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Total Propert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8초

축소형 사회의 도래와 현대총유론 (A Study on the Advent of a Downsizing Society and the Modern Total Property Theory)

  • 윤여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03-136
    • /
    • 2018
  • 현대총유론은 인구감소, 고령화, 수도권 집중, 지방의 소멸 위기, 저성장이라는 한국과 유사한 사회 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에서 2000년대에 등장한 사회개혁론이다. 그 골자는 토지를 비롯한 공간의 총유화를 통해 사회 문제의 해결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현대총유론은 절대적 토지소유권의 문제에 주목한다. 전후 경제성장의 지렛대가 된 절대적 토지소유권은 향후의 축소형 사회에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 지금까지는 수요가 존재하고 토지나 건물의 가치가 유지되거나 올라가리라는 전제 위에서 현행의 소유권 제도가 기능해왔지만, 앞으로는 가치가 사라지는 소유권이 대량 발생한다. 하지만 토지나 건물이 방치되더라도 절대적 소유권에 묶여 손을 댈 수 없으니 총유주체를 설립해 토지나 건물의 소유권을 총유화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총유론은 국가와 개인이라는 이항을 기초로 하는 근대법에 중간항을 삽입해 '국가와 개인'의 양자관계를 '국가와 개인과 중간조직'이라는 삼자관계로 전환시킬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현대총유론은 도시 및 국토 재생을 위한 거시적 구상이며, 사회정책 차원의 입법론을 담고 있기에 동시대 한국의 사회문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 나아가 향후 사회제도와 법제도의 개혁 방향에 관해 풍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에서의 근대건축물의 재생과 활용을 위한 킨버전디자인 수법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Traits of Conversion Design Methods of Modern Architecture for Renewal Use in Japan)

  • 노정은;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0-50
    • /
    • 2007
  • This study started from my concern over maintenance and renewal of existing buildings and other seriously damaged Modern Architecture under the urban development. Above all, we must face up to reality of an increasing need of renovation of old buildings that are in its physical, social, and economical decrepitude. Currently, 25% of total buildings come under renovation period within 20 years, which means that we do not have enough time to decide the destiny of old buildings. In the city, there has been endless controversy over conversation and development. Recently the Cultural property Registration System made it possible a positive usage of non-designated cultural property with historical value. This very useful system renewed our perception on Modern Architecture as cultural property and also triggered peoples' interest in recreating new value beyond economical one. So we really need a balanced view that can bring into both growth of contemporary city and renewal use of Modern Architecture. Here, in this study I tried to solve that problem with Conversion Design and define what a realistic design way for them is. To get more reasonable result, I chose a factor analysis for 20 conversion projects in Japanese Modern Architecture. Conversion Design is a proper way to restore the identity of old buildings and the most effective way to sustainable use of Modern Architecture.

근대 건축물에 사용된 서양식 목조 지붕 트러스의 구조요인 및 기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문화재 중 근대건축물 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and Other Influential Characteristics of Western Timber Roof Truss in Modern Buildings - Focusing the Record of Modern Buildings among the Cultural Assets maintained by Public Institution -)

  • 이윤희;유혜란;권기혁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4호
    • /
    • pp.95-114
    • /
    • 2011
  • Western style timber roof trusses used as typical roof structures of buildings during a modern period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interactions with their facade and functionality. The shapes of trusses and member sizes have been diversely changed by the purposes of architects,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the change in the shapes of western style timber trusses along the times is one of important technology assets demonstrating the development of their structures during the modern peri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roughout parametric analysis of which parameters were determined from the collected and classified documents on western style timber roof structure built in the modern period carefully obtained from public institutions. Results of the parametric analysi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king-post trusses and modified king-post trusses built between 1920 and 1937 reaches almost half of the total number of truss types investigated. The mean values of their spans, distances, tributary areas, and height are respectively, 10.5m, 2.4m, $24.37m^2$and 3.24m. The cross-section areas of trusses tend to reduce since the city construction law was enacted in 1920. Also, this study found that western architects usually used larger structural members than eastern architects and usages and finishing materials of roof trusses are not alway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현대패션에 나타난 술 장식의 표현특성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ringe in Modern Fashion)

  • 김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56-865
    • /
    • 2011
  •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how Fringe, which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modern fashion, has been changed and what characteristics it is expressed to have in fashion on the basis of its formative property expressed in modern fashion.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Fringe, this paper analyzed a total of 346 Fringe of every type that were generally found in the worldis four biggest collections, from 2006S/S to 2011S/S. This paper found some methods Fringe is made, which are: using a snagged fabric or knit as it is; intentionally snagging or tearing a fabric to make the effect of being snagged; knotting the tail or the edge of clothes, and then, macram$\grave{E}$; and cutting leather or suede, which canit be snagged easily, and making Fringe strands. Fringe strands which are made in the above ways are made into a band and then, attached, or Fringe strands, a feathers, a comb, or beads are attached one by one. Or a tassel is independently or consecutively applied to clothes or ornaments, which are expressed in the form of fringes. Threads, strings, leather, suede, metals, plastics, raffia, horsehair, paper, beads, pearls, crystals, or felt were used for rich texture or unique visual effects. Colors of various brightness and chromas were used in consideration of materials. Through the effects of sameness, similarity, contrast, harmony and gradation with colors of clothes, emphasis or unified harmony was express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ringe, which were found in the modern fashion through those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organic rhythmical beauty, handicraft decorative beauty, and folksy natural beauty.

국가 지정 문화재 '명승'의 유형과 팔경(八景), 동천구곡(洞天九曲)과의 연관성 (Types of Scenic Sites of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nd Relationship between Pal-Kyung and Doncheon-Gugok)

  • 노재현;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128-159
    • /
    • 2010
  • 국내 명승 지정 추이와 유형 및 변천 그리고 분류상의 제문제를 검토하고 국가 지정 문화재인 명승 총 68건을 대상으로 전래팔경 및 동천구곡 그리고 현대팔경과의 연관성을 추적하여 전래경승적 의미와 가치가 현재에도 유전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문화경관적 성격을 갖는 명승의 지정이 늘고 있음은 초기 문화재보호법상 지정 사유로 명기된 문화적 활용성 역사성 문학성 사상적 배경 등의 개념을 적극 수용하기 위한 취지로 이해됨에 따라 고정원과 전망점 등 문화적 명소 개념이 명승 지정의 중요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 현상이다. 둘째, 명승 지정 유형별로 분류하면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이 30건(44.16%),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 및 중요한 전설지' 21건(30.9%),' 저명한 경관 전망지점' 9건(13.2%) '역사 문화 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 7건(10.3%) 그리고 '동 식물의 서식지로서 경관이 뛰어난 곳' 1건 순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현재 명승 분류기준에 따르면 팔경지로 분류되는 명승은 7건, 동천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3건이며 구곡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없는 것으로 볼 때, 외형적으로 전체 명승 중 팔경 및 동천구곡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도합 10건(14.7%)에 지나지 않는다. 넷째, 문헌자료 및 인터넷 분석에 따른 전래팔경 관련 명승은 46건(67.7%)이고 이 중 경관대상(장)으로 팔경에 포함된 명승은 38건(55.9%), 경관시점(장)으로 팔경에 포함된 명승은 8건(11.8%)으로 집계됨에 따라 총 46건(67.7%)의 명승이 전래팔경과 관련된 명승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동천과 관련된 명승은 8건(11.8%)이었고 구곡과 관련된 명승은 4건(5.9%)이었으며, 총 40건(48.9%)의 명승이 현대팔경으로 설정되어 지역 명소로서의 역활과 관광홍보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전래팔경 및 현대팔경 또는 동천구곡과 관련된 명승은 총 62건(91.2%)으로 외형적 분류와는 달리 지정 명승 대부분은 경관에 내재된 역사적 문화적 의미와 깊숙이 관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pace Organization for Unit Plans in Malaysia - Focus on Landed Properties in Ara Damansara-

  • Ju, Seo Ryeung;Lee, L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6권2호
    • /
    • pp.33-44
    • /
    • 2015
  • Malaysian modern housing typologies (such as bungalows, semi-detached houses and terrace houses) are influenced by international style and constitute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are modified in accordance with climatic conditions and unique social, ethnic housing cultures. This research identified unique characteristics and planning principles of how rooms and spaces of a house are related and organized into coherent patterns of form and space. For the analysis, we surveyed twenty-two residential precincts that identified twenty-five unit plan types for landed properties built in Ara Damansara, Malaysia. The methodology adop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document review and field surveys. It is difficult to find unique characteristics of space organization (except for the location of bathrooms) because the form of terrace houses is standardized and limited in design from the aspect of space organization. However, the organization of bedroom space and kitchen space has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become stereotyped for semi-Ds and bungalows. General guideline for areas of unit plans a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area analysis. We also found that the areas of L + D and MB increase as the total area of the house increases; however, the remaining rooms do not increase in area as long as they satisfy appropriate standards due to the addition of multi-purpose extra rooms. This study only examined limited cases in Ara Damansara and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other new towns in Malaysia. Nevertheless, it is worthwhile to collect and systematically organize data according to typologies. Finally, the author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unique regional design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landed property housing planning in Malaysia.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8년간(1999~2007년) 토지이용 변화 연구 (Changes of Landuse for Eight Years(1999~2007) in Greenbelt Area, Seoul)

  • 최진우;이경재;노태환;민성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25-1034
    • /
    • 2010
  •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of landuse and environmental value of cultivate land for eight years from 1999 to 2007 year in greenbelt area, Seoul. Greenbelt area decreased from $166.82\;km^2$ in 1999 to $156.50\;km^2$ in 2007 according to removal policy. Regarding landuse status in 2007, forest field area accounted for 64.16 %, dry paddy area 4.10 %, facilitated farming area 3.82 %, rice paddy area 2.95 % out of total greenbelt area. Cultivate land occupied wide spaces with dry paddy area, facilitated farming area, tree nursery in Seocho-gu, Gangnam-gu and Gangdong-gu. Changes of landuse were serious in Seocho-gu. The trend of changes of landuse for eight years is that rice paddy area was changed dry paddy area by laying the ground and dry paddy area was changed facilitated farming area for intensive agriculture. Rice paddy area could change without permission by laying the ground in below 50 cm height and it was changed to green houses due to increase in profit and modern policy of agriculture. It is nessary to monitor landuse regularly, improve regulation for change of landuse, compensate a property loss for maintaining environmental value in greenbelt area.

패션 소재의 색채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and Texture of Fashion Fabrics)

  • 추선형;김영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3-204
    • /
    • 2002
  • Many fashion forecasting companies propose the fashion colors in every season. Modern fashion consumer respond to fashionable trends with utmost sensitivity. Therefore to satisfy the consumer with an trendy image, the fashion design must be found first, as image matters, followed by an analysis of each design element's effect on the total image composition. In previous studies of fashion image, has been discuss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shion design elements of color, fabric, and form as the central issue. In this thesis, two of the fashion design elements, color and fabric are simultaneously considered to classify the image of fabric in fashion. For the color variables, 10 hues are selected from Munsell's system of color notation, and 12 tones from PCCS color notation., which are currently used in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Texture variables used in this survey are classified by luster, prominence-depression of surface, thickness, and density of fabric. Graduate students from 20 to 50 years old and the specialists in fashion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1. The fashion fabric image is classified as 5 main images: 'elegant', 'comfortable', 'characteristic', 'light'and 'simple'. 2. The influence of hue, tone and texture is significant to the fashion fabric image. Following colors, yellow-red, red hues and light grayish, dark grayish tones convey the elegant image. The texture property for the elegant image is luster, thin and low density. Properties of fabric conveying the comfortable image are yellow-red and green-yellow hue, soft, light tones, matte and high density. Furthermore, hue turned out to be a in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unique image, whereas dark grayish, grayish tone, luster and prominent texture convey a unique image. For light image, properties of fabric are blue-green, purple hues, light, bright tones with thin, low density texture. Properties of fabric conveying the simple image are blue-green, purple-blue, green-yellow hues, and strong, vivid tones, with luster and flat texture.

국가지정문화재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가심의 실태조사연구 - 최근 5년간(2010~2014)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 (Study on Status of Permission Review for Construction Activities within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y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 - Based on Recent 5 Years' (2010~2014) Meeting Records of Cultural Heritage Committee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 조홍석;박현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0-125
    • /
    • 2017
  • 1962년 문화재를 보존하여 이를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수준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은 2000년 지정문화재를 대상으로 하는 대상적 범위의 극복을 위해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제도를 도입, 이후 허가 절차 및 대상 등의 보완을 위해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용기준 작성 지침 제정(2006),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경미한 현상변경 행위 고시(2008) 등 지속적인 개선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7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개별 현상변경 허가처리 건수는 2010년부터 다시 증가, 2014년에는 총 1554건이 접수되었고, 그 중 약 29%가 불허 또는 심의 중에 있는 것으로 확인, 문화재 주변 지역주민들의 주민 불편사항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0~2014) 문화재위원회 가운데 현상변경 관련 분야 5개 분과위원회(건축/사적/천기/근대/중민)의 허가 처리현황 전체 7,403건에 대한 통합DB를 구축, 그 가운데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에서 이루어진 4,364건을 대상으로 심층분석을 실시하여 신청유형과 행위 유형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 유형화 및 시사점 도출을 통해 현상변경 허가대상을 규정하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경미한 건축행위 등에 관한 기준과 문화재위원회 운영 지침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관련 행정처리기준의 보완과 더불어 시 군 구 위임사무범위 등의 제도개선방안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한편,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의 허가제도 개선을 통한 행정효율성 제고 및 허가심의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지출 최소화로 국민불편 경감효과를 기대한다.

항공보험 가입의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datory insurance for aircraft operators)

  • 이창재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9-197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항공보험 의무가입제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외국 입법례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 실정에 알맞은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행 법령의 개정방향을 밝혀 개선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적절한 항공보험으로 항공기를 이용하는 우리 국민의 안전과 재산이 담보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2017년 새롭게 시행된 항공사업법과 그 하위법령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항공보험에 관한 입법적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이로써 입법적 오류, 시행착오 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사고 발생 시에 수많은 인명과 재산이 손실되는 항공사고의 전손성, 순간성, 거대성이라는 특성을 감안할 때 항공운송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유지하고 피해자를 위한 원만한 배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항공운송인에 의한 적절한 항공보험의 가입과 유지가 필수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근대 사법체계의 대원칙인 계약자유의 원칙을 수정하는 항공보험 가입의무의 강제가 설득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다만 외국의 입법례와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항공보험 가입의무에 관한 법규정은 다음과 같은 쟁점들을 중심으로 재정비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첫째, 항공운송인에 대해 적절한 수준의 항공보험의 가입과 유지를 강제하는 것은 국가의 개인에 대한 금전적 의무를 강제하는 성격을 가지게 되므로 시행규칙이 아닌 본법에 규정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규정의 태도는 다른 외국의 입법례에서 흔히 목격되는 사항이다. 둘째, 우리 법 규정은 "국제협약에서 규정하는 책임한도액"이라는 문구를 사용함으로써 여라 가지 다양한 경우의 항공손해배상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제협약 중에서 어떠한 수단(legal tools)이 사용되는가에 따라 배상범위가 달라지는 점, 오늘날 승객에 대한 손해배상을 규율하는 몬트리올 협약은 항공운송인의 과실이 있는 경우 그 책임한도액이 철폐된 점, 책임한도액이 철폐된 점, 그리고 지상 제3자의 손해에 관한 로마협약체계에는 우리나라가 가입하고 있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국제협약에서 규정하는 책임한도액"은 더 이상 만병통치약이 되지 못한다. 셋째, 우리나라와 같이 좁은 영토를 가진 국가에서는 국내운송과 국제운송이 비행시간이나 거리에서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항공보험 가입의무에 있어서도 국내운송과 국제운송을 나누어 규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이중적 규율은 항공운송업에 새롭게 진출하고자 하는 신생 항공사에게 국제운송과 같은 필요 이상의 보험가입을 강제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무인비행장치의 사고에 따른 항공보험에 자동차손해보험을 준용하는 것은 무인비행장치 사고에 관한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가진 무인비행장치에 관한 보험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반적인 항공보험과 분리하여 규율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