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 compound

검색결과 884건 처리시간 0.034초

HepG2 cell을 이용한 한인진, 울금, 나복자 복합물(ACR)의 이상지질혈증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및 항산화 효능 평가 (Inhibition of gene associated with Dyslipidemia and Antioxidative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Curcumae Radix and Raphani Semen(ACR) on HepG2 cell model)

  • 차지윤;유호룡;김윤식;설인찬;조현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3-58
    • /
    • 2017
  • Objectiv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nd hypolipidemic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韓茵蔯), Curcuma longa L. (鬱金) and Raphanus sativus L. (蘿?子) (ACR). Method: We enriched Artemisiae Capillaris, Curcumae Longae and Raphani Semen compound with alcohol. ACR extract is treated to HepG2 cell. Cell groups are devided into 3 groups: normal, control and ACR treated group. We measured polyphenol, flavonoid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OS, glutathione, GSH peroxidase, GSH reductase, SOD, catalase, free fatty acid, lipid peroxidation and suppression of ACAT1 and HMG-CoA reductase expression on mRNA level. Results: 1. ACR contained polyphenol and flavonoids and increased GSH significantly in HepG2 cell. 2. ACR increased GPx, GR, and catalase activity significantly in HepG2 cell. 3. ACR increase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 HepG2 cell and decreased ROS. 4. ACR decreased free fatty acid and MDA significantly in HepG2 cell. 5. ACR suppressed ACAT1 and HMG-CoA reductase expression on mRNA level in HepG2 cell.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CR has antioxidative and hypolipidemic effect and might be effectiv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yslipidemia.

계면활성제 미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기체상 스타이렌 제어 (Control of Gaseous Styrene Using a Bioactive Foam Reactor)

  • 신승규;송지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70-775
    • /
    • 2006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기술인 담체충진형 바이오필터법은 운전이 용이하고 처리비용이 낮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낮은 운전성능과 막힘현상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계면활성제로 형성된 거품을 사용해 VOCs의 물질전달율과 분해효율을 향상시킨 미생물 반응기(Bioactive Foam Reactor. BFR)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VOCs 저감기술로서 BFR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tyrene를 대상으로 실험실 규모 반응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체류시간 30초에서 미생물이 포함되지 않은 abiotic 실험과 biotic실험을 통해 BFR의 물질전달계수($K_La$)와 기질분해율(k) 값을 선정하였으며, 여타 산기방식의 생물반응조에 비해 BFR 시스템의 물질전달율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동적부하 변동실험 결과 BFR 시스템은 유입 styrene 농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BFR의 최대분해능은 109 $g/m^3/hr$으로 높게 나타나, 충진담체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바이오필터의 대안 기술로 BFR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크로고리 화합물을 운반체로 하는 액체막을 통한 이온의 운반에 관한 연구 (제1보). Dibenzo-18-Crown-6-(DBC)/$H_2O-CHCl_3-H_2O$계에서 칼륨이온의 운반 메카니즘 (The Ion Transport Phenomena through the Liquid Membrane with Macrocyclic Compound (I). Mechanism of Potassium Ion Transport through $H_2O-CHl_3-H_2O$ System with Dibenzo-18-Crown-6)

  • 윤창주;이심성;구창현;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3-169
    • /
    • 1984
  • 칼륨이온이 dibenzo-18-crown-6(DBC)에 의해 $H_2O-CHl_3-H_2O$액체막을 통하여 운반되는 속도를 10가지 칼륨염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25^{\circ}C$에서 측정하였다. 운반속도는 농도와 음이온의 특성에 크게 의존했으며 농도효과로 부터 피크르산칼륨의 경우에는 이온쌍 형성으로 인하여 1.0 ${\times}10^{-3}$M을 전후하여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온의 운반과정은 다단계 착물반응 및 확산과정에 의한 것으로 운반 메카니즘을 체계화하기 위해 비균질성 액체막의 각상에서 갖는 화학종의 에너지 장벽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음이온의 수화자유 에너지와의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새로이 7단계 운반과정을 제시하고 그 운반 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 PDF

Rat에 있어서 Phenobarbital이 유기음이온성 의약품의 간클리어란스에 미치는 영향 - Indocyanine Green의 체내동태를 중심으로 - (Influence of Phenobarbital on the Hepatic Clearance of Organic Anionic Drugs in Rats - On the Basis of Pharmacokinetics of Indocyanine Green -)

  • 이용복;신상철;고익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43
    • /
    • 1993
  • The influence of phenobarbital(PB) pretreatment(75mg/kg/day, Lp. for 4 days) on the hepatic clearance of indocyanine green(ICG) as a model compound of organic anionic drugs was investigated in rats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change in the hepatic blood flow versus increase in the hepatic intrinsic activity to remove ICG due to PB pretreatment. ICG(1mg/kg) was injected single bolus via femoral or portal vein to the control and the PB-pretreated rats. The initial hepatic uptake clearance$(V_{d.c.}K_{12})$ obtained from plasma concentration-time data was increased by $38.4\% in the PB-pretreated rats, which may be due to the increased hepatic blood flow by PB pretreatment. Using a pharmacokinetic approach, hepatic blood flows were estimated of 67.5ml/min/kg in control rats and 91.9ml/min/kg in PB-pretreated rats. They were in good agreement with other's blood flow estimates observed experimentally.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38\%$ increased initial hepatic uptake clearance of ICG was due to the $36\%$ increased hepatic blood flow with phenobarbital, and that the increased hepatic blood flow and the activated hepatic intrinsic clearance with phenobarbital contributed to $49\%\;and\;51\%$ of the increased systemic clearance of ICG, respectively.

  • PDF

2006년 오존 고농도 사례 시 부산권 지역 isoprene 배출이 오존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 of Isoprene Emissions on Ozone Concentrations in the Greater Busan Area during a High Ozone Episode in 2006)

  • 김유근;조영순;송상근;강윤희;오인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29-841
    • /
    • 2010
  • The estimation of a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 (BVOC, especially isoprene) and the influence of isoprene emissions on ozone concentrations in the Greater Busan Area (GBA) were carried out based on a numerical modeling approach during a high ozone episode. The BVOC emissions were estimated using a biogenic emission information system (BEIS v3.14) with vegetation data provided by the forest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GIS), land use data provided by the environment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EGIS), and meteorological data simulated by the MM5. Ozone simulation was performed by two sets of simulation scenarios: (1) without (CASE1) and (2) with isoprene emissions (CASE2). The isoprene emission (82 ton $day^{-1}$) in the GBA was estimated to be the most dominant BVOC followed by methanol (56) and carbon monoxide (28). Largest impacts of isoprene emissions on the ozone concentrations (CASE2-CASE1) were predicted to be about 4 ppb in inland locations where a high isoprene was emitted and to be about 2 ppb in the downwind and/or convergence regions of wind due to both the photochemical reaction of ozone precursors (e.g., high isoprene emissions)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e.g., local transport).

측면 연마된 광섬유와 완전도체면 아래의 유전체 사이에서의 결합과 전파특성의 해석 (Light Coupling and Propagation Between a Fiber and a Dielectric Slab with a Conductor Cladding)

  • 권광희;윤기홍;김정훈;송재원;박의돈;손석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2A호
    • /
    • pp.70-79
    • /
    • 2003
  • 완전도체면 아래의 유전체와 측면 연마된 광섬유의 소산장 결합 및 전파특성에 대한 해석 연구 결과를 나타내었다. 두 구조에서의 전파특성과 소산장 결합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 결합모드 방정식과 혼합 모드(compound-mode) 방정식을 이용하여 코아와 유전체의 굴절률 및 구조의 각 변수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측면 연마된 광섬유와 완전도체면 아래의 유전체가 결합할 때 일어나는 광섬유에서의 감쇠현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감쇠상수를 구하여 함께 비교하였다.

이용질계(二溶質系)에서 Trihalomethane 의 흡착특성(吸着特性)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rihalomethanes in a Bi-solute System)

  • 정태학;안광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37-44
    • /
    • 1987
  • 활성탄을 이용하여 chloroform, 4 염화탄소 및 crystal violet의 흡착특성(吸着特性)을 단일용질계(單一溶質系)와 2 용질계(溶質系)에서 연구(硏究)하였다. 단일용질계(單一溶質系)에서 각 용질(溶質)의 흡착(吸着)은 Freundlich 식(式)에 의해 적절히 표현되었다. 2 용질계(溶質系)에서의 흡착(吸着)의 농도(濃度)가 1 mg/l 이하의 낮은 농도(濃度)에서도 심한 조해현상(阻害現狀)을 나타냈다. chloroform의 흡착시(吸着時) 화학구조가 유사(類似)한 4 염화탄소가 화학구조가 상이(相異)한 crystal violet 에 비해 훨씬 큰 영향을 미쳤다. 조해효과(阻害效果)는 crystal violet 흡착시(吸着時) chloroform 에 의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chloroform 과 4 염화탄소가 서로 미치는 영향은 대등하였다. 2 용질계(溶質系)는 Fritz 와 Schl${\ddot{u}}$nder 모형(模型)에 의해 적절히 표현(表現)할 수 있었고 훨씬 간단한 3 상수(常數) Freundlich 식(式)에 의해 표현가능(表現可能)하였다.

  • PDF

Mulberry Paper Bag μ-Solid Phase Extraction for the Analysis of Five Spice Flavor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Yoon, Ok-Kyung;Lee, Dong-S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35-42
    • /
    • 2009
  • Headspace micro solid phase extraction using mulberry paper bag (HS-MPB-$\mu$-SPE) has been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e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five spic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HS-MPB-$\mu$-SPE was performed with adsorbent particles enclosed inside a mulberry paper bag. Four different kinds of adsorbents such as Tenax TA, Porapack Q, dimethylpolysiloxane and polyethylene glycol were tested. The extraction solvents compared were petroleum ether, methylene chloride, and chloroform. Better results were obtained when Tenax TA and petroleum ether were used. The limit of detection (LOD)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were in the range of 1.3 ng/mL and 4.3 ng/mL, respectively, for o-cymene as a model compound of monoterpene. Proposed method showed good reproducibility (3.3%, RSD) and good recoveries (94.0%). The HS-MPB- μ-SPE is very simple to use, inexpensive, rapid, requires small sample amounts and solvent consumption. Because the solvent for extraction is reduced to only a very small volume (0.6 mL), there is minimal waste or exposure to toxic organic solvent and no further concentration step. This method allows successful characterization of the headspace in contact with the five spice sample. Strong trans-anethole from star anise or fennel is a characteristic flavor of five spice powders. HS-MPB-$\mu$-SPE combined with GC/MS can be a promising technique for the broad spectrum measurement of volatile aroma compounds from solid spices.

향기 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한 피복물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Wall Materials for Flavor Encapsulation)

  • 조영희;신동석;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63-1569
    • /
    • 1999
  • 본 연구는 분무건조를 이용한 향기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해 maltodextrin(MD), gum arabic(GA),alkenylsuccinated modified starch(MS), gellan gum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배합비율을 최적화하는데 목표를 갖고 수행되었다. 핵물질은 특성이 다른 5종류의 향기성분을 채종유와 1 : 4의 비율로 혼합한 flavor model system으로 사용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핵물질 : 피복물질의 비율을 1 : 4로 하였으며, MD함량은 30%로 고정하였다. GA : MS를 $2\;:\;8{\sim}8\;:\;2$의 비율로 제조하여 유화액에서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GA : MS = 4 : 6에서 유화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flavor release가 가장 적었다 이 비율에 gellan gum을 $1{\sim}5%$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4% 첨가한 것이 결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MD : GA : MS : gellan gum = 30 : 26.4 : 37.6 : 4의 배합비율이 분무건조를 이용한 향기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한 피복물질의 최적 배합조건이었다.

  • PDF

무기악취와 슬러지 동시처리를 위한 저온플라즈마의 적용 (Application of Non-Thermal Plasma for the Simultaneous Removal of Odor and Sludge)

  • 황현정;안해영;신승규;송지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5-9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기체상 무기악취물질을 저온 플라즈마 공정으로 제거하고, 악취물질과 반응 후 배출되는 오존 함유 배가스로 유기성 슬러지의 감량과 가용화 효과를 얻고자 복합반응기를 구성하였으며 일련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플라즈마를 통과한 대상 무기악취물질인 황화수소는 플라즈마를 단독으로 거쳤을 시 약 70%의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슬러지 반응조까지 통과했을 경우는 99% 이상의 처리효율을 보였다. 이 때 플라즈마 공정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오존은 슬러지 반응조를 통과하여 90~100%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배가스가 슬러지 반응기에 산기되면, 유기물 산화가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4시간 반응 시 슬러지의 TCOD는 약 50~60% 감소하고 SCOD는 4~5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가용화율은 운전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여 4시간 이후 약 10%까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저온 플라즈마와 슬러지 산기반응조 복합공정을 적용하면, 하폐수 처리시설 운영상에 나타나는 악취배출과 잉여슬러지 처분 문제에 동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