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ral valve replacement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초

Management of Recurrent Paravalvular Leakage in a Very High-Risk Patient: A Case Report

  • Park, Sung Jun;Kim, Young Woong;Yoo, Jae Suk;Kim, Joon Bum;Lee, Jae 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59-62
    • /
    • 2015
  • Interventional device closure has emerged as a less invasive alternative to surgery in the management of paravalvular leakage. However, this procedure involves various problems such as a high probability of residual leakage or hemolysis. Here, we report a case of residual paravalvular leakage despite two attempts at interventional closure in a patient with a history of four previous mitral valve replacements. The fifth operation for the primary repair of paravalvular leakage was performed successfully. Careful evaluation before the procedure and specially designed devices are essential for the interventional treatment of paravalvular leakage. Surgery can be performed adequately in the management of paravalvular leakage even in high-risk patients.

Edwards Duromedics 기계판막엽 탈출 - 1례 보고 - (Valve Leaflet Escape of Edwards Duromedics Mechanical Valve - A Case report -)

  • 윤영남;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60-63
    • /
    • 2002
  • Edwards Duromedics 기계 판막은 1982년 임상적 사용이 시작되었으며, 여러 변화를 거쳐서 현재까지 사용중이다. 기계판막과 관계되는 합병증으로 혈전색전증, 심내막염, 판막부전, 판막염 탈출 및 파손 등이 있으며 판막엽 탈출은 아주 드물게 보고되어 있다. 40세 남자가 1996년 11월 Edwards Duromedic 기계판막(#31,모델9210R)으로 승모판 치환술 및 삼첨판륜 성형술을 시행받은 후 외래 추적관찰 중 1시간 전부터 시작된 급성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심초음파 및 심장 투시촬영상 판막부전으로 진단하여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하나의 기계판막엽이 탈출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기계판막을 제거하고 St. Jude 기계판막으로 승모판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시행한 복부 단층 촬영 및 투시 촬영에서 복부대동맥 분지 부위에서 탈출된 판막엽을 발견하였으며 외래 추적관찰 중 제거를 계획한 후 퇴원하였다.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임상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Cardiac Surgery Using Minimal Incision)

  • 김광호;김정택;이서원;김혜숙;임현경;이춘수;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73-378
    • /
    • 1999
  • 배경: 최근에 시작된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은술 환자에게 미용상 효과가 좋으며, 통증이 적으며 빠른 회복을 가져온다. 본 교실에서는 그간 실시한 소절개심장수술의 현황을 임상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이후 1998년 11월까지 총 31례의 소절개술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실시하였다. 남녀 비는 17:14였으며, 1세에서 75세까지의 연령분포를 보였다. 흉골좌연종절개술을 실시한 예는 9례로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공심폐기의 사용없이 박동상태에서 내유동맥으로 좌전행지관상동맥에 우회술을 실시하였는데, 그 중 1례는 내유동맥의 비꼬임으로 술 후 1주일 째 재수술한 경우였다. 흉골우연종절개는 1례로 승모판교련절개술 후 재발된 협착증에 대해 승모판치환술을 실시한 경우였다. 소흉골절개선으로 수술한 예는 21례로, 승모판치환 및 삼첨판성형술이 6례, 승모판치환술 5례, 중복판치환술 2례, 대동맥판치환술 1례, 좌심방점액종 1례, 심방중격결손증 2례, 심실중격결손증 2례, 우심실 자창 1례였다. 처음 5례는 T형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으나 경험이 쌓이면서 대동맥기저부의 노출이 좋고 흉골 봉합시 안정감이 높은 화살모양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시간, 인공심폐 구동시간, 대동맥차단시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수술 1일까지의 흉관배액양, 흉관 거치기간, 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은 기존의 정중흉골절개선 예들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사망 예는 2례였으며 1례는 흉골소절개선으로 승모판치환 수술 1일에 대동맥 삽관부위의 파열로 출혈 사망하였고, 다른 1례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 후 2일에 부정맥으로 사망하였다. 사망의 원인과 수술절개선의 선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합병증은 뇌색전증 1례, 창상의 혈종 1 례가 있었다. 결론: 소절개선으로도 정중흉골절개선과 마찬가지로 심장 수술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조직판막을 이용한 승모판 치환술의 중기 성적 (Midterm Results of the Bioprosthesis in Mitral Position)

  • 조현진;이재원;정성호;제형곤;주석중;송현;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695-702
    • /
    • 2008
  • 배경: 심장 판막 수술에서 조직판막 혹은 기계판막의 선택은 중요한 문제이고, 조직판막의 내구성이 그 결정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승모판에서 조직판막 이식 후 중기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7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조직판막을 이용하여 승모판 치환술을 받은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16명의 환자에서 236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63{\pm}15$세, 남녀 비는 1 : 3이었다. 술 후 총 추적 관찰 기간은 760.2 patient-years,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1.9{\pm}40.7$개월 ($0{\sim}212$개월)이었고, 외래 경과 기록과 의무 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 사망은 18명(8.3%)이었고, 13명은 승모판 치환술과 다른 동반 수술을 같이 시행한 경우였다. 5년, 8년에서 생존율은 각각 $79.9{\pm}3.5%$, $65.5{\pm}5.5%$이었으며, 구조적 판막 손상으로부터의 5년, 8년 회피율(freedom from structural valve deterioration, SVD)은 각각 $96.2{\pm}2.2%$, $85.9{\pm}5.3%$이었다. 재수술의 5년, 8년 회피율(freedom from Reoperation)은 $96.0{\pm}1.7%$$, $90.4{\pm}4.2%$, 구조적 판막 손상으로 인한 재수술의 회피율(freedom from Reoperation for, SVD)은 $98.1{\pm}1.2%$$, $92.3{\pm}4.1%$이었다. 수술 전 위험인자의 다변량 분석에서 작은 판막(Valve size 25 and 27 mm)을 사용한 경우가 재수술의 유의한 위험 인자였으며, 중등도 이상의 좌심실 기능부전(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LVEF < 40%)은 구조적 판막 손상과 사망률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승모판의 조직판막 치환술에서 생존율과 재수술의 회피율은 만족할 만한 중기 성적을 보여주나, 구조적 판막 손상의 회피율은 비교적 낮은 성적을 보였다. 수술 후 8년을 전후해서 급격한 손상의 진행을 보이므로, 8년을 기준으로 해서 잦은 경과 관찰과 심초음파 검사는 판막 손상의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될 것이며, 더 많은 환자 수에서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승모판치환수술의 장기 임상성적 (Long Term Experience of Mitral Valve Replacement)

  • 조용길;류지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102-1110
    • /
    • 1996
  • 1955년 9월 부터 1995년 7월까지 230례의 승모판치환수술이 시행되었다. 이 중 남자는 77명 여자가 153명이 었고 평균 연령은 35.7였다. 동반된 수술은 대동맥 판막치 환술(40례), 삼첨 판윤성 형술(25례), 대동맥판치환술+삼첨판성형술(8례),삼첨판치환술(2례)등이 있었다. 139례의 기계판막과 91개의 조직판막이 치환되었으며, 판막의 크기와 사용된 수는 31 mm(75개), 29mm(66개), 33mm(46개), 27mm(29개) 및 25mm(14개) 등이었다. 수술전 NYHA 기능적 등급은 II(76례), III(123례), IV(31례)였으며 술후 I(175례), II(49례) 등으로 호전되었다. 술후 조기 합병증은 28에서 발생하였으며 저심박출증씨 8례로 가장 많았다. 조기사망은 6례 (2.6%)였으며 사망원인은 저심박출증(2례), 부정맥(2례), 심장파열(2례) 등이 었다. 총 추적 기간 누계는 764.4 환자-년이었으며 평균추적 기간은 43.9개월이었다. 판막과 유관한 장기 합병증은 21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중 판막파괴가 10례(1.3%1환자-년), 항응혈제 출혈 5례(0.7%/환자-년), 심내막염 4례(0.5%1환자-년) 혈색전증 2례(0.3%/환자-년) 등이었고 심장에 연유한 사망은 5례(0.7%/환자-년)에서 발생하였다. 9년 장기추적중 합병증 및 사망비발생률이 판막 상호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판막파괴비 발생률이 기계 판막(100%)과 조직 판막(34.4%) 사이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p=0.032). 9년간 보험통계적 생존률은 96.6%였다.

  • PDF

A Korean Multi-Center Survey about Warfarin Management before Gastroenterological Endoscopy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Mechanical Valve Replacement Surgery

  • Son, Kuk Hui;Choi, Chang-Hyu;Lee, Jae-Ik;Kim, Kun Woo;Kim, Ji Sung;Lee, So Young;Park, Kook Yang;Park, Chul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5호
    • /
    • pp.329-336
    • /
    • 2016
  • Background: Guidelines for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in the West allow the continued use of warfarin under therapeutic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level. In Korea, no guidelines have been issued regarding warfarin treatment before EGD. The authors surveyed Korean cardiac surgeons about how Korean cardiac surgeons handle warfarin therapy before EGD using a questionnaire.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make decisions regarding the continuation of warfarin therapy in two hypothetical cases.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cardiac surgeons and consisted of eight questions, including two case scenarios. Results: Thirty- six cardiac surgeons at 28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52.7% of the participants chose to stop warfarin before EGD in aortic valve replacement patients without risk factors for thromboembolism. When the patient's INR level was 2, 31% of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would choose to continue warfarin therapy. For EGD with biopsy, 72.2% of the participants chose warfarin withdrawal, and 25% of the participants chose heparin replacement. In mitral valve replacement patients, 47.2% of the participants chose to discontinue warfarin, and 22.2% of the participants chose heparin replacement. For EGD with biopsy in patients with a mitral valve replacement, 58.3% of the participants chose to stop warfarin, and 41.7% of the participants chose heparin replacement.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ttitudes regarding warfarin treatment for EGD are very different among Korean surgeons. Guidelines specific to the Korean population are required.

심장조직판막치환: 7 년간의 술후 장기성 (Cardiac valve replacement: a 7-year long-term evaluation)

  • 이상호;성상현;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4호
    • /
    • pp.602-614
    • /
    • 1983
  • Six hundred fourteen consecutive cases of bioprosthetic cardiac valve replacement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76 through December 1982 were reviewed. A total of 748 tissue valves [534 Ionescu-Shiley valves, 144 Hancock valves, 46 Angell-Shiley, and 24 Carpentier-Edwards] were implanted in 610 patients. Of these, 477 had single valve replacements [403 mitral, 60 aortic, and 14 tricuspid] including three REDO MVR and one REDO AVR. The remaining 129 had double valve replacements [95 AVR and MVR and 34 MVR and TVR] and 8 had triple valve replacement.592 cases were evaluated. Overall early mortality rate [within 30 days of operation] was 7.1% [6.2% in single valve replacement, 10.2% in double valve replacement, and 16.7% in triple valve replacement]. Leading causes of mortality were low cardiac output or myocardial failure and ventricular arrhythmias. The follow-up period was from one month to 7 years with a cumulative follow-up of 906.6 patient-years [mean 1.53 years]. The late mortality was 1.6%, 3.9%, 0%, 2.6%, 6.6% and 2.0% per patient-year for MVR, AVR, TVR or triple valve replacement, AVR+MVR, MVR+TVR and total, respectively. Actuarial analysis of late results including early mortalities indicates an expected survival rate of 87.6+1.8% at 3 years and 85.92.4% at 7 years for all cases. We also analyzed actuarial survival rate between groups of each valve replacement [AVR, TVR, Double valve, and Triple valve] and the tissue valve groups in MVR. We experienced 7 cases [0.77% per patient-year] of confirmed endocarditis, two of which were fatal. Valve failure-free rate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onfirmed cases were 97.5% at 4 years, 87.5% at 7 years, and 88.3% at 6 years for Ionescu-Shiley, Hancock and Angell-Shiley valves, respectively. The occurrence rate of thromboembolism was 2.0% per patient-year in total cases, although almost all the patients were given anticoagulant therapy for one year. The occurring rate in MVR was 1.5% and 2.7% per patient-year for Ionescu-Shiley and Hancock valve group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actuarial rate free from thromboemboli between Ionescu-Shiley and Hancock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 less than 0.001]. Thromboembolic events beyond the period of anticoagulation therapy mainly occurred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The actuarial thromboemboli free survival was 95.71.4% at 3 years and 80.17.3% at 7 years. The incidence of hemorrhagic complications was 1.2% per patient-year [fatality 0.55% per patient-year] for anticoagulated patients. Although our clinical data favorably compares with results from other reports, our results suggest that anticoagulant therapy be given on a short-term basis or not at all to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s. Long-term therapy with antiplatelet drugs is probably inevitable with patients who have thromboembolic risk factors [such as atrial fibrillation].

  • PDF

St. Jude 기계판막의 임상성적 (Clinical Results of the St. Jude Medical Cardiac Valve)

  • 장기경;윤후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959-963
    • /
    • 1996
  • 저자들은 1988년 9월부터 1993년 7월까지 42례의 환자(승모판막치환 25례, 대동맥 판막치환 11례, 중복판막치환 6례)에서 St. Jude Medical 판막치 환술을 시행하였다. 판막치환수술과 다른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예는 5례(11.9%)있었다. 조기사망율은 4.8%(2례)였고 만기사망율은 9.5%(4례)였다. 수술 후 생존자를 대상으로 총 179.81환자-년의 추적이 이루어졌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54개월이었고 추적률은 100%이었다. 판막과 관련된 만기사망원인으로는 심내막염이 3례, 원인을 밝히지 못한 경우가 1례 있었다. 판막의 구조적 실패와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한 례는 없었다. 5년에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90$\pm$ 4.7%였고 판막실패없는 빈도는 90$\pm$4.7%, 혈전색증없는 빈도는 89.7$\pm$4.8%, 심내막염없는 빈도는 92.3 $\pm$4.2%였다.

  • PDF

승모판 폐쇄부전중에서 승모판막 재건술 및 중기성적 (Mid-term Results of Mitral Valve Repair in Mitral Regurgitation)

  • 윤양구;장병철;유경종;김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24-31
    • /
    • 1996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혈관 센터 심혈관외과에서는 1992년 1월부터 1995년 2월까지 3년 2개월 동안 36명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환자에게 승모판막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41.8세였고 연령분포는 10세에서 71세였으며 환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 19명 여자 17명이었다. 판막 병변의 원인은 이형성이 17례, 류마티스성이 12례, 심내막염이 2례, 기타 기능적 변화가 5례였다. 수술 수기는 봉합성형술 35례, 첨판의 절제 25례, 건삭의 단축 9례, 교련절개술 1례에서 시행되었다. 수술 수기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위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시술하였다. 수술 당시의 환자의 임상소견은 NYHA 기능적 분류 3 또는 4등급이 67%였고, 도플러 심초음파 검사상 3또는 4등급이 83%로 대부분 중등도 이상의 질환 양터를 보였다. 승모판 재건술후 혈류역학적 수치, 심초음파 소견, 환자의 임상 상태등은 전반적으로 호전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대 에서 경식도 심초음파 검사를 인공 심폐기로부터 이탈 직후 실시하였고, 검사상 승모판막의 폐쇄부전의 정도가 2등급 이상일때는 재수술을 즉시 시행하였다. 술후 평균 외래 추적 관찰기간은 15개월(3~40개월)이다. 수술\ulcorner 병원 사망은 없었고 외래 추적 관찰중 2명의 사망 환자가 발생하여 사망율은 5.5%였으며 사망의 원인은 심부전이었다 2명의 환자에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재발로 술후 4일과 19일째 승모판막 치환술로 재수술 받았다. 재수술 받게된 원인은 봉합사의 파열이었다. 이상에서 보면 수술 직후에 실시한 경식도 심초음파 검사는 승모판막의 재건술시 수술의 결과를 판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고 정확한 진단 방법으로 사용이 권장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며, 승모판막의 재건술은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좋은 수술 방법이고, 본원에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급성심근경색 후 발생한 유두근 파열로 인한 승모판 판막 폐쇄부전의 체외막 산소화 장치하 승모판막 치환술 - 1예 보고 - (Operative Treatment of Mitral Valve Regurgitation due to Papillary Muscle Rupture from Acute Myocardial Infarction Under ECMO -A case report-)

  • 주석;주석중;정성호;제형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72-175
    • /
    • 2010
  • 61세 남자 환자가 급성 흉통을 주소로 전원 되었으며, 심전도상 ST분절 상승 소견 및 흉통으로 급성 심근 경색 진단 하에 심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좌회선동맥 둔각변연분지의 완전 폐색 소견 보여 대동맥 내 풍선장치 삽입 하에 혈관 중재술을 시행하였으나, 성공적인 혈관 중재술 후에도, 쇼크 지속되어 체외막 산소화 장치를 삽입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상태는 호전되지 않았고, 청진 및 심초음파상 심한 급성 승모판 폐쇄 부전 발견되어 승모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이틀째 체외막 산소화 장치 및 대동맥 내 풍선장치를 제거할 수 있었고, 수술 후 48일째 자가 보행 가능한 상태로 퇴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