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Al

검색결과 1,114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산 식용 지하 부위 채소의 수확시기에 따른 무기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neral Contents of the Underground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harvested in different times)

  • 장경미;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45-549
    • /
    • 1999
  • 우리 나라에서 재배하여 생산한 식용 지하 부위 채소 (감자, 고구마, 당근, 무, 우엉, 연근, 양파, 생강, 마늘)의 수확시기에 따른 무기 성분의 차이와 중금속 함유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무기 성분은 K이었으며, P와 Ca, Mg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다. 각각의 무기 성분 함량은 모든 시료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감자는 다른 식용 지하 채소에 비해 Na과 F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K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고구마는 감자와 비교하면 6월과 8월의 시료에서 Ca을 2-3배 가량 많이 함유하고 있다. 당근은 Na의 함량이 감자나 고구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무는 Ca의 함량이 높았는데 감자의 5-8배였고 다른 지하 부위 채소들과 비교하여도 2-3배 이상이나 되었다. 연근도 Ca의 함량이 높았으며 Mn의 함량은 분석한 시료들 중 가장 높았다. 마늘은 K와 P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생강은 Mg 함량이 분석한 시료들 중 가장 높았다. 양파에는 K, P, Ca의 함량이 타 채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Mg은 높았다. 계절별로 비교해 보면 6월과 8월의 시료들이 10월의 시료들에 비하여 여러 무기 성분의 함유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김천규석으로부터 제조한 부분안정화 $\alpha$-Sialon의 기계적 물성 (Mechanical Properties of Partially Stabilized $\alpha$-Sialon Synthesized from Kimcheon Quartzite)

  • 서원선;조덕호;이홍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3-153
    • /
    • 1988
  • 김천규석으로부터 합성한 질화규소와 시약급의 AIN과 $Y_2O_3$를 출발원료로 하여 $Si_3N_4-0.1Y_2O_3-0.9AIN$의 tie line에서 X=0.6, 0.4(금속고용량)인 조성으로부터 AIN 의 양을 감소시킨 조성과 $Y_2O_3$를 증가시키는 조성으로 1750~1800도에서 소결시켜 부분 안정화 $\alpha$-Sialon을 제조하였다. $\alpha$-Sialon 생성에는 $Y_2O_3$ 첨가량보다 AIN 첨가량에 밀접하게 관련되며 AIN은 $\beta$단위격자 보다 $\alpha$ 단위격자로 우선적으로 고용되었으며 $Y_2O_3$가 과잉으로 첨가된 조성에서는 melillite 형성과 입자 조대화 및 $\alpha$-Sialon의 분배로 인하여 yttrium silicide 와 금속 Si를 형성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은 저하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기계적 물성의 최고 값은 모두 1780도에서 얻어졌으며 그 값은 꺽임강도 723MPa, 파괴 인성 4.5MN/m^3/2, 경도 19.3GPa이었다.

  • PDF

Bacillus polymyxa KS-1에 의한 다당류 KS-1 생산의 발효 조건 (Cultural Conditions of Exopolysaccharide KS-1 Produced by Bacillus polymyxa KS-1)

  • 권기석;윤병대주현규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441-448
    • /
    • 1995
  • 토양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균주인 Bacillus polymyxa KS-1을 이용하여 이들이 생산하는 미생물 생 다당듀 KS-1의 생산을 위한 배지 및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다당류 KS-1의 생산을 위한 애지의 조성은 증류수 1 liter당 glucose 30g, yeast extract $2.5g, KH_2PO_4 2.5g, NaCl 0.5g, MgSO_4.7H_20 0.3g, CaC0_3 0.05g, FeSO_4.7H_2O 0.05g, 그리고 MnS0_4 . 4H_20 0.05g$ 이 첨가된 배지에서 높은 정성 벚 다탕류 생산 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배양조건은 초기 pH와 배양온도는 각각 7.0과 $30^{\circ}C$, C에서 다당류 생산이 가 장 좋은 갯으로 조사되였다. 또한 이상의 최적조건 에서 발효조를 이용한 경우 통기량 빛 교반속도를 각각 2vvm과 400rpm으로 조절하여 배양한 경우 생산량은 liter당 약 10.3g의 다당류 KS-1이 얻어졌다.

  • PDF

공동주택 지하저수조 내 침전된 부유성 고형물의 발생원인 및 제어방안 (Investigating the Causes and Control Measures for Precipitated Suspended Solids in the Underground Reservoir Tank in an Apartment)

  • 장준영;김주원;김기팔;신현상;임병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3-161
    • /
    • 2023
  • The reservoir tank in an apartment is crucial for maintaining the quality of drinking water after it has undergone treatment. Investigating the water quality and potential contaminants in the reservoir tank is essential to ensure the safety of the drinking water. This study examined the water quality and precipitated suspended solids that accumulate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tanks in four apartment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e water quality investigation, turbidity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distance from the water treatment plant (WTP) to the household. Heavy metals were also detected in the reservoir tank inlet but not i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TP. The precipitated suspended solids (SS) in the reservoir tank contain high levels of heavy metals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The precipitated SS mainly consists of Al, Mn, and Fe, which are expected to be a combination with turbidity-inducing substances. The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γ-FeO(OH), MnO2, and β-Fe2O3 in the SS. Additionally, F-EEM analysis indicates that the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SS is mainly derived from a natural water source and microorganism activities, including metal-oxidizing bacteria and biofilms that can absorb metal ions.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countermeasures can be taken to prevent the inflow of SS into the household, including regularly cleaning the reservoir tank, replacing or cleaning old pipes in the water supply system, and implementing monitoring and filtering systems to manage the SS.

폐전기차 셀분말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선택적 리튬침출 연구 (Study on Selective Lithium Leaching Effect on Roasting Conditions of the Waste Electric Vehicle Cell Powder)

  • 정연재;손성호;박성철;김용환;유봉영;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6호
    • /
    • pp.79-86
    • /
    • 2019
  • 최근, 전기차 증가에 따른 리튬 전지의 사용량 증가로 리튬 가격 증가 및 폐리튬전지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폐리튬전지 내 리튬 회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전기차 셀분말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선택적 리튬 침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셀 분말(LiNixCoyMnzO2, LiCoO2)로부터 선택적 리튬 침출을 위해서는 환원을 통한 상변화 및 분리가 필요하다. 폐전기차 셀분말 내 탄소는 고온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환원제 역할을 한다. 적정 온도를 알고자 대기/질소 분위기에서 TG-DSC 분석 및 550 ~ 850 ℃ 열처리 후, XRD 분석을 하였다. 열처리 된 분말은 ICP 분석을 위해 D.I water에서 1:10 비율로 침출 후 분석하였다. XRD 분석결과, 700 ℃에서 Li2CO3 피크가 확인되었다. 850 ℃ 열처리 시 Li2O의 피크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Li2CO3가 723 ℃ 이상의 온도에서 Li2O와 CO2로 분해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Li2O와 Al2O3와 반응으로 LiAlO2가 확인되었다. 850 ℃에서 열처리 시 Li 침출율이 낮아졌는데 이는 LiAlO2가 D.I water에서 침출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리튬 침출율의 경우 열처리의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질소 분위기 중 700 ℃로 열처리 시 약 45 %의 리튬침출이 확인되었다. 침출 용액을 고-액분리 후증발농축하여 XRD 분석을 실시한 결과, Li2CO3의 피크를 확인하였다.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에 분포하는 폐탄광으로부터의 배수에 의한 임곡천 및 동해의 오염 (Pollution of the Imgok Creek and the East Sea by the Abandoned Coal Mine Drainage in Gangdong-myeon, Gangreung, Kangwon-do)

  • 허봉;유재영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4-55
    • /
    • 1998
  • 소위 강릉 탄전 지대의 중앙부에 위치한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지역에는 많은 하천들이 폐탄광으로부터의 산성 광산 배수에 의해 심하게 오염되고 있으며, 그 중 임곡천은 그 오염 정도가 가장 심각하다. 임곡천 오염의 주범은 영동 탄광 배수인데, 이로부터 임곡천에 유입되는 오염 성분은 Mg, Fe, Al, Si, Ca, Mn 및 SO$_4$, 등의 용존 주성분들과 Cr, Co, Ni, Cu, Zn, Rb, Sr, Cd, Pb 및 U 등의 용존 부성분들이다 이들은 임곡천에 유입된 후 부유 고형물 보다는 주로 용존 고형물의 형태로 이동한다. 부유 고형물은 Fe와 Al 성분이 우세하며, 주로 하천으로부터 침전되고 있는 또는 그 이전에 침전한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용존 오염 성분은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장 하류에 도달하기까지 많은 양이 침전 및 희석에 의하여 하천수로부터 제거되어, 임곡천 수는 동해로 유입되기 직전에 오염되지 않은 일반 하천수의 수질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질을 갖게 된다. 이는 임곡천 자체는 탄광 배수에 의해 심하게 오염되고 있으나, 동해는 탄광 배수에 의한 오염이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동해가 탄광 배수에 의해 거의 오염되지 않고 있음은 해수 및 해저 퇴적물의화학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임곡천 하구수 및 해수의 화학조성은 세계 평균 해수의 함량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해저 퇴적물 내의 오염 성분의 함량도 어떠한 분포 및 경향성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탄광 배수로부터 공급된 오염 물질들이 임곡천을 통해 동해로 유입되는 양은 미미하며 또한, 해수의 막대한 양에 쉽게 희석되어 동해에 심각한 오염을 야기 시키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임곡천으로 유입되는 지류들이 탄광 배수에 의해 오염되고, 그 결과 오염 물질이 좀 더 하류쪽으로 다량 이동된다면, 동해도 가까운 장래에 탄광 배수에 의한 심각한 오염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현재 심각한 오염이 진행중인 임곡천의 수질 개선 및 환경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은 물론이고, 아직 동해의 오염이 심각하지 않은 지금 탄광 배수에 의한 동해의 오염 발생에 대한 대책과 예방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PDF

곤양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 Sediments in the Konyang Area)

  • 박영석;박대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3호
    • /
    • pp.329-342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곤양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환경오염과 지질재해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이 흐르고 있는 1차 수계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시료 178개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켰다. 시료는 알루미나 몰타르를 이용하여 200메쉬 이하로 분쇄하였고, XRD, XRF, ICP-AES, NA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 하상퇴적물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비교를 위해, 석영반암 지역, 퇴적암류 지역, 아노르도사이트 지역과 편마암류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곤양지역 하상퇴적물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41.86{\sim}76.74\;wt.%,\;Al_{2}O_{3}\;9.92{\sim}30.00\;wt.%,\;Fe_{2}O_{3}\;2.74{\sim}12.68\;wt.%,\;CaO\;0.22{\sim}3.31\;wt.%\;,MgO\;0.34{\sim}3.97\;wt.%,\;K_{2}O\;0.75{\sim}0.93\;wt.%,\;Na_{2}O\;0.25{\sim}1.92\;wt.%,\;TiO_{2}\;0.40{\sim}3.00\;wt.%,\;MnO\;0.03{\sim}0.21\;wt.%,\;P_{2}O_{5}\;0.05{\sim}0.38\;wt.%$이다. 하상퇴적물의 미량성분원소 및 희토류원소 함량은 $Cu\;7{\sim}102\;ppm,\;Pb\;15{\sim}47\;ppm,\;Sr\;48{\sim}513\;ppm,\;V\;29{\sim}129\;ppm,\;Zr\;31{\sim}217\;ppm,\;Li\;14{\sim}94\;ppm,\;Co\;5.6{\sim}32.1\;ppm,\;Cr\;23{\sim}259\;ppm,\;Cs\;1.7{\sim}8.7\;ppm,\;Hf\;2.1{\sim}109.0\;ppm,\;Rb\;34{\sim}247\;ppm,\;Sc\;4.5{\sim}21.9\;ppm,\;Zn\;24{\sim}609\;ppm,\;Sb;0.8{\sim}2.6\;ppm,\;Th\;3{\sim}213\;ppm,\;Ce\;22{\sim}1000\;ppm,\;Eu;0.7{\sim}5.3\;ppm,\;Yb\;0.6{\sim}6.4\;ppm$의 범위를 보인다.

한국, 일본, 러시아 용암동굴 형성층의 형광X선 분석과 편광현미경적 연구 (XRF Analysis and Polarizing Microscopic Study of the Lava Cave Formation, Korea, Japan and Russia)

  • Sawa, Isao;Furuyama, Katsuhiko;Ohashi, Tsuyoshi;Kim, Chang-Sik;Kashima, Naruhiko
    • 동굴
    • /
    • 제74호
    • /
    • pp.23-31
    • /
    • 2006
  • (1) Kaeusetgul Cave in Kimnyong-Ri, Jeju-Do, Korea. Kaeuset-gul Cave (KC) is situated in NNE area of the Manjang-gul cave (125m a.s.l.). Kaeuset-gul Cave lies at $126^{\circ}45'22"$ E in longitude and $33^{\circ}33'09"$ N in latitude. The coast belong Kimnyeong-Ri, Kujwa-eup, Jeju-Do. Altitude of the cave-entrance is 10m and length of the cave is 90m. Lava hand-specimens of KC are studied by X-ray fluorescence analysis (XRF). Average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specimens from KC is as follows (wt.%); $SiO_2=47.03$, $TiO_2=3.16$, $Al_2O_3=18.41$, FeO*=13.53, MnO=0.14, MgO=5.05, CaO=8.66, $Na_2O=2.81$, $K_2O=0.67$, $P_2O_5=0.55$ in KC. Polarizing microscopic studyindicates that these specimens are described of alkali-basalt. (2) Tachibori Fuketsu (Cave) in Shizuoka Prefecture, Fuji Volcano, Japan Tachibori Fuketsu lies attoward the south in skirt of the Fuji volcano, $138^{\circ}42'04"$ east longitude and $35^{\circ}18'00"$ north latitude. The location of cave entrance is 2745, Awakura, Fujinomiya-shi, Shizuoka Prefecture. The above sea level and length of Tachibori Fuketsu are 1,170m and 82m. Average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specimens from cave areas follows (Total 100 wt.%) ; ($SiO_2$=50.52, $TiO_2$=1.69, $Al_2O_3$=15.47, FeO*=13.13, MnO=0.20, MgO=5.97, CaO=9.17, $Na_2O$=2.52, $K_2O$=0.94 and $P_2O_5=0.40).$ Polarizing microscopic study indicates that these specimens may belong to tholeiite-basalt series. According to polarizing microscopic study, Au (Augite), P1 (Plagioclase), and O1 (Olivine) are contained as phenocryst minerals. (3) Gorely Cave in Kamchatka Peninsula, Russia Gorely caldera is located at the southeastern part of Kamchatka Peninsula, about 75km southwest of Petropavlovsk-Kamchatskiy.. Gorely lava caves are situated in NHE area of Mt. Gorely volcano (1829m a.s.1.). One of lava cave (Go-9612=K-1) lies at $158^{\circ}00'22"$ east longitude and $52^{\circ}36'18"$ north latitude. The elevation of cave entrance is about 990m a.s.1. and the main cave extends in the NNW direction for about 50m by 15m wide and 5m in depth. The cave of K-3is near the K-1 cave. "@Lava hand-specimens K-1 and K-3 caves are studied by X-ray fluorescence analysis and polarizing microscopic observation. Average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specimens from these caves are as follows (wt.%) ;($SiO_2$=55.12, $TiO_2$=1.25, $Al_2O_3$=16.07, T-FeO* =9.41, MnO=0.16, MgO=5.01, CaO=7.21, $Na_2O$=3.39, $K_2O$=1.92, $P_2O_5$=0.45) and these values indicate that the Gorely basaltic andesite belong to high alumina basalt. Polarizing microscopic study indicates that these specimens are described of Augite andesite.

솔잎가지 표면에 침착된 입자상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대기오염 지표로서의 가능성 고찰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posited particles on surface of pine leaves as biomarker for air pollution)

  • 정다위;최정희;이장호;이수용;이하은;박기완;심규영;이종천
    • 분석과학
    • /
    • 제31권6호
    • /
    • pp.247-258
    • /
    • 2018
  • 본 연구는 대기오염 영향에 따라 주변의 오염도를 식물로 평가할 수 있는 여부를 고찰하기 위한 연구이다. 국내 자생하는 소나무의 1년생 솔잎가지를 대상 평가지표로 선택하였으며, 채취지점은 공단지역 주변의 공원 2곳, 상대적으로 오염원이 적다고 예상되는 도시지역 공원 2곳을 선정하였다. 대상 채취지점에서 소나무 10 그루 이상에서 지상 2 m 이상의 솔잎가지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솔잎가지 표면에 침착된 입자상 물질에 대한 분석항목은 입도분포, 전자현미경의 표면촬영, 먼지제거율, 납 등 중금속,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유기물질이었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탈착시킨 침착된 입자상 물질의 입도는 $0.4{\mu}m{\sim}200{\mu}m$ 범위로 나타났고, $10{\mu}m$ 이하의 입도는 20 % 수준이었다. 솔잎가지에 침착된 입자상 물질의 양은 평균 0.636 mg (0.450 mg~0.825 mg) 이었고, 강수장치에의한제거율은 평균 18.8 % (10.0 %~27.6 %)로 나타났다. 고주파전처리장치로 산전처리한 후 ICP/MS로 측정한 입자상 물질의 중금속 농도는 As 18.8~26.3 mg/kg, Be 0.08~0.13 mg/kg, Cd 0.06~0.08 mg/kg, Cr 4.91~17.8 mg/kg, Cu 5.26~405 mg/kg, Fe 1,930~2,670 mg/kg, Pb 3.03~28.1 mg/kg, Mn 26.9~42.8 mg/kg, Ni 2.66~10.4 mg/kg, Al 4,560~8,730 mg/kg, Ba 2,500~6,120 mg/kg, Rb 5.27~17.8 mg/kg, Sr 40.9~95.3 mg/kg, Zn 4,030~8,260 mg/kg 범위이었다. 침착된 입자상 물질의 세척액을 액-액 추출 정제한 후 GC/MS/MS로 분석한 PAHs의 농도는 ${\Sigma}PAH_{16}$은 1.179~12.396 mg/kg, ${\Sigma}PAH_7$은 0.147~0.741 mg/kg 범위이었다.

대기 중 PM2.5의 중금속 성분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of PM2.5 in Atmosphere)

  • 전혜리;최수현;임지영;박희진;홍은주;손부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3-240
    • /
    • 2012
  • Objectives: The changes in atmospheric $PM_{2.5}$ concentrations were extensively studied in one metropolitan city (Incheon), two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Gunsan, Cheonan), and a rural area (Gosan in Jeju).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Cr, Mn, Fe, Ni, Cu, Zn, Al, Pb) and the component features of $PM_{2.5}$ were determined for these areas. Methods: This study sampled $PM_{2.5}$ at the designated locations in the metropolitan (Incheo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Gunsan in Jeonbuk and Cheonan in Chungnam), and rural area (Gosan in Jeju) to investigate concentrations with a sampling device (Sequential sampler, APM Eng., Korea). Sampling was undertaken over months, from June 26 to November 26, 2009. Sampling was conducted a total of 44 times, with routine sampling at intervals of six days (24 total times) and intensive sampling (20 total times) during the summer and fall. Mass concentration of $PM_{2.5}$ was evaluated and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Cr, Mn, Fe, Ni, Cu, Zn, Al, Pb) were analyzed. Results: The geometric average of concentrations of $PM_{2.5}$ per district was $35.289{\mu}g/m^3$ for Cheonan, $29.955{\mu}g/m^3$ for Incheon, $24.119{\mu}g/m^3$ for Gunsan, and $18.773{\mu}g/m^3$ for Jeju, respectively.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_{2.5}$ in Cheonan was the highest. The seasonal concentration distributions per district showed Cheonan $33.387{\mu}g/m^3$, Incheon at $31.550{\mu}g/m^3$, Gunsan $22.900{\mu}g/m^3$, and Jeju $18.900{\mu}g/m^3$ in the summer. For the autumn, the concentrations were $36.873{\mu}g/m^3$ in Cheonan, $28.625{\mu}g/m^3$ in Incheon, $25.227{\mu}g/m^3$ in Gunsan, and $18.667{\mu}g/m^3$ in Jeju.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the concentration showed a tendency to rise during the autumn in all of these regions with the exception of Incheon. For heavy metal distribution per district, Fe showed an elevated concentration during the summer while high concentrations of Pb and Zn occurred during the autum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tmospheric factors affected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for setting environmental air standards focusing on a $PM_{2.5}$ recep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