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sture Content (MC)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6초

저장중 황색종 잎담배의 수분 함량이 곰팡이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isture content on mold development in flue-cured tobacco during storage)

  • 조대휘;안동명;민영근;이완남;이경구;이상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1-246
    • /
    • 1989
  • Mold development on leaf tobacco(Flue-cured, var. NC 82) during the storage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initial moisture content(MC) of the tobacco.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the leaf tobacco was controlled as 12,14,16% after redrying. Those were packed in cardboard boxes and stored in a warehouse. Samples were taken monthly from June of 1988 through August of 1989 and were evaluated for mold development (colony count) and MC. The moisture content change in the leaf tobacco of 12, 14 and 16% initial MC was in the range of 11.1-13.3, 12.8-15.3 and 14.9-16.7% and the mean number of colonies from them were 1.4$\times$102, 1.0$\times$102, and 4.0$\times$102 colonies per gram of tobacco, respectively, however mold-damaged leaf tobacco other than the treatments was occasionally observed to have the colony number as high as 2.3$\times$105 colonies per gram of tobacco. In the meantime, the leaf tobacco was stored at 6 relative humidity levels at $25^{\circ}C$ in laboratory test. Leaf tobacco of 15.0-16.4% MC was maintained without the mold-damage after 80 days of storage whereas those of 19.9, 21.3, 25.5 and 27.1% MC became moldy after 50, 15, 11 and 6 days of storage, respectively.

  • PDF

Monitoring moisture content of timber structures using PZT-enabled sensing and machine learning

  • Chen, Lin;Xiong, Haibei;He, Yufeng;Li, Xiuquan;Kong, Qingzhao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9권4호
    • /
    • pp.589-598
    • /
    • 2022
  • Timber structures are susceptible to structural damages caused by variations in moisture content (MC), inducing severe durability deterioration and safety issues. Theref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detect MC levels in timber structures. Compared to current methods for timber MC detection, which are time-consuming and require bulky equipment deployment, Lead Zirconate Titanate (PZT)-enabled stress wave sensing combined with statistic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proposed in this paper show the advantage of the portable device and ease of operation. First, stress wave signals from different MC cases are excited and received by PZT sensors through active sensing. Subsequently, two non-baseline features are extracted from these stress wave signals. Finally, these features are fed to a statistic machine learning classifier (i.e., naïve Bayesian classification) to achieve MC detection of timber structures. Numerical simulations validate the feasibility of PZT-enabled sensing to perceive MC variations. Tests referring to five MC cases a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Results present high accuracy for timber MC detection, showing a great potential to conduct rapid and long-term monitoring of the MC level of timber structures in future field applications.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II.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예측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During Air Drying: II. Prediction of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under Different Air Drying Conditions)

  • HAN, Yeonjung;CHANG, Yoon-Seong;EOM, Chang-Deuk;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732-750
    • /
    • 2019
  • 천연건조 중 목재의 함수율 변화 예측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15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를 수행하였다. 초기함수율이 68.7%인 6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여름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88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7.4%이었다. 초기함수율이 35.8%인 9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겨울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76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6.0%이었다. 소나무 원목의 말구지름, 온도, 상대습도, 풍속을 독립변수로 결정하고, 천연건조 중 감소한 함수율을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결정계수 0.925의 회귀모형을 얻을 수 있었다. 소나무 원목의 특성인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이 기상조건인 온도, 상대습도, 풍속에 비하여 천연건조 중 함수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의 분포 및 함수율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원 물질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건조일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고, 수분확산계수 및 표면방사계수를 결정하는 기상조건을 다르게 적용한 2가지의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2가지 적용 방법의 오차는 0.1 - 0.8%의 범위였으며, 측정값과의 차이는 2.2 - 3.6%의 범위였다. 다양한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을 측정하고, 각각의 기상조건에 대한 목재 내 수분이동계수를 산출하면 예측모형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산(産) 참나무과(科) 4수종(樹種)의 Collapse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llapse of four domestic Fagaceae Species)

  • 박종수;김수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37-44
    • /
    • 1993
  • The collapse of four domestic Fagaceae species was observed in relation with their moisture content(MC), basic density, P (Percent of moisture content saturation of the wood) and Q (Percent of cell cavity volume containing water) and the variation of collapse phenomenon in the cross section of stem was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values of collapse in each species were great in order of Quercus dentata, Quercus variabilis, Quercus aliena and Quercus mongolica and the values were higher in heartwood than in sapwood in all of specimen. MC, basic density, P and Q were important factors which affected on the occurance of collapse and the collapse phenomenon was decreased from pith to bark.

  • PDF

소나무 수심 정각재의 건조 중 3차원 함수율 분포와 변이 (Three-dimensional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Moisture Content of Boxed-heart Square Timber of Pinus densiflora During Drying)

  • 강욱;이형우;정우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7-14
    • /
    • 2006
  • 국산 소나무 간벌재를 이용한 수심 정각새(단면치수 $150{\times}150mm$)의 안전하고 신속한 건조를 위하여 열풍건조와 마이크로파건조중 수심 정각새의 함수율 분포와 그 변이를 3차원적으로 탐색하였다. 실험결과 마이크로파건조를 통하여 72시간 이내에 함수율 10% 미만까지 건조가 가능하였고 표면할열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었다. 건조 중 함수율 분포는 마이크로파건조의 경우 초기함수율 분포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러나 열기건조의 경우 초기함수율 분포가 건조초기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의 밀도에 의한 함수율 추정 - 연륜폭에 따른 변이 - (Estimation of the Moisture Content of Wood by Density - Moisture Variation with Annual Ring Width -)

  • 황권환;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58-65
    • /
    • 1995
  • The possibilities of the estimation of the moisture content(MC) for sitka-spruce (Picea sitchensis Carr.) by measuring density have been investigated. The method is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ood density and moisture content of wood expressed by Equations (8)~(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the estimation of the moisture content of wood by density and the variation of moisture content with annual ring width of woo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is method is very convenience because of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of wood can be obtained by a simple estimation. This estimation can be made from the easy measurement of the weight and volume of wood. 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MCs and theoretical MCs which is calculated by the oven-dry densities of each specimens and Equations (8), (9) is 0.98. This Correlation is very remarkable. Therefore the model Equations on the estimation of moisture content by wood density was available. 3. Relationship between experimental MCs and theoretical MCs which is estimated by average oven-dry density of total specimens showed positive correlation(Fig.2). But from the Fig.4. we can concluded that the number of specimens is two groups.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that the variation of MC by the annual ring width from the specimens' observations. Consequently, the MCs of wood by density, is likely to be successful method. can be estimate using by the average oven-dry densities divided with the annual ring widths of wood.

  • PDF

국산 소경재의 휨 성질을 이용한 충격에너지와 최대하중까지 일-에너지 예측연구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Work-Energy to the Maximum Load and Impact Bending Energy from the Bending Properties)

  • 차재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50-357
    • /
    • 2008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bending properties to predict the work-energy to maximum load and impact bending energy from static bending and impact bending test.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lumber made of thinning crop-trees. Matched specimens were used for MC 12% and green moisture specimens to measure the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the absorbed energy from static and impact bending tests. The bending properties such as MOE, MOR, etc. is a good predictor to investigate the work-energy and work-energy per unit volume from static bending and impact bending test. The impact bending energy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However, the work to maximum load from static bending test is increasing with increasing the MC only for higher density species.

  • PDF

퇴비화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에 있어서 적정 수분함량과 C/N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Moisture Content and C/N ratio of Sewage Sludge Treatment Using Composting)

  • 손현석;양원호;정문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4-56
    • /
    • 1997
  • When sewage sludge is treated by cornposting, higher moisture content and lower C/N ratio on sewage sludge is problems. This paper project to alesolve two problems. The almost trends in run 3 of MC 70% are similar to these in run 1 and 4 of MC 65%. A retention time of the highest temperature (>50$\circ$C) and increase rate of temperature in run 3 are an affinity to these in run 4. Particularly, decrease rate of temperature in run 3 is slower than others and this data shows the more activity of thermal microbial in run 3 than that in others. C/N ratio trends in run 3 shows slow reaction in initial stage but, after 9 days, is similar to that in run 1 and 4. Carbon trends in each run are a similarity to C/N ratio trends. Temperature, MC, carbon and C/N ratio trends in run 5, whose C/N ratio is 15, show less microbial activity than that in run 6, whose C/N ratio is 20. But temperature increase of the beginning stage and pH of the final stage in run 5 are greater than that in run 6. Final MC and carbon content in run 5 and 6 have a similar values. That is, final MC in run 5 and 6 is 49.39% and 48.97% and final carbon content in each run is 25.15% and 22.20%. Expecially, a temperature increase and C/N ratio decrease rate of the beginning stage in run 5 are greater than these in run 6. This shows the shorter lag time in run 5 than lag time in run 6.

  • PDF

소형 목재인공건조실에 있어서 공기순환속도가 목재건조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 Circulation Velocity on the Rate of Lumber Drying in a Small Compartment Wood Drying Kiln)

  • 정병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5-7
    • /
    • 1974
  • 본 논문은 필자가 미국 미쉬간대학에 유학중 실시된 연구로서 동대학 목재가공학과에 설치된 소형 목재인공건조장치를 사용하여 일정한 건조조건(건구 온도 $150^{\circ}F{\risingdotseq}65.5^{\circ}C$, 습구온도 $1250^{\circ}F{\risingdotseq}51.7^{\circ}C$, 관계습도 48%, 평형함수율 6.9%)하에 공기 순환속도를 매분당 250ft., 400ft, 및 650ft.로 변경할 때 얻어지는 건조속도를 측정하고, 시간당 건조율을 산출하여 비교 검토한 것이다. 본 실험에 사용한 수종은 북미산소나무 Northern white pine (Pinus strobus L.)로서 시편의 크기는 길이 60cm, 넓이 12.5mm(5in.), 두께 18.7mm(3/4in.)이며 공시목의 표면은 증발조건을 균일히 하기 위하여 포삭하였으며, 마구리(end grain)에는 end coating 하였다. 또한 공기순환속도 측정은 상기대학에 비치된 velometer를 사용하였다. 1. 목재의 섬유포화점(함수율 30%) 이상에 있어서 공시목의 건조율은 건조실내 공기순환속도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된다. 즉 공시목의 건조율 증감은 공기 순환속도에 대략 비례한다. 그러나 섬유포화점 이하에 있어서는 공기순환속도의 증강은 건조율 증감에 거의 영향을 이치지 아니한다(그림 1, 2 참조). 2. 실험한 건조조건하에 있어서는 공시목의 초기 함수율이 높을수록 높은 건조율을 얻을 수 있다. 즉 공시목의 초기 함수율(MC30% 이상)이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공기순환속도를 증가하면 건조 최종기에 있어서 비교적 빨리 대체로 같은 함수율의 공시목을 얻을 수 있다(실험한 초기 함수율, 건조조건 및 공기순환 속도등은 심한 건조 결함을 유발하지 아니하였음). 3. 본연구 결과에 의하면 공시목의 건조율은 섬유포화점(대략 MC30%)에 있어서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즉 공시목의 함수율에 대한 건조율 곡선은 그림 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섬유포화점 이상에 있어서는 건조율 곡선은 X축(MC)에 대하여 요(凹)형(concave)을 나타냈는데, 섬유포화점 이하의 함수율 범위 30%에서 20%에 있어서는 건조율 곡선은 X축에 대하여 철(凸)형(convex)을 나타냈으며 함수율 20% 이하에 있어서는 재차 심한 요(凹)형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감은 결과를 요약표시한 원문 그림4에 있어서, 건조율 곡선의 반곡점은 대략 섬유포화점인 MC 30%와 MC 20%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섬유 포화점으로 알려져 있는 MC 30%와 20%에 있어서 건조율이 급변하는 반곡점 즉 한계점을 표시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야유에 의한 것으로 고려된다. 즉 세포막에 흡수된 결합수의 증발은 세포강, 세포간격 및 기타의 미세한 공간에 존재하는 자유수의 증발보다 훨씬 곤란하므로, 함수율 30%에서 20%의 범위에 있어서는 철(凸)형을 나타낸다. 즉 함수율 30%에서 20% 의 범위에 있에서 세포막의 모세관 응축수(capillary-condensed water)의 증발은 대략 동일한 감소율을 나타내나, 공시목의 함수율이 20%에 접근됨에 따라서 한층 강한 결합상태하에 있는 수분(표면 결합수 및 그 부근에 있는 수분)이 증발하게 되나, 그와 같은 수분의 증발은 한층 곤란하므로 함수율 20% 이하에 있어서 건조율곡선은 재차 요(凹)형을 표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관계를 요약 표시한 원문 그림 4에 있어서, 반곡점을 가지지 아니한 점선 곡선 AC 와 2개의 반곡점을 가지는 실선곡선 BD를 비교하면, BD곡선은 AC곡선보다 함수율범위 30%에서 20%에 있어서 그 건조율은 현저히 감소되고 또한 D점을 반곡점으로 해서 그 건조율은 가일층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요약하면 생재에서 함수율 30%(섬유포화점)까지는 큰 건조율을 표시하니 함수율 범위 30%에서 20%에 있어서는 그 건조율은 점감되고 함수율 20% 이하에 있어서는 그 건조율은 현저히 감소됨을 표시한다.

  • PDF

퇴비화 첨가재인 톱밥의 공기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및 기여도 평가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n Affecting Factors and Contribution Rate for Air Permeability of Sawdust as Bulking Agent on Composting)

  • 김병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23권4호
    • /
    • pp.52-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퇴비화공정에서 첨가재로 주로 사용되는 톱밥을 대상으로 톱밥 내 공기투과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별 특성과 총차감압력에 미치는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공기투과성 변화에의 영향요소로서 층류속도(v), 난류속도($v^2$), 수분함량(MC*v), 공기공극률(AFP*v), 입자크기(SIZE*v)를 선정하여 차감압력 산정을 위한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차감압력에의 증가요인은 층류속도(v)와 입자크기(SIZE*v)이며, 감소요인은 난류속도($v^2$), 수분함량(MC*v), 공기공극률(AFP*v)이다. 공기유입속도를 높이면 총차감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총차감압력 변화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증가요인은 입자크기(SIZE*v)이며, 감소요인은 공기공극률(AFP*v)이다. 또한 총차감압력에의 증가기여도는 낮은 유속에서는 층류속도(v)가 높은 유속에서는 입자크기(SIZE*v)의 기여도가 높았으며, 감소기여도는 공기공극률(AFP*v)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수분함량 변화에 따른 총차감압력 변화는 그리 크지 않았다. 따라서 총차감압력은 증가요인보다는 감소요인인 공기공극률(AFP*v)과 수분함량(MC*v)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로서, 효율적 퇴비화공정을 위하여는 적정 수분함량 유지와 함께 공기공극률이 높은 첨가재를 선정하여 공기투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적절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