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ization of tradi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3초

The Modern Cities of East Asia Arnold J. Toynbee Had Seen in 1929

  • Lee, Young-Suk
    •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 /
    • 제1권
    • /
    • pp.7-24
    • /
    • 2019
  • A. J. Toynbee published a book called Travel to China(1931) after traveling around the Asian continent in 1929. The book mostly focuses on Japan, Chin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oynbee visited major cities in Japan and China by train. Most of the Japanese cities he saw were turning into modern cities in the process of spontaneous modernization mixed with its tradition. On the other hand, Chinese cities that he visited showed him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traditional, colonial, or semi-colonial cities. The modern cities of Japan and China in the late 1920s were transformed into various aspects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 spontaneous modernization, colonial or anti-colonial modernization. How did Toynbee look at cities in East Asia? How did he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modernization and colonization while visiting this area? Toynbee emphasizes the weight and influence of tradition especially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in Japan and China. So, are modern European cities born out of their own traditions? Modern cities everywhere in the East and West were newly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 Toynbee's attitude, which emphasizes especially its tradition in the modern cities of East Asia, seems to reflect his Orientalistic view.

전통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한국 전통건축의 이론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orization of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 이상헌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6호
    • /
    • pp.35-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scholars and architects in Korea have theorised the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sent. After opening the door to foreign powers, the most important issue to be resolved in Korea architecture has been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successful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depends on successful theorization of the tradition. However, many attempts to theorise the uniqueness of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had not been instrumental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reason why they were not successful lies in the lack of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 upon how to approach the tradition. They were either trapped in ambiguous essentialism without systematic methods and theories, or simply inventing the tradition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present.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theorise the tradition, one need to translate the tradition into contemporary architectural vocabularies. What is important in translating the tradition is not to directly apply contemporary concepts and perceptual frame of architecture to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to find the gap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s will open hermeneutic spaces to translate the tradition into useful principles and vocabularies of comtemporary architecture.

1960~80년대 산업화에 따른 주거공간 내 제품의 의미변화와 그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nings and the role of Product in Korean Housing Space after industrialization of the 1960~80)

  • 임찬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2호
    • /
    • pp.3-12
    • /
    • 2002
  • To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descriptive explanation of why, when and how modernization in Korea came out. Modernization in Korea has been constituted from a completely different context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world countries because of a sudden industrialization and external changing process of product was done under the structural influence of western modernization.. Therefore, by exa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consuming style of the modern society, we can know about the formation of the ‘modern’ toward product and lifestyle. And in processing of mix with modern and tradition, we can understand that Korean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 becomes objectified, estranged and distorted to form the Korean style in Korea. A culture is changing in developing due to external influence ceaselessly, so it is significant that we will make ours in processing to our own receptive capacity.

파리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Showing at Paris Collection)

  • 김인경
    • 복식
    • /
    • 제38권
    • /
    • pp.233-244
    • /
    • 1998
  • This research wants to find the possibility for new paradigm of modern Korean dress by accepting and harmonizing the tradition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esign when Korean designers enter into Paris collection and express identity of Korean fashion,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with concentrating on the works of Young-hee Lee, Shin-woo Lee, Tae-ok Jin who have exhibited their works at Paris Collection. For one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Young-hee Lee, a designer of Korean clothes, emphasized to build up image of Korean fashion as a form of Korea without any modification, and expressed universal western-style silhouette as Korean image by using traditional technique including dyeing and silk made by herself, quil-t and decorative saddle stitching. In the as-pect that a chain of work has made not by westernization of Korean clothes but by re-creation of Korean clothes, it suggested a new way of modern Korean fashion with harmonizing tradition with modernizations as of present based on our own dress tradition and have got good reputation from the press and the field in Paris as well. Therefore the tradition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esign is not confronted or compromised in form, color, material, motif and decoration but has to be harmonized and reconciled independently in order that visual characteristics of dress can be made as one of Korean image.

  • PDF

1970년대 전통 이념과 극단 민예극장의 '전통' (A Study on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Tradition' of the Theatre company Minye in 1970s)

  • 김기란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3호
    • /
    • pp.45-86
    • /
    • 2020
  • 이 글의 목적은 70년대 국가권력에 의해 소환되었던 전통 이념이 '전통의 현대화'라는 명목 아래 당대 한국연극 현장에 수용되었던 양상과 그 함의를 밝히려는데 있다. 이는 다른 한편 70년대 전통 논의를 둘러싼 한국연극계의 자기검열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민족극을 창안하는 방식으로 70년대 한국연극계의 전통 논의를 선점했던 극단 민예극장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제까지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에 대한 평가는 전통의 계승과 변용을 내세운 허규의 연출 작업을 바탕으로 공연예술적 성취 여부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70년대 국가가 주도한 문화정치의 장(場)에서 구성된 전통 이념과 그것이 작동된 양상은 예술적 성취라는 측면에서만 평가할 수 없다. 무릇 전통을 전유하려 한 주체의 선택적 기준에 따라 전통 이념은 선별되고, 선별된 전통 이념의 선택 과정에서 특정 대상들이 배제, 폐기, 재선별, 재해석, 재인식된다. 70년대 비문화로 호명되었던 서구적인 것이나 퇴폐불온한 것과의 차이 속에서, 전통이 전유되었던 70년대의 상황도 이로부터 멀리 있지 않다. 국가가 주도한 70년대의 전통 논의는 전통의 특정 이념을 안정된 가치로 합법화했는데, 그것을 작동시킨 한 방식은 국가의 문예지원이었다.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은 당시 연극 위기론의 구체적 대안으로 선택되었던 전통의 현대화를 바탕으로 민족극을 지향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전통연희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는바, 특히 극단 민예 극장의 대표 연출가 허규에게 전통은 거부할 수 없는 안정적 가치였고 그것의 계승과 변용은 의심할 바 없는 소명으로 내면화되었다. 그 결과 허규가 연출한 극단 민예극장의 공연은 일정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전통연희의 관습들로 채워진 숙련된 장인술로 귀착되었다. 70년대의 전통 이념은 80년대 들어 새로운 전유의 양상으로 전개된다. 1986년 극단 민예극장의 핵심 단원이었던 손진책, 김성녀, 윤문식 등은 민예극장을 탈퇴하여 극단 미추를 만든다. 극단 미추는 연출가 손진책을 중심으로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마당놀이를 선보이며 전통의 대중화를 끌어냈다. 전통연희에 내재된 민중의 저항정신을 전통적 가치로 전유했던 대학가의 마당극처럼, 손진책의 마당놀이는 풍자와 해학을 통해 위압적인 국가권력을 비판하고 조롱함으로써 대중적 인기를 끌었다. 70년대 전통 논의의 자장 안에서, 민중의 저항정신을 전통적 가치로 전유하며 자생한 마당극이나 전통의 대중화를 성취한 극단 미추의 마당 놀이는 예술적 성취로써만 평가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통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측면에서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이 성취한 것 역시 70년대 전통이 소환되었던 맥락을 제외하고 독립적으로 평가될 수 없다. 70년대 국가 주도의 전통 논의에 대응한 한국연극 평단의 시각이 예술성을 바탕으로 한 공연예술의 질적 성취에만 집중된 대목이 아쉬운 것은 그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런 맥락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의 활동을 중심으로 당대 한국연극계의 전통 논의와 그 실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의 활동이 한 계기로 작용했을 대중적 마당놀이나 민중저항의 마당극은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이 전통을 전유하는 방식, 곧 전통의 계승과 현대적 변용과의 '차이' 속에 정립되었다. 계기는 되었으나 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지속적으로 생산해내지 못한 점, 이것이 극단 민예극장의 '전통'이 70년대 한국연극사에서 차지하는 의미이자 한계이다.

A Study on the Features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the Chinese Costume

  • Kim, Eun-Jung;Kang, Soon-Ch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09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costumes through historical event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 modernization process.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costumes appears to have begun with the Opium Wars, and the Nanjing Treaty(1842), the Beijing Treaty(1860) and the official residence of western people in Chinese territory. Afterwards, in order to initiate change, the Chinese people themselves implemented the Westernization movement(1861-94), placing an emphasis on the westernization of external elements such as technology and form, but aspects such as costume, deeply saturated in their traditions, do not appear to have changed significantly. Despite self-empowering movements such as these, as western forces diffused deeper into the Chinese mainland, neo-intellectuals formed the axis of a revolutionary movement. A major example can be found in the Xinhai Revolution(1911) revolution, which forbade the binding of feet and shaving of frontal hair and partially implemented western formal dress. Through these factors,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Chinese costume demonstrates characteristics of an adherence to traditional dress and partial acceptance of western attire. Through this, we may understand the modern costumes of China, which adhered more to tradition than Japan, which pursued western costumes actively within a similar period, and Korea, which rushed modernization due to Japanese authority.

"旧邦新命" : 儒教传统与现代中国的新探索 ("An Old Country with New Missions" : A New Exploration on the Combination of Confucian Tradition and Modern China)

  • 소영명;왕지화
    • 철학연구
    • /
    • 제148권
    • /
    • pp.29-47
    • /
    • 2018
  • 20세기부터 학계에서는 유교전통과 현대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탐구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논의는 서양을 본보기로 삼았다. 더구나 그때의 중국은 현대화의 길을 밟지 못하였다. 이로 인하여 이와 관련한 연구들은 문제의식이 떨어졌으며 여전히 전근대의 측면에 머물고 있었다. 따라서 중국의 현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이 주제를 다시 논의하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닐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이와 관련한 연구의 새로운 탐색은 현재 중국이 당면하고 있는 곤경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그 곤경에 대해 말하자면, 시장경제에서 이익을 중시하는 행위로 인해, 따뜻한 인정이 담겨있는 농업사회의 풍속이 파괴되었으며 사람들 간의 사이가 냉담해졌다. 그 결과, 윤리질서가 파괴되었고 도덕은 생활에서 퇴장하였으며, 정신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은 소홀해졌다. 그리고 집단 국가 지역 등 족군(族群) 사이에 균형을 잃은 근린궁핍의 국면이 형성되었다. 공자 이래의 유교전통은 예악교화를 통하여 풍속을 순박하게 하였다.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유교 전통은 인륜질서도 정돈함으로써 족군 내부 구성원들 간에 감정의 소통이 이루어지게 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 수양을 강화시켜 자아의 정신을 일정한 경지로 승화시켰으며, 예악을 적극 활용하여 일종의 문명 형태로 만듦으로써 천하의 평화와 안녕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유교전통에서의 3가지 측면은 현재 중국이 당면하고 있는 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참고할 만한 것이 된다.

생활한복 모형개발 연구(I) (Development of Practical Korean Costume Model(I))

  • 채금석
    • 복식
    • /
    • 제46권
    • /
    • pp.109-13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et basic data for R&D to activate and popularize the Practical Korean Costum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theoretical study with literature and practical study with development of model based on the result of questionnaire. 1. In theoretical study the concept of 'Korean-image' of modern costume as well as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s been suggested and 'traditional beauty of costume' which can be evaluated generally was considered. 2. In practical stud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howed the objective numerical value of the element of Korean design which is firmly recognized by korean people. With the results the methods of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design have been suggested in the harmony of 'traditional' and 'modern' through the modernization in terms of form composition fabric color. It is expected that development direction of Practical Korean Costume which can be settled in everyday life with more independent cultural identity should be suggested. Additionally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ful for merchandise planning of costume industry.

  • PDF

일본 농촌주택의 현대화에 의한 평면변화에 관한 연구 - 일본(日本) 기옥현 궁대정(宮代町)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 Change in Japan Rural House by the Modernization - Focused on the Miyashiro in Saitama pref., Japan -)

  • 김강섭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8
    • /
    • 2006
  • A house is basic unit of human being living space and it reflects an occupation, family relation, a life style and sense of value of resident. To analyze of modernization process the rural house in Japan diversely and systemat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ing floor plan in house through field studies and residential interviewing about the rural house of Miyashiro, Saitama pref. in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raditional TANOJI type changed into NAKAROUKA and TSUZUKIMA type on modernizing process. Second, Toma is an important space of farmhouse. It is succeeded with the element, which is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remnant of traditional element from modern rural house. Third, the cause of changing floor plan is a narrow and small space by growth of children. That is the most factor of changing house deterioration of equipments and necessity of children's space.

  • PDF

전통의 현대화 원칙 및 전략 수립을 위한 전통 재조명 (Review of Traditional Concepts for Modernization of Tradition and Strategy of Modernization)

  • 한성구;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53호
    • /
    • pp.131-163
    • /
    • 2017
  • 우리는 근대의 본질과 수용의 타당성에 대해 성찰하기 전에 이미 일본이라는 타자에 의해 이식된 근대 속에 던져졌으며, 이로 인해 근대에 대한 가치 판단은 유보되거나 정서상 회피, 또는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구한말 전통 문화와 사상의 무기력함으로 인해 야기된 망국의 상황도 사람들이 근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근대란 연속되는 역사 시간 속에서 전통과 현대라는 상대적 개념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규정받는다. 따라서 회피하거나 망각하고 싶은 근대라 할지라도 현대를 이해하고 그 원류가 된 전통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근대에 대한 정면적인 직시가 필요하다. 근대의 실패는 전통 계승의 실패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통 계승 실패의 원인을 분석해 가다보면 우리가 근대를 실패한 시기로 인식하는 원인의 일부를 알 수 있지 않을까? 과거와의 단절을 꾀하는 반전통주의는 서구 교육의 전래와 깊은 연관이 있다. 신교육은 반전통주의를 서구화 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였다. 서구문화를 추종하는 개화론자들은 조선이 뒤처지게 된 원인을 전통교육에서 찾았다. 따라서 조선이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전통과의 단절, 그리고 급격한 서구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반전통주의는 근대교육으로의 진전이라기보다는 서구교육에 대한 일방적인 예속이라고 볼 수 있다. 신교육의 일각에서 나타나는 극단적인 반전통적 입장은 기존의 교육 체제를 철저히 부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천 년간 계승되어 내려온 교육 내용과 형식마저도 도외시함으로써 문화적 주체성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서구 교육의 수용이 지닌 양면성을 고려할 때, 전통교육을 부정하는 모든 신교육을 곧 근대교육으로 파악하는 단선적 이해 방식은 재고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한말 발간된 잡지와 신문의 전통 교육 계승 관련 글들을 중심으로 근대 지식인들이 전통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한다. 아울러 전통 단절 원인과 그것의 결과로 야기된 교육적 병폐의 양상을 논함으로써 오늘날 새롭게 조명해야 할 전통적 요소를 찾아 교육적 참고로 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