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 Library

검색결과 1,528건 처리시간 0.028초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Vancouver B1 and B2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A Proportional Meta-Analysis

  • Byung-Ho Yoon;Seong Gyun Park;Young Hak Roh
    • Hip & pelvis
    • /
    • 제35권4호
    • /
    • pp.217-227
    • /
    • 2023
  • Purpose: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 (PFF) is a common complication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an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IF) is a common surgical treatment.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compare the outcomes of ORIF in patients with different fracture patterns (Vancouver B1 and B2).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systematic search of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and KoreaMed from inception to August 2022. We conducted a pair-wise meta-analysis (with a fixed-effects model) on the 10 comparative studies and a proportional meta-analysis on the data from the 39 articles to determine a consensus. The outcomes were the incidence of reoperations that included osteosynthesis, irrigation/debridement and revision arthroplasty. Results: The pair-wise meta-analysis showed similar outcomes between two groups; the risk of reoperation (odds ratio [OR]=0.82, confidence interval [CI] 0.43-1.55, P=0.542), nonunion (OR=0.49; CI 0.22-1.10, P=0.085) and deep infection (OR=1.89, CI 0.48-7.46, P=0.361). In proportion meta-analysis, pooled prevalence of reoperation was 9% (95% CI, 6-12) in B1 and 8% (95% CI, 2-15) in B2 (heterogeneity between two groups (Q), P=0.772). The pooled prevalence of nonunion was same as of 4% in B1 and B2 (Q, P=0.678), and deep infection was 2% (95% CI, 1-3) in B1 and 4% (95% CI, 2-7) in B2 (Q, P=0.130). Conclusion: ORIF is a feasible treatment for B1 and B2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with acceptable outcomes in terms of, nonunion and inf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clinicians and provide baseline data for further studies validating PFF.

The Effects of Blackcurrant and Raspberry Consumption on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Ali Nikparast;Fatemeh Sheikhhossein;Mohammad Reza Amini;Sogand Tavakoli;Azita Hekmatdoost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4-64
    • /
    • 2023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designed to summarize studie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raspberry and blackcurrant consumption on blood pressure (BP). Eligible studies were detected by searching numerous five online databases including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Cochrane Library, and Google Scholar, until December 17, 2022. We pooled the mean difference and its 95% confidence interval (CI) by applying a random-effects model. Overall, the impact of raspberry and blackcurrant on BP was reported in t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420 subjects). Pooled analysis of six clinical trials revealed that raspberry consumption has no significant reduction in systolic blood pressure (SBP) (weighted mean differences [WMDs], -1.42; 95% CI, -3.27 to 0.87; p = 0.224)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WMD, -0.53; 95% CI, -1.77 to 0.71; p = 0.401), in comparison with placebo. Moreover, pooled analysis of four clinical trials indicated that blackcurrant consumption did not reduce SBP (WMD, -1.46; 95% CI, -6.62 to 3.7; p = 0.579), and DBP (WMD, -2.09; 95% CI, -4.38 to 0.20; p = 0.07). Raspberry and blackcurrant consumption elicited no significant reductions in BP. More accurate RCT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impact of raspberry and blackcurrant intake on BP.

Off-hours Surger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Type A Aortic Dissection Repai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Peter Pin-Sung Liu;Jui-Chih Chang;Jin-Yi Hsu;Huei-Kai Huang;Ching-Hui Loh;Jih-I Yeh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4권3호
    • /
    • pp.126-137
    • /
    • 2024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mpact of off-hours admission (such as weekends, nighttime, and non-working hours) vs. regular hours (weekdays and daytime working hours) on the mortality risk of patients undergoing surgery for type A aortic dissection (TAAD) repair is still uncertain. To address this uncertainty, we undertook a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 aimed to assess the potential link between off-hours admission and the risk of mortality in patients undergoing TAAD repair surgery. Methods: We conducted a thorough search of the PubMed, Embase, and Cochrane Library databases, covering the period from their inception to May 20, 2023. Our inclusion criteria encompassed all studies that examined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off-hour admission and mortality in individuals who had undergone surgery for TAAD repair. The odds ratios (ORs) were extracted and combined utilizing a random effects model for our synthesis. Results: Nine studies with 16,501 patients undergoing TAAD repair surgery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Overall,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during the weekend had higher in-hospital mortality (pooled OR, 1.41; 95% confidence interval [CI], 1.14-1.75; p=0.002) than those treated on weekdays. However, the mortality risks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TAAD surgery during nighttime and non-working hours were not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daytime and working hours admission. Conclusions: Weekend surgery for TAAD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hospital mortality risk than weekday surgery. However,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identify and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round-the-clock care for patients with TAAD.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전자해도 소형화 연구 (Study of the ENC reduction for mobile platform)

  • 심우성;박재민;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181-186
    • /
    • 2003
  • 날씨와 지역에 관계없이 언제나 지구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항법시스템은 해양분야에도 많은 응용기술과 시스템의 개발을 촉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LBS(Location Based Service)라고 하는 기술분야로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해양의 LBS는 아직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지형정보를 사용하게 되는데, 해양의 기본 지형정보로는 전자해도 (ENC,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말한 시스템들과 전자해도는 그 규모에 있어 대형선과 고용량의 처리능력을 갖는 시스템에 사용되므로 어선이나 레저용 보트와 같은 소형선용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의 소형화 및 사용 데이터의 소형화가 필요하며 근래 각광을 받고 있는 PDA, 웹패드와 같은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시스템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으로 대두된 소형시스템에의 지형정보 사용, 특히 국가공인 데이터인 전자해도를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해도의 소형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전자해도는 그 구조와 내용에 많은 부가정보와 형식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소형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의 내용과 형식의 측면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소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또한 전자해도의 갱신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였다. 데이터의 소형화는 상당한 데이터 및 정보의 손실을 감수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을 통해 가능한 적은 데이터와 정보의 손실만으로 모바일 플랫폼기반의 시스템에 부담없이 사용 가능한 전자해도의 소형화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도출될 수많은 소형시스템 응용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작용 등의 복잡한 물리적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 과정 중 난류연소, 고체연료 벽면 근방에서의 대류 열전달 및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soot 입자로부터의 복사 열전달, 그리고 고체연료 열 분해시 표면반응들은 고체연료의 regression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고체연료의 난류화염면의 위치와 폭, 그리고 비 예혼합 난류화염장에서 생성되는 soot의 체적분율의 예측은 난류연소모델, 열전달 모델, 그리고 regression율 모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치모델의 예측 능력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물리적 과정을 정확히 모델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vortex hybrid rocket내의 난류연소과정은 아래와 같은 Laminar Flamelet Model에 의해 모델링 하였다. 상세 화학반응 과정을 고려한 혼합분율 공간에서의 화염편의 화학종 및 에너지 보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화염편 방정식과 혼합분률과 scalar dissipation rate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혼합분률과 scalar dissipation rate에 따른 모든 reactive scalar들을 구하게 된다. 이러한 화염편 방정식들을 mixture fraction space에서 이산화시켜서 얻은 비선형 대수방정식은 TWOPNT(Grcar, 1992)로 계산돼 flamelet Library에 저장되게 된다. 저장된 laminar flamelet library를 이용하여 난류화염장의 열역학 상태량 평균치는 presumed PDF approach에 의해 구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선회유동을 가지는 Hybrid Rocket 연소장내의 난류와 화학반응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Laminar Flamelet Model, 화학평형모델, 그리고 Eddy Dissipat

  • PDF

2차원 위상 교정 디지털 필터를 이용한 고성능/고화질의 영상 축소기 시스템 개발 및 IC 구현 (System Development and IC Implementation of High-quality and High-performance Image Downscaler Using 2-D Phase-correction Digital Filters)

  • 강봉순;이영호;이봉근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93-10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DTV, TV-PIP, PC-video, camcorder, videophone 등에 널리 웅용되고 있는 영상 축소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영상 축소기는 2차원 위상 교정 디지털 필터를 이용한 고성능/고화질의 축소이미지를 제공하는 영상 축소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제품에 웅용된 영상 축소기 방식인 Pixel-drop 방식, Upsampling 방식 및 Scaler32 방식의 문제점들을 모두 보완하는 엘리어싱 노이즈 제거 방법과 하드웨어 부담을 최소화한 방법인 디지털 필터의 위상 특성을 웅용한 축소원리를 설명할 것이다. 또한, 제안된 영상 축소기의 성능이 Scaler32 방식보다 우수함을 최종 시뮬레이션 결과(축소 영상)를 Scaler32 방식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증명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영상 축소기는 라인메모리, 수직축 축소기, 수평축 축소기 및 FIFO로 크게 4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면적의 최소화를 위해 사용된 필터의 계수는 덧셈기와 천이기로 구현이 가능하며, 필터는 MUX-adder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보상 필터의 추가로 인한 필터의 대역제한폭이 영상 대역제한폭인 6MHz 까지 향상되어 원영상의 고주파 성분의 손실이 최소화된다. 제안된 영상 축소기는 하드웨어 언어인 Verilog-HDL로 설계되고, Cadence로 검증된다. 그리고, 회로 합성은 Synopsys 합성기로 합성되며, 레이아웃은 Mentor에서 수행된다. 사용되는 칩 마스터는 4,500$\mu\textrm{m}$$\times$4,500$\mu\textrm{m}$이며, 실제 레이아웃 크기는 2,528$\mu\textrm{m}$$\times$3,237$\mu\textrm{m}$이다.

  • PDF

부스팅 트리에서 적정 트리사이즈의 선택에 관한 연구 (The guideline for choosing the right-size of tree for boosting algorithm)

  • 김아현;김지현;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5호
    • /
    • pp.949-959
    • /
    • 2012
  • 범주형 목표변수를 잘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마이닝 방법 중에서 최근에는 여러 단일 분류자를 결합한 앙상블 기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앙상블 기법 가운데 부스팅은 재표본 시 분류하기 어려운 관찰치의 가중치를 높여 분류자가 해당 관찰치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앙상블 기법에 비해 오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부스팅을 구성하는 분류자를 의사결정나무로 둔 부스팅 트리 모형의 경우 각 트리의 사이즈를 결정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료 별로 부스팅 트리에 가장 적합한 트리사이즈가 서로 다를수 있다고 가정하고, 주어진 자료에 맞는 트리사이즈를 추정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트리사이즈가 부스팅 트리의 정확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28개의 자료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트리사이즈를 결정하는 문제가 모형 전체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상당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트리사이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몇 가지 특성 변수를 정의하고, 해당 변수를 이용하여 부스팅 트리에서의 최적 트리사이즈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성해 보았다. 자료 별로 고유한 최적의 트리사이즈는 자료의 특성에 의존적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추정방법은 최적 트리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출발점 또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기존에는 부스팅 트리의 사이즈에 대한 값으로 목표변수의 범주의 개수를 활용하였는데, 본 모형에서 제안하는 트리사이즈의 추정치로 부스팅 트리를 구축한 경우 기존방법에 비해 분류정확도를 유의미하게 개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액비 오염지역의 질산성질소 농도 추정 (Estimation of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in Liquid Fertilizer Contaminated Areas using Hyperspectral Images)

  • 임은성;김이슬;한수정;임태양;송원경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42-549
    • /
    • 2020
  • 연구목적: 액비의 발효과정에서 생산된 질산성질소는 물의 오염지표로써 본 연구에서는 액비가 살포된 4개의 연구지역을 선정하고, 질산성질소의 오염 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현장촬영에 앞서 액비의 비율을 0%, 25%, 50%, 75%, 100%로 5개의 군으로 나누어 스펙트럼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스펙트럼의 양상을 토대로 연구지역에서 획득한 초분광 영상에 PLSR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구축한 액비의 스펙트럼을 1차, 2차 미분하여 질산성질소의 거동을 확인하였다. 현장실험의 영상을 이용하여 PLSR 농도 추정 모델링을 실시하여 실제 질산성질소의 농도와 비교하였다. 결론: PLSR 농도 추정 모델과 실제 질산성질소의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70 mg/kg 이상인 고농도 지역에서 탐지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Tumor Necrosis Factor-α Gene Polymorphisms and Risk of Oral Cancer: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 Chen, Fang-Chun;Zhang, Fan;Zhang, Zhi-Jiao;Meng, Si-Ying;Wang, Yang;Xiang, Xue-Rong;Wang, Chun;Tang, Yu-Y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243-7249
    • /
    • 2013
  •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association between TNF-${\alpha}$ and oral cancer risk, but the results remain controversial. The present meta-analysis is performed to acquire a more precise estimation of relationships. Databases of Pubmed, the Cochrane library and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ternet (CNKI) were retrieved until August 10, 2013. Pooled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s) were calculated with fixed- or random-effect models. The heterogeneity assumption was assessed by I-squared test. Among the eight included case-control studies, all were focused on TNF-${\alpha}$-308G>A and four also concerned the TNF-${\alpha}$-238G>A polymorphism. It was found that oral cancer risk were significant decreased with the TNF-${\alpha}$-308G>A polymorphism in the additive genetic model (GG vs. AA, OR=0.19, 95% CI: [0.04, 1.00], P=0.05, I2=68.9%) and the dominant genetic model (GG+GA vs. AA, OR=0.22, 95% CI: [0.06, 0.82], P=0.03, I2=52.4%);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in allele contrast (G vs. A, OR=0.70, 95% CI: [0.23, 2.16], P=0.54, I2=95.9%)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GG vs. GA+AA, OR=0.72, 95% CI: [0.33, 1.57], P=0.41, I2=93.1%). For the TNF-${\alpha}$-238G>A polymorphism,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oral cancer risk were found in the allele contrast (G vs. A, OR=2.75, 95% CI: [1.25, 6.04], P=0.01, I2=0.0%)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GG vs. GA+AA, OR=2.23, 95%CI: [1.18, 4.23], P=0.01, I2=0.0%). Conclusively, this meta-analysis indicates that TNF-${\alpha}$ polymorphisms may contribute to the risk of oral cancer. Allele G and the GG+GA genotype of TNF-${\alpha}$-308G>A may decrease the risk of oral cancer, while allele G and the GG genotype of TNF-${\alpha}$-238G>A may cause an increase.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DEM 자동 생성 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utomatic Generation Methodology for Digital Elevation Models using a Two-Dimensional Digital Map)

  • 박찬수;이성규;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3-122
    • /
    • 2007
  • 최근 항공측량과 위성정보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방대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신속한 취득을 가능케 하고 있다. 취득된 지리정보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는 기술을 필요로 하며, 실시간 시각화를 위해 LOD(Lovel of Detail) 알고리즘을 핵심 요소로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지리정보 데이터 중 수치지형도에 포함된 등고선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규화된 고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써 TIN 생성기법을 적용하였고, 정규화 된 고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단계의 작업으로 구분하여 생성하였다. 먼저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TIN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TIN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규화 된 고도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지역 크기의 2차원적 격자 배열을 생성하고, 격자 배열의 각 점과 생성된 불규칙 삼각망의 교차점을 구하여 정규화 된 고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단계 별로 제한된 딜로니 삼각분할(CDT, Constrained Delaunay Triangulation) 알고리즘과 생성된 TIN 데이터와 2차원적 격자 배열 각 점의 교차점을 구하기 위해 Ray-Triangle Intersection 알고리즘을 선택하였다. 또한, DirectX API 라이브러리, Quad-Tree LOD 알고리즘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언어인 Microsoft Visual C++ 6.0을 이용하여 정규화된 고도정보를 3차원 지형 실시간 시각화를 통해 3차원 지형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 PDF

실시간 영상 부호화를 위한 H.264/AVC의 비트율 제어 하드웨어 설계 (Hardware Design of Rate Control for H.264/AVC Real-Time Video Encoding)

  • 김창호;류광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2호
    • /
    • pp.201-20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동영상 부호화를 위한 효과적인 비트율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 하드웨어로 구현한다. 제안하는 비트율 제어는 각 기본유닛 마다 R-D 파라미터 갱신에 의해 많은 연산 처리를 필요로 하는 이차원 R-D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의 평균 복잡도 가중치를 이용한 Qstep 결정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연산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적은 연산량과 빠른 MAD 예측을 위해 부호화된 기본유닛을 기반으로 영상의 공간적 및 시간적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MAD를 예측한다. 제안하는 비트율 제어는 프레임 레벨 MAD 예측과 매크로블록 레벨 MAD 예측, GOP 비트 할당, 프레임 비트 할당, 가상버퍼, Qstep 결정 모델, 비트율 제어 파라미터 갱신, QP 결정 모듈을 포함하며 총 8개의 모듈로 구성된다. 비트율 제어 하드웨어는 Verilog-HDL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Synopsys사의 Design Compiler를 이용하여 UMC 공정 $0.18{\mu}m$ 셀 라이브러리로 합성한 결과, 최대 동작 주파수는 108 MHz이고, 게이트 수는 19.1k이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구조는 기존 구조 보다 게이트 수가 85% 감소하였고, 매크로블럭 당 QP를 결정하는데 평균 220 사이클 수가 소요되어 기존 구조보다 64% 단축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