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eral Content

검색결과 2,109건 처리시간 0.027초

냉풍건조 멸치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old Air Dried Anchovies)

  • 김인수;이태기;염동민;조문래;박해욱;조태종;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73-980
    • /
    • 2000
  • 냉풍건조 멸치의 품질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냉풍건조 멸치의 식품학적 품질 특성을 천일건조 멸치 및 열풍건조 멸치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냉풍건조 멸치의 경우 열풍건조 멸치나 천일건조 멸치 에 비하여 과산화물 값은 낮았고, 고도불포화지방산 잔존율은 높아 건조 중 지질산패가 가장 적게 진행되었다. 냉풍건조 멸치는 천일건조 멸치 및 열풍건조 멸치에 비하여 L값의 경우 높았고, a값 및 b값의 경우 낮아, 냉풍건조 멸치가 기타 건조법으로 제조한 멸치에 비하여 색상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색도, 산패취 및 형상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냉풍건조 멸치가 기타 건조법으로 제조한 마른 멸치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냉풍건조 멸치는 칼슘 및 인과 같은 무기질과 구성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천일건조 멸치 및 열풍건조에 비하여 차이 없이 풍부하면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이들 멸치보다 오히려 약간 높아, 천일건조 멸치에 비하여 건강 기능적인 면에서 약간 우수하리라 판단되었다. 맛 및 엑스분 추출정도를 알 수 있는 열수 가용성 질소함량은 냉풍건조 멸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천일건조 멸치, 열풍건조 멸치의 순이었다. 이상의 화학적(지질산패 정도, 맛 및 영양특성) 및 관능적(색도, 산패취, 형상등)검사로 미루어 냉풍건조 멸치가 기존의 천일건조 멸치 및 열풍건조 멸치에 비하여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동화(진사) 안료의 재료과학적 분석 및 발색특성 (Material Analysis and Color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opper-red Pigment (Jinsa))

  • 김지영;조현경;전병규;조남철;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40
    • /
    • 2011
  • 동화(진사)는 구리를 원료로 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적색 무기안료로써 고려와 조선시대에 도자기 채회 안료로 사용되었으나 생산과 발색이 어려워 소량의 작품만 전해진다. 조선시대의 고문헌에 의하면 동광석의 산지는 한국 전역에 걸쳐 수많은 지역이 알려져 있으며, 일부는 오늘날까지 가행 중이다. 한국에서 산출되는 가장 흔한 동광석 광물은 황동석($CuFeS_2$)과 공작석($Cu_2CO_3(OH)_2$)이며 지역에 따라 지표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곳도 많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과거에 동화 원료를 수급하는데 자원환경적 및 지리적인 이점을 확보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원광석을 대상으로 발색실험을 수행한 결과, 두 광석광물 모두 적색 발색력이 우수하였다. 중요한 발색원소는 구리이며, 구리 입자는 유약층에서 대부분 $5{\mu}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하고 균질한 분산 상태를 보인다. 또한 동화안료 내의 구리 함량과 입도 크기에 따른 분산특성은 선명한 적색도와 높은 투명도를 제어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djacent Coastal Area)

  • 김석윤;하정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8-278
    • /
    • 2001
  • 다양한 퇴적환경이 존재하는 낙동강 하구 및 주변 연안역에서 총 40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채취한 표층 퇴적물 시료에 대해 입도분석, 유기물, 탄산염, 점토광물 및 금속원소 함량 분석을 실시하여 표층 퇴적물의 특징적인 퇴적상 및 특성을 파악하고 하구둑 건살이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환경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지역 표층 퇴적물의 퇴적상은 퇴적물의 지역적 분포특성 및 퇴적물 특성에 따라 사질 퇴적상 분포역 (TYPE I),니질 퇴적상 분포역 (TYPE II), 그리고 이 두 퇴적상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사니질 혼합 퇴적상 분포역 (TYPE III)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이러한 두 퇴적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사니질 혼합 퇴적상은 퇴적물의 특성으로 보아 낙동강으로부터의 직접적인 공급뿐만 아니라 흥수나 폭풍시 진해만에서의 재부유된 부유성 세립 퇴적물의 공급에 의해 형성된 복합기원의 퇴적상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하구둑이 완공된 이후 연안사주를 벗어난 지역까지 계속해서 사질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하구 지역의 퇴적환경 변화는 낙동강 상류로부터의 니질 퇴적물 유입량 감소, 하구지역의 수력학적 에너지 변화, 그리고 이 지역 주변에서 실시된 인위적인 작업에 의한 영향 등의 요인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어획지 차이에 따른 마른멸치의 품질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among Boiled-Dried Anchovies Caught from Different Sea)

  • 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3-178
    • /
    • 2002
  • 어획지에 따른 마른멸치의 품질을 제시하기 위하여 남해산, 동해산 및 서해산 마른멸치의 식품학적 품질특성 (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과 같은 구성성분,과산화물값 및 색도와 같은 지질산패도, 휘발성염기질소, 형상 등과 기호도 등)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남해안산 마른멸치의 수분함량은 $22.9\%$로 동해안산 마른멸치($27.4\%$) 및 서해안산 마른멸치 ($27.8\%$)에 비하여 약간 낮았다. 그러나, 산불용성 회분은 어획지에 관계없이 0.29-$0.34\%$의 범위로 차이가 없었다. 남해안산 마른멸치는 동해안산 및 서해안산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 함량 (건물 당), 무기질 함량 (건물 당) 및 지방산 조성의 경우 차이가 없었고, 과산화물값 및 (20:5n-3+22:6n-3)/16:0등은 미미한 정도에서 우수하였으며, 색조 및 형상과 같은 관능 특성 은 확연히 우수하였다. 이상의 화학적 분석 및 관능 평가에 의한 어획지에 따른 마른멸치의 품질은 남해안산이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서해안산 마른멸치 $\ge$ 동해안산 마른멸치의 순이었다.

생선 곰탕 잔사를 이용한 스낵의 제조 (Preparation of Snack Using Residues of Fish Gomtang)

  • 허민수;박신호;김혜숙;지성준;김형준;한병욱;하진환;김정균;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7-102
    • /
    • 2008
  • 연어 프레임의 완전 이용을 목적으로 연어 프레임으로부터 곰탕 유사 제품을 개발한 후 남는 잔사를 이용하여 스낵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스낵의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수분활성 및 관능검사 등으로 미루어 보아 스낵의 제조를 위한 잔사의 믹스에 대한 최적 대체비율은 15%로 판단되었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잔사 분말 첨가 스낵이 14.8 g/100 g으로, 무첨가 스낵의 9.8 g/100 g에 비하여 높았다. 잔사분말 첨가 스낵의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9.9%), glutamic acid(14.7%) 및 proline(9.5%) 등이었다. 또한, 잔사 분말 첨가 스낵은 무첨가 스낵에 비하여 무기질(칼슘과 인) 및 고도불포화지방산(20:5n-3 및 22:6n-3 등)이 강화되었다.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전통된장 에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효과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Traditional Doenjang Added Sea Tangle)

  • 최승필;이의용;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2-328
    • /
    • 2002
  • 메주와 다시마 그리고 이들 재료를 사용하여 자연발효에 의해 제조한 전통된장에 대한 일반성 분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된장에 비해 대부분의 무기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200 $\mu\textrm{g}$/plate)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다시마 분말 5% 첨가 된장이 다른 첨가 농도보다 높은 97.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NQO에서도 5%의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된장이 S.typhimurium TA98 균주와 TA100 균주에 대해서 시료고농도 200 $\mu\textrm{g}$/plate에서 각각 60.2%와 69.1%로 다른 첨가군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B($\alpha$)P에 대한 억제효과에 서는 시료의 농도 200$\mu\textrm{g}$/plate에서 TA98, TA100 두균주에 대하여 다시마 분말 5% 첨가 된장이 각각 71.7%와 87.3%로 다른 첨가군보다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rP-P-1에 대해서는 두 균주가 시료고농도 200 $\mu\textrm{g}$/plate에서 각각 66.6%와 80.8%로 다른 다시마 분말 첨가 농도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5%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된장이 1 mg/mL에서는 A549가 55.4%, HepG2가 87.6% 그리고 KATOIII이 89.5%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습식분쇄 시간에 따른 통메밀 분말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whole buckwheat by wet grinding over time)

  • 조용준;서지형;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1-1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활용도가 낮은 메밀껍질을 활용하고자 효소처리 및 습식분쇄에 따른 통메밀 분말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식 분쇄 통메밀 분말의 입도 분석 결과 메밀쌀의 평균 입자크기는 74.84 ${\mu}m$로 통메밀 분말에 비하여 약 4~5배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식분쇄 90분 이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메밀쌀에 비하여 통메밀 분말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분쇄가 진행될수록 조금씩 상승하였다. Rutin 함량 조사결과 메밀쌀 44.10 ppm에 습식분쇄가 진행될수록 함량이 상승하여 습식분쇄 90분에서 152.90 ppm까지 증가한 뒤 이후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Quercetin의 경우 습식분쇄 시간에 따른 큰 함량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 조사결과 메밀쌀에 비하여 통메밀 분말에서 Ca, K 및 Mg의 함량이 높게 증가하였으며 Zn 및 Mn이 통메밀 분말에서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은 통메밀 분말에서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22.27 mg%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lutamic acid는 14.58 mg%에서 30.45 mg%로 두 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통메밀 분말 제조를 위한 습식분쇄 시간은 90분이 적절하였으며 통메밀 분말의 경우 메밀껍질의 유효성분의 활용이 가능하였으며 습식분쇄과정을 통한 식감개선이 가능하여 차후 다양한 가공제품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발포제 함량에 따른 경량 다공성 지오폴리머의 밀도와 강도 특성 (Effect of Foaming Agent Content on the Apparent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Geopolymers)

  • 이수정;안응모;조영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363-370
    • /
    • 2016
  • 경량 지오폴리머는 경량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단순한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탁월한 내열 성능까지 갖춘 재료이다. 고형 지오폴리머의 밀도는 발포제와 지오폴리머 배합물과의 화학반응으로 발생되는 가스가 기공을 형성함으로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함량의 알루미늄 분말을 첨가하여 다공성 지오폴리머의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량 지오폴리머의 겉보기 밀도는 알루미늄 분말 함량이 0.025, 0.05, 0.10wt% 범위에서 0.7에서 $1.2g/m^3$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형 지오폴리머의 겉보기 밀도 값 $1.96g/cm^3$의 약 37~60%에 해당하였다. 경량 다공성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는 고형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 45MPa의 6~18%에 불과하였다. 고형 지오폴리머와 경량 지오폴리머 겔의 미세조직 형상은 유사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첨가한 지오폴리머 배합물의 작업성은 섬유 보강 시멘트 콘크리트에서와 마찬가지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경량 다공성 지오폴리머는 현무암과 유사한 외관뿐만 아니라 뛰어난 내열 성능을 갖기 때문에 타일이나 보드 등 건축용 내장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골 내 결손 치료 시 법랑 기질 단백질과 이종골 이식 및 혈소판 농축 혈장의 골 재생 효과에 대한 디지털 공제술의 정량적 분석 (The quantitative analysis by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on the effect of Enamel Matrix Protein and Platelet-Rich Plasma, combined with Xenograft in the treatment of intrabony defect in humans)

  • 한금아;임성빈;정진형;홍기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4호
    • /
    • pp.961-974
    • /
    • 2005
  • Various biological approaches to the promotion of periodontal regeneration have been used. These can be divided into the use of growth and differentiation factors, applic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and attachment factors and use of mediators of bone metabo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enamel matrix protein and platelet-rich plasma on the treatment of intrabony defect, with bovine-derived bone powder in humans by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12 teeth(experimental I group) were treated with enamel matrix protein combined with bovine-derived bone powder and 12 teeth(experimental II group) were treated with platelet-rich plasma combined with bovine-derived bone powder. The change of bone density was assessed by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in this study. The change of mineral content was assessed in the method that two radiography were put into computer program to be overlapped and the previous image was subtracted by the later one. Both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Mann-whitney Test using SPSS program for windows(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adiolucency in 3 months after surge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1 month after surgery in both groups(experimental I and II groups)(p<0.05). 2. The radiopacity in 6 months after surge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3 months after surgery in both groups(experimental I and II groups) (p<0.05). 3. In experimental I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 month and 6 months after surgery. 4. In experimental II group. the radiopacity in 6 months after surge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1 month after surgery(p<0.05).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I and II group at 1 month and 3 months after surgery, but the radiopacity in experimental II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6 months after surgery(p<0.05). In conclusion, platelet-rich plasma can enhance bone density than enamel matrix protein until 6 months after surgery.

마늘 flavor (Garlic flavor)

  • 김미리;안승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6-187
    • /
    • 1983
  • 마늘 flavor의 발현과 flavor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늘 flavor는 alk(en)yl-$\small{L}$-cysteine sulfoxide에 alliinase가 작용하여 생성된 alk(en)yl thiosulfinate에 의한 것으로 alk(en)yl기는 주로 allyl기이다. 마늘의 flavor세기는 성숙도 부위, 배양조건, 저장조건, 가공처리법에 따라 달라진다. 마늘의 flavor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마늘 재배시 토양내 유황의 함량이 많을수록 flavor 전구체의 생성량이 증가하여 flavor 세기가 커졌으므로, 충분한 양의 유황을 공급하되 alliin함량이 최대로 되기 위한 다른 무기질과의 조성비율 중 현재까지 연구된 2종류의 무기질 조성(NS : ${NO_3}^{-2}$, 40%, ${SO_4}^{-2}$, 60%, NP : ${NO_3}^{-2}$, 62%, ${PO_4}^{-3}$, 38%)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 너무 습하지 않은 토양에서 재배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마늘은 성숙함에 따라 인편내 alliin함량도 증가되므로 완전히 성숙한 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늘의 flavor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확후 저장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flavor 손실을 최소로 하여야 할 것이다. 자연조건에 저장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flavor 손실은 주로 호흡, 발아, 부패에 의한 것이므로 이를 억제하기 위한 저장방법으로 저온 저습저장, 예건처리, gas치환, 발아억제 처리등의 방법이 있으나 현재까지 경제, 실용성등을 고려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예건처리후 저온저습조건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가공처리된 마늘은 생마늘에 비하여 flavor가 상당히 많이 감소되는데 건조시켜 분말로 만들 경우, 건조방법에 따라 flavor 감소정도는 크지만 flavor 감소율이 적은 방법 (진공건조, 동결건조)이라도 그 손실률은 거의 50%에 달한다. 그외의 마늘 가공처리품들인 oil이나 extract등도 제조시 기질과 효소가 접촉하는 과정을 거칠 때 flavor의 손실이 크므로 되도록 이면 flavor 손실이 크지 않은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flavor를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thiosulfinate 합성에 의한 방법과 alk(en)yl-$\small{L}$-cysteine sulfo-xide-alliinase 분해물에 의한 방법, 그리고 $\small{L}$-5-alk(en)yl thiomethylhydantoin${\pm}$S-oxides에 의한 방법이 있으며 이들 방법에 의해 생마늘과 유사한 flavor를 얻을 수 있어 앞으로 식품첨가물로서 기대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