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ated Mediating Effect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1초

중학생의 SNS 상향비교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비하의 매개 효과와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in SNS on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prec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 이세영;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353-36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self-depre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in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The participants were 288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to third grades from four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Jeonnam. The date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Process Macro Model 4, 1, and 1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upward comparison in SN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depression, and students' self-deprecation of student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wo. Second, the level of control, which is a sub-factor of cognitive flexibil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precation. That is, if student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difficult situations as controllable, upward social comparison in SNS mediated by self-deprecation has smaller effect on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practical interventions to reduce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y decreasing upward social comparison in SNS and self-deprecation. In addition, helping students perceive difficult situations as controllable could be another effective way of reducing depression among those students who have a high level of self-deprecation in upward social comparison in SNS.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Grit Moderated by Gender)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11-6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투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지연행동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투지는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투지의 매개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실천과 유지에 있어 투지의 역할과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의 실천 방안과 학업지연행동의 대처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일반고 학생의 자아인식 및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연구: 부모와 대화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Class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Verification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Efficacy through Conversation with Parents)

  • 유현경;남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90-504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자아인식과 수업태도가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부모와 대화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일반고 2학년에 대한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II의 1차년도 설문 결과에서 일반고(자율고 포함) 5943명의 자료를 SPSS 22와 PROCESS macro의 모델 7번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자아인식과 수업태도는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진로탐색효능감은 자아인식 및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을 매개한다. 셋째, 자아인식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부모와 대화의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부모와 대화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대립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성숙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Effect of Benefit Appeals, Brand Types, and Construal Level on Ad-brand Congruency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essages -Aspirational vs. Accessible Brands

  • Yoo-Won Min;Kyu-Hye Le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760-777
    • /
    • 2023
  • Fashion brands seek guidelines for effective green advertising messages, considering benefit appeals, brand types, and construal level. However,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ir simultaneous interplay. Thu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a 2X2X2 between-subjects design to investigate how brand type and construal level moderate the mediating role of ad-brand congruency between benefit appeals and purchase intention. A total of 245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participan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was revealed. Low-construal-level messages with concrete content showed disparities between aspirational and accessible brands concerning other-benefit appeals: Accessible brands utilizing other-benefit appeals demonstrated higher ad-brand congruency, while aspirational brands had lower ad-brand congruency. Furthermore, within aspirational brands, self-benefit appeals resulted in higher ad-brand congruency than other-benefit appeals. Finally,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discovered, indicating that brand types and construal level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d-brand congruency between benefit appeals and purchase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was prominent in the context of self-benefit appeals, aspirational brands, and low-construal-level messag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ntricate dynamics of the three factors in green advertising,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crafting more targeted green advertisements.

유아의 영상미디어 시청시간과 취침시간이 집행기능곤란에미치는 영향: 유아의 채널 선택권과 부모의 제한형 미디어중재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ren's Screen Media Time on Bedtim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 Moderated-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hildren's Media Content Selection and Parental Restrictive Media Mediation)

  • 김윤경;박주희;박예슬;홍지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5-16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ed-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media content selection and parental restrictive media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creen media tim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Methods: A total of 693 parents of children aged 5~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asked to answer all survey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7.0. Model 11 of PROCESS macro 4.3 was used to examine the moderated-moderated mediation model. Children's gender, age, childcare enrollment status, and household income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as covariates. Results: The moderated-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media content selection and parental restrictive media medi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pecifically, bedti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reen media tim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only when parents did not appropriately implement restrictive mediation and children freely selected media content.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recommended that parent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restrictive media mediation and selecting appropriate media contents for their child to prevent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early childhood. Also, child education or day-care centers should offer education program about appropriate media use to reach more parents.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된 매개효과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mart Media Addiction Caused by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on Adolescents' Alienation and Stress Responses)

  • 원소희;최유리;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19-6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을 스마트 미디어 중독이 매개하는 모형에서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61명의 남녀 학생들이다. 조절된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델 7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소외감과 BAS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이나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스마트미디어 중독도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소외감과 BAS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으며, 소외감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BAS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소외감을 느끼는 청소년이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몰입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며, 그런 영향은 BAS 수준이 높을수록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Moderated by Gender)

  • 신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420-431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 우울 및 온라인 쇼핑중독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성별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패널을 보유한 설문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성인 336명의 자료는 회귀분석에 기반한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온라인 쇼핑중독 경향이 증가하였고,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여자에 비해 남자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코로나19 감염병이 장기화될수록 온라인 쇼핑과 같은 행위중독 예방 및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개입에 있어서 성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들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through Internalized Shame)

  • 성은아;김영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450-46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생 327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5.0과 Macro 3.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자비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자비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희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외동자녀 지위의 조절매개 모형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Hope on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Only-Child Status)

  • 마팅팅;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211-21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외동자녀 지위가 조절 매개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광둥성의 한 대학에서 의도적으로 표집한 302명의 대학생이다.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적용된 통계 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적지지, 희망, 삶의 만족도 간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외동자녀가 그렇지 않은 자녀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희망을 경유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개원의 역할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Local Clinic Medical Doctor : Gender's Moderated Mediation Effect)

  • 송영아;김지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5-66
    • /
    • 2019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ender me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edical doctors in Local clinics in South Korea. Methods: Questionnaires that assess role stress, job burnout, and depression were administered to. 265 medical doctors who worke in local clinics in Seoul, Busan, Daejeon, and Gyeonggi provinc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ROCESS macro in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Results: Job burnou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depression. Further,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job burnout. Finally, gender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depression.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 emergent findings, effective coping strategies that can alleviate role stress are articulated. However,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selection of a suitable intervention must be based on the gender of the medical 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