구에서만 8.5% 일어났다. 화분의 발아율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F_1$ 'Augusta' 종자는 선량이 높아질수록 생존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자구는 무조사구에서만 형성되었으며 $LD_{50}$는 100Gy 미만이었다. 방사선 조사된 기내 $F_1$ 'Augusta'의 자구는 배양방법에 관계없이 구고와 구폭이 선량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신초 형성은 무조사구에서 100% 되었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15~16%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