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sture ratio

검색결과 1,567건 처리시간 0.037초

아크릴계 보존처리제를 이용한 사암의 가압함침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f Sand Stone by Pressurized Impregnation with Acrylic Materials)

  • 김연철;김사덕;김형중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5-401
    • /
    • 2011
  • 석조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효과적인 처리 방법으로 제안되는 가압 함침 방법으로 methyl methacrylate (MMA), MMA-butyl acrylate (PMB73) 공조성물 및 MMA-vinyl trimethoxy silane (PMV5) 공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암 및 화강암에 함침 처리한 후 물리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화강암과 비교하여 사암의 경우 함침율이 3.2 - 3.7 wt%로 높은 값을 보였고 고압 반응기 내에 감압 공정 도입 시 32%의 함침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물리화학적 특성인 발수성, 휨강도, 충격특성 및 초음파 속도 등도 화강암보다 사암에 대해 아크릴계 가압함침 처리제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사암의 공극이 많아 단량체 함침율이 크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아크릴계 처리제별 사암에 대한 충격파괴 에너지는 PMMA의 경우 1.22 J, PMB73은 1.84 J, 그리고 PMV5의 경우 2.8 J을 나타내었다. 충격 특성에서 무기 특성을 개선한 PMV5가 최적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 아크릴계 처리제의 분자 구조보다는 처리제의 무기 친화 특성이 석재의 충격 특성에 더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습사료에 비타민 C와 E 첨가가 넙치 치어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Vitamin C and E to Moist Pellet Di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정관식;지승철;안창범;신태선;유진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0-106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pplementary effects of vitamin C and E to moist pell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ur groups of diet made : moist pellet (MP) diet group was used as the control group where the ratio of raw feed and commercial compound meal is 5:5 $(CP\;30\%,\;CL\;17\%),$ vitamin C added group (VC), vitamin I added group (VE) and vitamin C and I added group (VCE). The supplementary amount of vitamin C and E corresponded to 1000 mg/kg (dry wt.) and 220mg/kg (dry wt.), respectively. Vitamin C was destroyed $50\%$ and vitamin E was destroyed $20\%$ for manufacturing process. After 8 weeks feeding trial, weight gain was $121.9\%$ in MP group, while it ranged from 180.5 to $184.9\%$ in the VC, VE and VCE group. Feed efficiency was $71.\6%$ in MP group, whereas it ranged from 78.7 to $80.6\%$ in the VC, VE and VCE group,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fish fed vitamin supplemented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itamin added groups was observed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condition factor (CF), hepatosomatic index (HSI), and visceraweight index (VWI) of body composition. Hemoglobin (Hb) was $3.79\%$ in MP group, whereas $4.99\%$ in VC group, $4.55\%$ in VE group and $5.07\%$ in VCE group; Hb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itamin added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Vitamin C retention in liver was 18.1, 20.7, 46.6, 54.0 mg/kg in MP, VE, VC and VCE groups, respectively. Vitamin E retention in liver was 25.9, 53.8, 88.2, 124.5 mg/kg in MP, VC, VE and VCE group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and E to moist pellet diet significantly improved growth and feed efficiency of olive flounder, and the mixed addition of vitamin C (1,000 mg/kg dry wt.) and vitamin E (220 mg/kg dry wt.) did not lead to the synergy effect.

감귤 농축액 첨가가 고추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trus Concentra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 채인숙;김효선;고양숙;강민화;홍상필;신동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26-632
    • /
    • 2008
  • 전통 고추장의 기호성과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감귤 농축액을 3, 6, 9% 첨가한 전통 고추장을 만들고 숙성과정 중의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숙성과 더불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감귤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함량의 증가가 둔화되었다. pH는 숙성 10주까지는 감소하다 그 이후 약간 증가한 반면 적정산도는 10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감귤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숙성과 더불어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숙성 6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감귤 농축액 첨가 고추장에서가 더 많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고추장의 색은 감귤 농축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약간 밝아졌으나 숙성과 더불어 L, a, b 값은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총 균수는 숙성 12주 동안 큰 변화가 없이 $1.0{\times}10^7-6.8{\times}10^7CFU/g$정도를 유지하는 양상을 보였다. 효모는 숙성 6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약간의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감귤 농축액의 첨가로 고추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태 질소와 환원당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고추장의 색도 밝아져 고추장의 품질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6%의 감귤 농축액 첨가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를 첨가한 타락죽에 관한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akjuk (Milk Porridge) Prepared with Brown Rice)

  • 안종성;공석길;조성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08-51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types of functional brown rice milk porridge, which has been popular as a fast yet nutritional food, to promote rice consumption and to examine the best ratio and recipe. Each sample contained 10, 20, 30, and 40% brown rice compared to non-glutinous rice and sweet rice and were applied to mechanical and sensory tests. The moisture content of both non-glutinous rice and sweet rice porridges increased with increasing brown rice content. The viscosity of non-glutinous rice milk porridge decreased as with increasing brown rice content, whereas the viscosity of sweet rice milk porridge increased with increasing brown rice content. The pH was highest for BRT0 at 6.74 and lowest for BGT0, which is sweet rice porridge with brown rice, at 6.27. The sweetness decreased significantly for both sweet rice and non-glutinous rice porridges with the increase in brown rice content. The brightness of weet rice and non-glutinous rice porridges with brown rice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with the increase in brown rice content, while the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color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with increasing in brown rice cont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ference in the milk porridge containing brown rice, BRT30, which is non-glutinous rice milk porridge with brown rice, was most preferred at 5.8 in terms of color, while BRT30 was most preferred at 6.2 in terms of fragrance. All samples containing brown rice powder were highly preferred in terms of taste and the overall preference of sweet rice milk porridge was highest for BRT30 (5.8). The overall preference was highest for BGT30 at 6.1 and the preference was generally higher for the experiment groups prepared with sweet rice as opposed to those prepared with non-glutinous rice. Also, the scores for the sensory test were higher when brown rice was added.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milk porridge could quickly and easily be prepared with brown rice instead of non-glutinous rice or sweet rice.

수세 횟수가 계육 수리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hing Tim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Surimi)

  • 진상근;김일석;박기훈;하지희;강석모;김인진;최영준;김진수;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5-270
    • /
    • 2005
  • 본 연구는 수세 횟수가 계육 수리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닭 가슴살을 6배수의 증류수로 2(C), 4(T1) 및 6회(T2) 수세한 후 단백질을 회수하여 수리미를 준비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C보다 T1 및 T2가 높았다. 근원섬유 단백질과 수율은 C가 T1 및 T2보다 높았다(p<0.05). pH는 C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으며(p<0.05), 보수력은 처리구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전단력은 수세 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파괴 강도와 변형값은 T2가 낮았다. 명도($L^{\ast}$)는 C가, 황색도($b^{*}$)는 T1이 처리구 간에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경도와 검성은 T1이 T2에 비해 높았으며(p<0.05), 수세 횟수가 증가할수록 탄력성은 높은 경향이었다. 수세 횟수는 관능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이상에서 수세 횟수를 달리하여 제조한 수리미 간에 일반성분, 염용성 단백질, 수율,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감에서 차이를 보였고, 수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리미의 색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Illite의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과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Illite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Pigs)

  • 김희윤;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72
    • /
    • 2007
  • 본 시험은 illite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illite를(0, 0.5, 1.0 및 2.0%) 삼원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평균체중 $68.3{\pm}1.6 kg$) 비육돈 48두를 공시한 후 50일간 급여하여 증체량, 사료섭취량, 육등급과 도체율, 육의 pH, 육색, 지방색 및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illite를 첨가함으로서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도체중량과 도체율 및 등지방두께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A등급 출현율은 illite를 1.0% 첨가함으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육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는 없었으나 조지방 함량은 illite를 1.0% 첨가할 경우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았다. 육의 pH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5.55-5.68로 차이는 없었고 lllite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육색의 명도($L^*$) 값은 낮았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 값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불포화지방산인 palmit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illite 1.0%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illite를 0.5-1.0% 급여함으로서 포화지방산 함량은 낮았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p<0.05).

벌꿀의 밀원별(蜜源別) 품질관련성분(品質關聯成分)의 비교연구(比較硏究) -불포화(不飽和) 고급지방산(高級脂肪酸)의 함량(含量)에 대하여- (Comparative study on some quality-related components of different floral honeys -esp. on the contents of unsaturated higher fatty acids-)

  • 이영근;민병욱;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02-109
    • /
    • 1991
  • 아카시아꿀, 잡화꿀, 밤꿀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및 유리당을 정량분석하고 지방산을 GC-MS로써 분석한 결과 아카시아꿀, 잡화꿀, 밤꿀의 평균 수분 함량은 각각 19.7, 19.1, 18.9%이었으며 회분은 각각의 평균이 0.028, 0.050, 0.050%로서 아카시아꿀에서 비교적 낮았다. 벌꿀의 HMF (hydroxy methyl furfural)는 아카시아꿀과 잡화꿀의 평균함량이 18mg/kg정도이나 밤꿀은 다소 높은 20.21mg/kg 이었으며 유리산도는 밤꿀이 평균 2.28 meq/kg으로서 가장 높으며 아카시아꿀에서는 8.85 meq/kg으로서 가장 낮았다. 유리당의 함량은 밀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3종 모두 포도당 $31.0{\sim}32.0%$, 과당 $35.0{\sim}36.0%$이었고 과당/포도당의 비율도 3종 모두 거의 동일한 1.14 정도이었다. GC-MS에 의한 자방산의 분석에서는 dodecanoic acid, 10-hydroxydecenoic acid, 6,9-undecadienoic acid, tetradecanoic acid, 12-(acetyl oxy)-9-octadecenoic acid 및 14-octadeceno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벌꿀의 품질판정에 이용되고 있는 10-hydroxydecenoic acid의 함량은 3증 모두10mg% 내외이며 $20{\sim}30mg%$에 달하는 시료도 있는 반면 검출되지 않은 시료도 있었다.

  • PDF

절화장미 토양재배시 미량 및 다량 원소의 양분 흡수량 (The Amount of Macro and Micro Elements Absorbed During Soil Cultivation of Cut-flower Roses (Rosa hybrida L.))

  • 이인복;임재현;최용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58-364
    • /
    • 2001
  • 절화장미 시비량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Gandgara, Nobless, Centina 품종을 각각 토양에 정식하고, 3요소의 표준시비량을 시용한 다음 10 kPa 수준에서 관수점을 제어하면서 연간 다량원소 및 미량원소의 흡수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형품종인 Grandgara와 Nobless의 생장량은 두 품종간 매우 유사하였으나, 소형품종인 Centina의 생장량은 대형품종의 63% 수준이었다. 계절별 장미 부위별 양분 흡수농도는 동계에서 높았고, 절화생산량이 증가하였던 봄철과 고온의 하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부위별 양분 흡수량은 Centina에서는 줄기<꽃<엽 순으로 증가한 반면, Grandgara와 Nobless에서는 꽃<줄기<엽 순으로 증가하였다. 원소별 흡수량은 모든 품종에서 질소와 칼리의 흡수가 높았으며, 인산의 흡수량은 마그네슘 수준으로서 그 요구도가 현저하게 낮았다. Nobless와 Centina의 질소/칼리 흡수량 비율은 각각 1.13과 1.28로서 칼리의 요구도가 높았으나 Grandgara는 1.68로서 다른 두 품종과 비교하여 칼리의 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질소, 인산, 칼리의 양분 이용율은 질소의 경우 39~64% 범위, 인산의 경우는 5~9% 범위, 칼리의 경우는 37~67% 범위로서 품종간 현저하게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며, 3요소중 인산의 이용율은 극히 낮았다.

  • PDF

패각, 석탄회 및 석고 시용이 벼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yster Shell, Fly Ash and Gypsum Application on Rice Yield and Quality)

  • 이영한;김종균;이한생;조주식;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2-247
    • /
    • 1997
  • 패각, 석탄회, 석고인 패각, 석탄회 및 석고를 산성 토양 개량제로서 논토양에 시용한 결과 벼 수량은 패각 처리구가 6,787 kg/ha로 무처리구에 비해 11% 증수되었고, 석탄회 처리구 6,696, 석탄회+석고 6,422 kg/ha로 각각 9.5% 증수되었다. 패각과 석탄회 처리구의 pH는 5.9~6.0으로 산성토양 개량효과가 있었으며, 석고 처리구는 토양 염류농도 상승을 유발하여 농업용으로 논토양에 시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수분율은 패각+석탄회+석고, 석탄회+석고 처리구에서 각각 55.9. 55.3%로 무처리구에 비해 8.2, 7.6% 증가하였다. 표토와 심토의 Fe, Zn, 수용성 Al 함량은 무처리구가 패각, 석탄회, 석고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표토와 심토의 수용성 B 함량은 석탄회 처리구에서 높았고, 수용성 As 함량은 석탄회+석고, 패각+석탄회+석고 처리구에서 높았다. 논토양에서 산성토양 개량제로 패각, 석탄회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토양중 Fe, Zn, Mn, 수용성 Al 함량이 낮아 80 ton/ha 이하로 사용할 경우 문제가 없을 것이며, 석고를 24 ton/ha 이상 시용할 경우 수용성 As가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질은 석탄회 처리구가 T-N 함량이 낮고, Mg, Mg/K 비율이 높아 밥맛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각, 석탄회, 패각+석탄회+석고 처리에 의한 산성 토양 개량효과로 무처리에 비해 백미중 As, Al 함량이 낮아 미질의 안전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의 초장은 석탄회 처리구가 112.2cm로 무처리구에 비해 7.9cm 길었으며, 수당 립수는 석탄회 처리구가 135.9개로 무처리에 비해 58.8개 많았다. 임실율은 패각-석탄회+석고 처리구가 93.5%로 높게 나타났고, 천립중은 패각 처리구가 23.9g으로 무처리에 비해 2.5g 많았다.

  • PDF

육상 및 항만지역상의 압밀특성치의 상관성 (Correlation of the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Inland and Harbour District Soil)

  • 도덕현;이성태;강우묵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0-60
    • /
    • 1983
  • 305 samples of alluvial deposit in inland and harbour districts were selected and consolidation charateristics of the alluvium were put in order statiscall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were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s between LL(liguid limit) and Cc (compression index) were explained as Cc=0. 03(LL-21. 7) in case of inland district soil and as Cc=0. 019(LL-19) in case of harbour district soil. As compared with formular proposed by Skernpton, the gradient of this linear line was slight steep. 2. The relationships between PI(plastic index) and Cc were explained as Cc=0. 063 PI-0. 52 in case of inland district soil and Cc=0. 043 PI-0. 31 in case of harbour district soil. 3. As void ratio and natural moisture content were increased, Cc was increased, and as wet density was increased, Cc was decreased with a gentle curve. 4. As LL and P1 increased, mv(coefficient of volume compressibility) was increased but if LL and P1 was increased beyond a certain extend, mv has a tendency of constant value, that is, mv show a tendency to take constant value in the very soft clay. and mv in P=2. 5kg/cm$^2$ was about l${\times}$ l0-$^1$cm$^2$/kg in case of land district soil and 6x 10-$^1$crn$^2$/kg in case of harbour district soil lower than that in P=0. 25kg/crn2. 5. Cv(coefficient of consolidation) was a tendency to decrease with a gentle curve as LL was increased, and Cv in P=0. 25kg/crn2 was about 3x l0-$^1$crn$^2$/min larger than that in P=2. 5kg/crn$^2$. 6. Relationships between Py(pre-consolidation pressure) which is included over consolidation soil and ∑r1h(effective over-burden pressure) were explained as Py=l. 12 ∑r'h in case of land district soil and as Py=l. l5∑r'h in case of harbour district soil. 7. Some of the properties show good correlations between them, practical and effective applications of these correlations are expected in the planning and excution of soil investigation and also in the evaluation of the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