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Web App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1초

모바일 웹앱 환경에서의 N-스크린 융합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Screen Convergence Application with Mobile WebApp Environment)

  • 이명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43-48
    • /
    • 2015
  • 웹 2.0/3.0의 진화에 따른 정보기술 환경의 확장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바일 인터넷 기기의 확산으로 모바일 앱, 모바일 웹, 모바일 웹앱, 그리고 하이브리드 앱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정보기술 산업에서의 모바일화가 급속히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현과 디바이스의 생명주기가 점점 단축되고 있는 현실에서 점차 모바일 서비스의 호환성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웹앱 환경에서의 N-스크린 융합 활용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모바일 환경에서의 최상의 인포그래픽 설계 구조와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도록 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전략: 모바일 쇼핑 앱 사용 효과 실증 연구 (A Mobile App Strategy: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Mobile Shopping App Usage)

  • 최진선;김승현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4호
    • /
    • pp.169-183
    • /
    • 2019
  • The growth of mobile commerce (m-commerce) has been accelerated around the world. Why do e-retailers have to put a great deal of effort for the distribution of their mobile apps? The literature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the introduction of an e-commerce app on shopping behaviors of consumers. By analyzing the dataset of 2,342 user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mobile shopping app usage across competing e-retailers and different channels. We found that a user's prior usage of a specific e-commerce mobile app increases her subsequent usage of its website through a mobile web browser. Thus, mobile apps do not cannibalize the mobile web channel, and there could b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e also found that a user's usage of competitors' app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er subsequent usage of a specific e-commerce app. Because many consumers search products and compare prices across multiple e-retailers, having a mobile app helps an e-retailer be exposed to more potential consumers. This study is among the first to study the role of mobile apps in e-commerce by showing the dynamics of cross-channel and cross-vendor usage by a user.

정신건강 관리용 모바일 헬스케어 앱 개발 -분노 관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Mobile Healthcare App for Mental Health Management -Focused on Anger Management-)

  • 박종진;최규석;김정래;박인규;강정진;손병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3-18
    • /
    • 2014
  • 본 논문은 현대인이 받는 각종 스트레스와 압박 및 내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분노의 관리를 위해 정신건강 관리용 모바일 헬스케어 앱을 개발한다. 분노의 작동 기전과 신체 질병과의 관계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앱 컨텐츠를 개발하고 웹앱(Web App)으로 구현하였다.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분노관리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메뉴를 구성하였다. 구현된 앱은 분노와 관련된 정보, 신체 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정보, A형 성격이나 적대감 테스트, 스트레스 경향 테스트, 정신 생산성 진단 테스트(KMPI), 일지 쓰기, 분노 관리, 상담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폰몰입이 모바일웹과 PC웹기반의 의류쇼핑몰에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volvement in Smartphones on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Mobile Web Apps and PC Web Apps)

  • 이정우;김미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93-405
    • /
    • 2013
  • This study considers the effect of smartphone involvement for purchase intentions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mobile web apps and on PC web apps; in addition, it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activated PC web apps) and those of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newly created mobile web ap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analysis of smartphones factors showed that smartphones consist of 6 kinds of dimensions of 'appearance involvement', 'time and information search involvement', 'application involvement', 'entertainment involvement', 'communication involvement', and 'transaction involvement'. Second, the higher the entertainment and transaction involvement among descriptive variables for smartphone involvement were due to the positive responses displayed towards fashion shopping mall purchases based on mobile web apps. Third, a higher application and entertainment involvement in the descriptive variables for smartphones resulted in a positive response displayed for purchases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PC web apps shown in a regression analysis that verified the smartphone and purchase intention relationship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PC web apps. Fourth, consumers with high purchase intention in the existing PC web app based fashion shopping malls were shown to have a high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web app based fashion shopping malls due to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tha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in PC web app based fashion shopping malls and mobile web app based fashion shopping malls.

해양오염 방제작업자를 위한 모바일 앱의 개발과 구현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PP for Marine Pollution Responder)

  • 최종욱;김상운;김창균;이찬근;주영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2-35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오염 방제작업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2012년에 해양경찰청에서 개발한 모바일용 해양오염대응정보시스템을 소개하고 그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시스템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Android와 iOS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모바일앱 기술과 모바일웹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앱 형식으로 개발하였다. 이용 가능한 기능은 물질정보, 방제방법, 대응기술, QR스캔, 자원봉사 등 5개의 모바일 앱과 기상정보, 대응장비, 방제자재, SNS 등 4개의 모바일 웹으로 총 9개 구성하였다.

모바일 기기에서 눈 운동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웹앱 개발 (Hybrid Web App Development for Eye movement at Mobile Devices)

  • 석현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49-254
    • /
    • 2013
  • 본 논문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건강에 중요한 부분인 안구 운동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안구 근육을 강화하여 시력을 튼튼히 유지시킬 수 있는 안구 운동 유도 기능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스마트 폰의 앱의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안구운동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안구운동을 통해 시력이 강화되는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였으며 특히 안구운동에 대한 구체적인 운동패턴을 본 논문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구현 방법은 기존 웹개발 언어인 HTML과 CSS를 통해 화면을 구성하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javascript 언어를 사용하여 해당기능들을 함수로 작성하였다. 웹프로그램을 앱으로 변환하는 툴은 앱스프레소를 이용하였다.

위치정보와 지도를 이용한 경로추적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에서의 하이브리드 앱 구현 (Implementation of a Hybrid-App of a Path Tracking System Using Geolocation and Maps on Mobile Devices)

  • 유문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33-637
    • /
    • 2013
  • 위치정보와 지도를 이용하여 자신이나 타인 또는 사물의 경로추적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최근에 모바일기기의 발달은 이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지금까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등의 모바일기기의 경로추적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네이티브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의 단점은 같은 서비스를 다른 플랫폼에 제공하려면 다시 작업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웹 앱과 하이브리드 앱이 개발되었다. 하이브리 앱은 네이티브앱과 외관상 비슷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웹 앱보다 더 선호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경로탐색이 가능한 앱을 개발하였다. 최근에 나온 HTML5에 위치정보 기능이 추가 되었는데 이를 이용하여 경로추적 시스템을 하이브리드 앱으로 구현하였다. 먼저 HTML5, CSS 와 자바스크립트 등을 이용하여 웹 앱을 만들고 이를 하이브리드 앱 도구의 하나인 폰갭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앱으로 변환하였다. 이 시스템의 구현으로 경로탐색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모바일 기기에 관계없이 빠르고 효율적인 앱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Drupal 기반 맵 응용 생성기 (MapAppGen) : 맛집탐방 응용 생성 사례 (Drupal-based Map Application Generator(MapAppGen): an Application Generation Example for Famous Restaurants)

  • 음두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9D권3호
    • /
    • pp.229-236
    • /
    • 2012
  • 웹과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상화 되면서 맵 응용에 대한 수요가 웹 및 모바일 환경에서 급증하고 있다. 웹 기반 맵 응용들은 대부분 ArcGIS와 같은 값비싼 개발 환경이나 MapServer와 같은 공개 개발 환경에서 작성되고 있고 모바일 맵 응용들은 Google Maps나 Yahoo Maps와 같은 API 수준에서 작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발 환경들은 자동화 지원 정도가 미약하여 맵 응용 개발의 많은 부분이 아직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가 설계하고 구현한 MapAppGen은 신속한 웹 기반 맵 응용의 작성을 지원하기 위해 Drupal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에 적용 가능한 맵 관련 모듈들을 생성해 줌으로써 맵 응용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켜 준다. MapAppGen으로 생성한 응용은 Drupal이 지원하는 기존의 GMap이나 NodeMap이 생성한 응용에 비해 관심의 대상인 지형/지물과 함께 이 지형/지물과 연관된 모든 정보를 검색해 표시한다. MapAppGen은 Google Maps API를 사용하며 Drupal은 컨텐츠의 생성, 구성, 관리를 지원하는 모듈 기반 시스템이다. 향후, MapAppGen을 확장하여 모바일 맵 응용의 자동 생성도 지원할 예정이다.

웹소켓을 이용한 모바일 앱 테스트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Mobile App Test System Using Web Socket)

  • 최경수;이길흥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3-75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sting method of the quality of device application effectively reflecting the necessity of increasing mobile device application quality test, and designed and developed it as a web system. We have studied traditional software testing method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a system. We have developed a next-generation alternative technology that can analyze and compensate for the weaknesses of the web and weaknesses of the Android in order to realize the access system and the responsive web system. As an example applied to the system, we analyzed the requirements of the system implementation and expressed the functions of the system through the use case diagram. The test scenarios were conducted by connecting 5,000 devices to each system using the existing HTTP polling method and the proposed web socket method. After setting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 of the proposed web management system was observed and compared through repeated tests. The research shows that the proposed web socket system has better performance than HTTP polling. The more the number of simultaneous processing of the devices, the lower the server stability but the better the time efficiency. In conclusion, the more the number of devices to be tested is, the more the number of devices can be effectively tested using the proposed web management system.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Services Based on Smartphone Application in Academic Libraries)

  • 정종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1-191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앱에 관한 정보통신기술의 원리를 소개하고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들을 살펴보고 미래 도서관의 모바일서비스 예측에 의거 바람직한 스마트폰 앱기반의 모바일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스마트폰 앱기반 모바일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모바일 웹과 앱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서비스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할 스마트폰 앱 평가 원칙을 수립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마케팅과 교육서비스에 앱을 개발하거나 활용한다. 넷째, 앱정보에 대한 앱서지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