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ne waste dump site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용화광산 일대의 토양오염 및 물-광미 반응에 의한 중금속 용출 특성 연구 (Studies on Characterization of Soil Pollution and Variations of Heavy Metal Contents after Water-Tailings Reaction from Yonghwa Mine)

  • 강한;김영훈;장윤득;김정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1호
    • /
    • pp.85-93
    • /
    • 2013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leaching of contaminants from mine tailing by natural water and finally to estimate the leaching and transport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nts by rainfall. In order to identify contaminated heavy metal of soil, 17 soil, 2 tailing and 2 waste dump and 2 control samples were taken at mine area and analyzed total metal contents. The leac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distilled water. Cu, Pb, Zn was extracted from the reddish mine tailing in a short period time, especially the extraction rate of Cu (45.0%) was highest. The contaminants were leached from the yellowish mine tailing within an hour and the leaching rate of Cd (42.0%) and Zn (17.2%) were relatively high. The reddish soil from the waste dump showed leaching of Cu (5.1%), Pb (4.0%) and Zn (3.3%), however the leaching rate was low except Mi (14.2%). From the yellowish soil sampled from the dumping site, the leaching of Cu (8.2%) and Ni (9.7%) was high while the leaching of Zn (0.2%) were relatively low.

광산폐기물 적치장 침출수의 사후관리 우선순위 평가 (Priority Assessment of Leachate Management of Reclaimed Mine Waste Dump Sites)

  • 박창구;윤경욱;김정욱;정명채;이진수;지원현;이준학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771-77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광산폐기물 적치장 64개소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사후 관리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하여 침출수 수질, 유출량, 기타 영향요소 등의 평가항목들과 총 10가지의 세부 요소를 선정하고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가중치는 침출수의 수질 0.769, 유출량 0.147, 기타영향요소 0.084로 산출되어 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선정 시 수질부문이 설문조사 평가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총 64개 적치장 침출수 평가결과는 관리의 시급성에 따라 I~V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I 등급 10개소, II 등급 1개소, III 등급 1개소, IV 등급 33개소, V 등급 19개소로 평가되었다.

알럼 응집을 이용한 광산폐기물 적치장 침출수 내 불소 제거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Fluorine from Leachate of Reclaimed Mine Waste Dump Site Using Alum Coagulation)

  • 이상우;이우춘;김성희;정상헌;이보영;이상환;김순오
    • 광물과 암석
    • /
    • 제36권1호
    • /
    • pp.19-3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S광산의 광산폐기물 적치장 침출수에 함유된 불소의 처리를 위해(1) Ca계 물질을 이용한 공침법; (2) 활성탄과 비산회를 이용한 흡착법; (3) 알럼을 이용한 응집침전법 등을 이용한 불소(초기 농도 9.5 mg/L)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Ca계 물질을 이용한 공침법의 경우 최대 65.6%, 활성탄 흡착법 27.9%, 비산회 흡착법 71.5%, 알럼을 이용한 응집침전법은 최대 96.6%의 불소 제거 효율을 보였다. 또한 불소의 제거에 있어 높은 제거 효율을 보인 알럼을 이용하여 모의 침출수를 대상으로 실험실 내 반응조에서 수행한 연속 처리 공정 가능성 검토결과, 저농도(6.4 mg/L), 고농도(15.7 mg/L) 모의 침출수를 불소의 국내 청정 지역 배출수 허용 기준인 3 mg/L이하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치 규모 반응조 운영을 통한 현장 불소 제거 실험 결과, 적정한 운영 및 관리를 하는 경우 불소의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광산폐기물 적치사면의 불포화 특성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n the Monitoring System for Unsaturated Characteristics Variation in a Mine Waste-Dump Slope)

  • 송영석;정인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9-5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부산 임기광산 광산폐기물 사면을 대상으로 강우 침투에 따른 지반내 불포화 특성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불포화토 특성변화 측정유닛 및 시스템을 현장에 설치하였다. 불포화토 특성변화 측정시스템은 각종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자료를 저장, 관리 및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Data Acquisition System(DAS), Solar System 및 불포화토 특성변화 측정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장에 설치된 각종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강우, 체적함수비, 모관흡수력 등의 자료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를 살펴보면 강우시 체적함수비와 모관흡수력의 변화는 강우강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강우시와 건기시 지표면 부근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에서 측정된 모관흡수력은 5-35kPa, 체적함수비는 0.12-0.24 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하수위는 강우발생 직후 바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2-3일의 시간이 경과한 뒤 증가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