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on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Nursing Students)

  • 최윤숙;김명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10-222
    • /
    • 2019
  • 본 연구는 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대조군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소재한 간호대학 3학년 38명으로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군은 총 8회기에 걸쳐 MBCT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대해 두 집단의 차이를 규명하였는데 연구 결과 MBCT 프로그램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유의미한 효과가 규명되었으나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MBCT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이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으로 제언하였다.

기분장애 환자에서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에 따른 우울 증상과 다섯 가지 마음챙김 요소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the Five Facets of Mindfulness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through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 김남우;김혜영;조성준;안용민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4호
    • /
    • pp.212-218
    • /
    • 2017
  • Objectives We aimed to examine whether mindfulness skills are mediating the improvements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who practice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Methods A total of 19 patients with mood disord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 normal to mild depression group and a moderate depression group.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depressive symptoms, anxiety, quality of life, suicidal idea, and mindfulness skills which were measured by the Five Facets of Mindfulness Questionnaire (FFMQ) before and after MBCT course. Results The moderate depression group showed improvements through MBCT i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 but not i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The normal to mild depressi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through MBCT. The improvement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moderate depression group was predictable by improvements of the five facets of mindfulness, especially by 'observe' and 'non-react' component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currently depressive patients with moderate severity but not with normal to mild severity benefit from MBCT i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 The improvement of depressive symptoms was mediated by improved mindfulness skills through MBCT.

만성 우울증에 대한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의 치료기제와 임상적 적용 효과 (Therapeutic Mechanism of MBC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MBCT(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on Chronic Depression)

  • 최연희;변상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37-248
    • /
    • 2017
  •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MBCT)는 최근 들어 우울증의 치료와 재발방지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몇 년 전부터 MBCT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만성 우울증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MBCT의 치료기제를 살펴본 후 만성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MBCT 프로그램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에는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8명(40~55세)의 환자들이 참여하였으며 MBCT 프로그램 전 후 그리고 6개월 후의 마음챙김 수준, 탈중심화, 반추성향, 그리고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마음챙김(평균차이=1.37, p<0.05)과 탈중심화(평균차이=1.00, p<0.05)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반추성향(평균차이=-0.67, p<0.05)과 우울증상(평균차이=-9.5, p<0.05)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6개월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보아 MBCT는 우울증의 재발을 막기 위한 유지치료로서 임상장면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 치료가 불안 장애 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비교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Korean (MBCT-K) for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 신나연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1권1호
    • /
    • pp.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 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가 불안장애 환자의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4명의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으로 분석하였고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인지 치료 전후 불안과 우울은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인지치료는 불안과 우울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Z=-1.9, p=.06, Z=-2.9, p<.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마음 챙김 명상을 불안장애 환자에게 적용하고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신건강의학과 직원 대상의 마음챙김명상 기반 인지치료의 효과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n Psychiatric Staff)

  • 강범승;양혜정;홍민하;김현수;송후림;김영종;김우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12-18
    • /
    • 2017
  • 연구목적 정신건강의학과 직원들이 겪는 임상현장에서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소진의 심화, 업무 만족도 감소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근무 효율이 저하되거나 스스로의 정신건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정신건강의학과 직원을 대상으로 한 그룹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이하 MBCT)의 업무 스트레스, 소진, 자기 효능감, 회복력, 업무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 종합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소속 직원 중 5개 직역 28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 동의 하에 그룹 MBCT를 시행하였다. MBCT 시행 전 후에 각각 업무 스트레스, 소진, 회복력, 자기 효능감, 업무 만족도를 자가보고식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룹 MBCT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각 척도 별 MBCT 전 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 척도 별 그룹 MBCT 시행 전 후의 업무 스트레스, 소진 척도 점수는 MBCT 시행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회복력, 업무 만족도, 자기 효능감 척도 점수는 MBCT 시행 후에 시행 전보다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정신건강의학과 직원 대상의 그룹 MBCT가 직원들의 업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줄이고, 회복력, 자기 효능감 및 업무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신건강의학과 치료환경에서 직원들이 그룹 MBCT를 통하여 본인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직원들의 정신건강 증진은, 나아가 치료환경에 있는 환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성 메타분석 : 우울과 불안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indful Meditation : Focused on Depression and Anxiety)

  • 조희현;유성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5-66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indful meditation programs conducted in ACT(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nd MBCT(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were effective in changing in depression and anxiety. Methods : In order to achieve this, we have performed meta-analysis of the studies on ACT and MBCT among studies published in the national academic journals, master thesis, and doctoral thesis. Dependent variables were limited to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By using meta analysis method, we retriev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9 and 2015 using keyword searches of electronic databases. Result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ACT and MB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Hedges' g = -0.71, p < 0.01). Both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anxiety symptoms (Hedges' g = -1.134, p < 0.01). These results imply that both ACT and MBCT interventions can be useful interventions for both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In the case of interventions for depressive symptoms, the college student group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 adult group. In addition, the ACT program had a stronger effect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than the MBCT program. In the case of interventions for anxiety symptoms, the mixed gender group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 female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factors: participant gender, target participants, mindfulness technique availability, session number, and session duration.

2018 한국형 공황장애 치료지침서 : 정신사회적 치료전략 (Korean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2018 : Psychosocial Treatment Strategies)

  • 김민숙;김민경;이재헌;김원;문은수;서호준;구본훈;양종철;이강수;이상혁;김찬형;유범희;서호석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19
    • /
    • 2019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ensus relative to treatment strategies for psychosocial treatment in panic disorder, that represents one subject addressed by the Korean guidelines for treatment of panic disorder 2018. Methods : The executive committee developed questionnaires relative to treatment strategies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based on guidelines, algorithms, and clinical trials previously published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Seventy-two (61.0%) of 112 experts on a committee reviewing panic disorder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We classified the consensus of expert opinions into three categories (first-line, second-line, and third-line treatment strategies), and identified treatment of choice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95%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 For psychosocial treatment of panic disorder, individual and group cognitive behavior therapy (CBT) were recommended treatments of choice, and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MBCT) was recommended as first line strateg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ensus among experts regarding usefulness of each component of CBT and MBCT,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Conclusion : Results, that reflect recent studies and clinical experiences, may provide the guideline for psychosocial treatment strategies for panic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