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del

Search Result 156,461, Processing Time 0.149 seconds

Development of Grid-Based Distributed Runoff Model in Urban Area (격자기반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모형의 개발)

  • Ryu, Hee-Sang;Kim, Mun-Mo;A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59-763
    • /
    • 2010
  • 본 연구는 격자기반의 지표면 유출 및 도시 유역 우수관거 유출해석모형으로서 유역을 관거 유입구를 기준으로 다수의 소유역들로 구분하고 각 소유역내 지표면 흐름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하여 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분할한 상태에서 각 격자의 유입 유출을 계산함으로써 주어진 시간 간격별로 유역 전체에 대한 물수지를 파악하는 격자 물수지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도시유역의 지표면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지표면 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출모형은 지표면 유출의 메카니즘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SWMM의 방법을, 격자기반으로 유출량을 계산 추적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지역의 침수형태 및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기존의 도시유출 해석모형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하여 집중호우발생시의 지표이동류 흐름, 폐합형 우수관거, 하류부의 배수영향 등을 고려한 우수관거 유출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모의를 수행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격자기반 도시유출해석모형은 대상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구성하고 개개의 격자마다 유출해석을 위한 지형정보와 수문정보를 입력하여 격자별 유출량을 계산 추적함으로써 유역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유출량, 유출심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인 분포를 모의할 수 있다.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이동강우나 국지적인 집중호우 등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수문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폐합형 우수관망 해석 및 하류부 배수효과를 검토하여 도시유역의 홍수방재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Model Using SATEEC, USPED and nLS for Gully-erosion Evaluation (걸리 침식 평가를 위한 SATEEC, nLS, USPED 연계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Kang, Hyun-Woo;Park, Youn-Shik;Kim, Nam-Wo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05-609
    • /
    • 2010
  • 기상변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해 국지성 호우의 강도와 빈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소양강, 도암댐, 임하댐 유역의 탁수 문제 등, 토양 유실에 관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확한 토양 유실 모의를 위하여 지난 수 십 년간 Universal Soil Loss Equation(USLE) 등의 모형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모형들에 관한 연구 중 강한 집중 호우에 의해 발생하는 걸리 침식(Gully Erosion)을 적용한 경우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걸리 침식을 고려한 토양 유실량 및 유사량 산정을 위하여 입력자료가 간단하고 ArcView GIS를 기반으로 융합이 가능한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 system, nLS, Unit Stream Power-based Erosion/Deposition (USPED) 연계 모형을 개발하여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유역에 적용하였다. 기존 SATEEC system에서는 강우 시 유역에서 발생하는 면상 침식(Sheet Erosion), 세류 침식(Rill Erosion)의 모의만이 가능하였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계모형에서는 nLS 모형을 이용한 걸리 헤드 발생 지역 선정과 USPED 모형을 이용한 걸리 발생 지역에서의 토양 유실량 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걸리 침식을 고려한 토양 유실량 산정이 가능하다. 연계 모형의 모의 결과 해안면 유역의 최종 유출구에서 발생하는 평균 유사량은 101,933 ton/year 로 산정 되었다. 토양 유실량과 유사량을 모의함에 있어, 면상, 세류, 걸리 침식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실제 지형에서 발생하는 토양 유실량 및 유사량을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연계 모형을 이용한다면 실제 유역에서 발생하는 여러 형태의 토양 유실을 모의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WAT HRU Mapping Module for Accurat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and $NO_3$-N of Each HRU in the SWAT Model (SWAT HRU 단위 지하수 함양량 및 질산성 질소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SWAT HRU Mapping module 개발 및 적용)

  • Ryu, Ji-Chul;Mun, Yu-Ri;Kim, Ik-Jae;Lim, Kyung-Je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11-2015
    • /
    • 2010
  •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은 지표수 오염과 지하수 오염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보통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하여 수질이 양호 하다고 여겨지만 오염된 하천 주위의 지하수 오염이 심각할 수 있다. 이러한 지하수에 의한 오염원을 산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여러 가지 수문관련 공식이나, HSPF, MODFLOW, SWAT 모형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SWAT 모형은 다양한 작물 및 재배방법이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유역단위로 평가가 가능하여 국내 외 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SWAT 모형은 소유역별 수문학적 반응단위인 HRU를 이용하여 유역 내 수문 및 수질을 평가하는데 소유역내 HRU의 공간적인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준 분포형 모형으로 다양한 영농방법이 지표수 및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적으로 분석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WAT 모형의 단점을 개선하여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SWAT HRU Mapping module을 개발하였고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2리 지역에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량 및 대수층 유입 $NO_3$-N 부하량 및 농도를 분석하였다. 적용결과, 횡계2리 유역의 2006년 대수층 유입 $NO_3$-N 부하량 및 농도를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농경지에서의 대수층 유입 $NO_3$-N 부하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농경지에서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NO_3$-N의 농도가 산림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07년의 결과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같은 밭이라 하더라도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및 시비량 등에 따라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에는 상당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재배 작물과 토양 특성에 따라 $NO_3$-N이 대수층으로 유입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HRU Mapping Module은 유역에서의 수질 개선시기저유출을 통한 오염원의 시공간적 분석을 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Reliability model for the probability of system failure of storm sewer (우수관의 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 모형)

  • Kwon, Hyuk-Jae;Lee, Cheol-Eung;Ahn, Jae-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91-1695
    • /
    • 2010
  • 본 연구에서 AFDA(Approximate Full Distribution Approach)를 사용하여 하수관의 불능확률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신뢰성 모형이 개발되었다. 여러 도시의 연 최대강우강도(Yearly Maximum Rainfall Intensity)를 이용하여 그 확률분포함수를 분석하였고 우수관(Storm sewer)의 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 모형에 적용하였다. 연 최대강우강도 자료의 분석결과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여러 중소도시에 대한 연 최대강우강도의 확률분포함수는 Gumbel분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 모형은 불능확률의 신뢰함수를 구하기 위해 하중(Load)을 규정하는 식은 합리식이 사용되었고 용량(Capacity)를 규정하는 식은 Darcy-Weisbach공식과 Manning의 공식이 사용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신뢰성 모형을 실제 우수관에 적용하여 불능확률을 산정하는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Y자형 우수관망에서 2개의 관으로 유입하는 각각의 유량이 그 관의 허용유량을 초과할 경우를 불능확률로 가정하였고, 나머지 관의 경우는 두 개의 관으로부터 유입하는 유량과 그 세 번째 관의 매설지역의 우수유입량의 합이 그 관의 허용유량을 초과할 경우를 불능상태(state of system failure)로 간주하여 불능확률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Darcy-Weisbach공식과 Manning의 공식을 사용한 신뢰성 해석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우수관 직경의 변화에 따른 불능확률을 산정하였다. 특정한 수치(설계직경)이하일 경우 불능확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 우수관의 유효직경이 설계직경에 항상 가깝도록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의 관리 방법이며 불능확률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뢰성 모형은 우수관의 운용, 관리, 감독은 물론 설계에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 PDF

Estimating of Social Preference of the Watershed Resident about the Anyangcheon Watershed Water Quality Improvement (안양천 수질개선에 대한 주민의 사회적 선호)

  • Kong, Ki-Seo;Kong, Doo-Ho;Yoo, Jin-Ch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3
    • /
    • pp.315-324
    • /
    • 2008
  • This paper double-bound dichotomous choice method as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is used to derive willingness to pay for the water quality at the Anyangcheon watershed. The linear random utility model show that value of improvement of the Anyangcheon watershed water quality is 4,930 won per house and month of the Seoul and Gyeong-gi area resident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eoul and Gyeong-gi area residents. Respondents overa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and were willing to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3,860 to 5,101 won), on average, per household per month. The aggregate value of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amounts to approximately 83.0 to 109.7 billion won per year.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policy-makers by providing useful methodological framework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related to watershed improvement projects.

Numerical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s due to Tributary Inflow Variation at the Confluence of the Namhan River and the Geumdang Stream (남한강과 금당천 합류부 구간에서의 지류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수치모의)

  • Ji, Un;Jang, Eun Ky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1027-1037
    • /
    • 2014
  • Flow and bed changes due to tributary inflow variation at the confluence of the Namhan River and the Geumdang Stream were analyzed in this study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analysis, the velocity downstream of the confluence was greater than the velocity upstream of the confluence in the main channel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ributary inflow. However, as tributary discharge increased, the channel erosion was accelerated and the dry area was produced at the tributary. Due to the bed erosion at the tributary, sediment transport was increased and the eroded sediments were deposited in the confluence area. The deposition in the confluence area changed the flow direction at the main channel to the left side and the localized flow eroded the channel bed at the left sid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bank failure due to continuous bed degradation is possible in this area.

Improvement of Huff's Method Considering Severe Rainstorm Events (집중호우 사상을 고려한 Huff의 4분위법 개선방안)

  • Choi, Soyung;Joo, Kyungwon;Shin, Hongjoon;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985-996
    • /
    • 2014
  • When designing hydraulic structures, the chosen method of time distribution in a hyetograph is highly significant. There are several methods used for measuring time distribution. In the case of Huff (1967), which is widely used in Korea,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2000), and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OLTMA, 2011) have long been increasing their use of this method. The MOLTMA uses the conventional Huff method's measurement of 1 inch (25.4 mm) as the threshold.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that this method often leads to underestimation, because of the excessive flatness. Therefore, for this study, a new time distribution method was developed to analyze only extreme rainfall events-those over the standard of severe rainstorms (that is, more than 30 mm per hour or 80 mm per day)-and that was verified using a rainfall-runoff model and applying it to a real basin.

Projection and Analysis of Drought according to Future Climate and Hydrological Information in Korea (미래 기후·수문 정보에 따른 국내 가뭄의 전망 및 분석)

  • Sohn, Kyung Hwan;Bae, Deg Hyo;Ahn, Jae 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
    • /
    • pp.71-82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ject and analyze drought conditions using future climate and hydrology information over South Korea. This study used three Global Climate Models (GCMs) and three hydrological models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future scenario.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Standardized Runoff Index (SRI) and Standardized Soil moisture Index (SSI) classified as meteorological, hyd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s were estimated from the precipitation, runoff and soil moisture. The Mann-Kendall test showed high increase in future drought trend during spring and winter seasons, and the drought frequency of SRI and SSI is expected higher than that of SPI. These results show the high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ydrological and agriculture drought compared to meteorological drought.

Analysi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Reduction by Permeable Pavement (투수성 포장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 효과 분석)

  • Koo, Young Min;Kim, Young Do;Park, Jae Hy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
    • /
    • pp.49-62
    • /
    • 2014
  • As the Urban area grows and more land is developed both within the city and in surrounding areas, hydrologic functions of the natural water cycle are altered. Urbanization creates impervious areas that negatively impact stormwater runoff characteristics. these changes to the natural hydrologic cycle result in the increased flooding, decreased groundwater recharge, increased urban heat island effects. Finally, the land use and other activities result in accumulation and washoff of pollutants from surface, resulting in water quality degrad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evaluat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ercolation effect through infiltration experiment of permeable pavement, which is one of the ways that can reduce the problem of the dry stream. Also the SWMM model is us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hydrologic cycle for permeable pavement block contribution.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actors of Corporate Culture fo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erger Enterprise (합병기업의 기업문화 구성요소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Kun-Suk;Kim, Jong-Lim;Nam, Ki-Eu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 no.1
    • /
    • pp.125-134
    • /
    • 2010
  • Integrating corporate culture in a merger enterpris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o decide M&A success. This study established a conceptional model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y on integrating corporate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formulated a hypothesis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a seven factors of corporate culture proposed by Pascale & Athos and Peters & Waterma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 of applying multi-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ly, all of a merger enterprise's cultural factors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job involvement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ly, all of them have sincer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xcept shared value; and thirdly, all of them except sk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harmony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is a significant empirical and exploratory study to ascertain the variables of corporate culture factors, and to verify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