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d healing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초

도시 근교형 에코빌리지 조성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roach for composition of suburban Eco-village)

  • 최우람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35-42
    • /
    • 2012
  •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the concept of eco-village in suburban area which various people can experience. For this, we established general ideas through theoretical reflections, and found an objective of suburban eco-village through functional practi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a composition of eco-village to reduce the environmental load consists of three major functions. First, by forming traditional meanings of eco-village community, it creates eco-friendly life through energy saving and resource recycling. Second, it functions as relieving the stress of the urbanites and healing their mind and body in the nature of formed eco-village community.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eco-village is an idea of group of people who tends to live with nature. Thus, by recovering the nature and by preserving the nature with eco-friendly concept, it will be developed by a pl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the importance of nature. However, these three functions shoul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sufficiently, and through saving and utilizing the history, culture and ecological resources of the regions, it gives positive support to local natives' sustainable life. Consequently, it will show the right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uburban eco-village through each case analysis of these three functions.

사상의학의 심신치유기법 - 통합심리학의 ILP(Integral life practice)와 대비하여 - (Mental and physical healing technique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In contrast with the Integral life Practice(ILP) of Integral psychology -)

  • 허훈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353-381
    • /
    • 2014
  • 사상의학은 비단 의학에서뿐만이 아니라, 경영학이나 정치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상의학이 근본적으로 치심치병(治心治病)을 치료의 근본으로 하는 심신의학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심리나 정신치료에서 활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실제 임상에서의 치료법은 약물치료나 침구요법(체질침) 정도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질병 병리 현상에 대해 사상의학이 제시하는 치유법은 개인의 성정(性情)의 다스림은 물론이고, 연령 지역에 따른 환경적 요인, 주(酒) 색(色) 재(財) 권(權)과 같은 사회적 문화적 요인을 포괄한다. 특히, 사상의학의 수양론은 인간의 타고난 성정 가운데 그림자처럼 항상 숨어 있고, 비밀스럽게 간직되어 있는 사심(邪心)과 태행(怠行)을 올바르게 인지하여 박통(博通)과 독행(獨行)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의학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면서, 지인정기(知人正己)론을 근본으로 의론(醫論)을 전개하기 때문에 대인관계(對人關係)가 중시되는 현대인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마찬가지로, 세계철학과 통합심리학을 주도하는 윌버(Ken Wilber, 1949~)는 실제적이고 체험적인 통합적 접근을 경험 차원에 적용하는 '통합적 삶을 위한 훈련(ILP)'을 제시하고 있다. ILP는 성장가능한(또는 깨어남이 가능한) 영역 전체의 성장을 위한 실제적인 훈련법(수련법)으로 선례가 없는 것이다. ILP에서는 몸 모듈, 마음(Mind) 모듈, 그림자(Shadow) 모듈, 영(Spirit) 모듈이라는 4가지 핵심 모듈과 윤리, 성(性), 일(Work), 정서(Emotion), 관계성(Relationships) 등의 성장을 지향하는 5가지 보조 모듈을 제시한다. 이에 ILP가 제시하는 핵심 보조 모듈과 다양한 심신치유기법들에 사상의학의 심신 치유법을 대입시켜 본다면 양자(兩者) 간에 보다 발전된 심신치유 접근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Impact of Disturbed Wound Healing after Surgery on the Prognosis of Marjolin's Ulcer

  • Choi, Jae Yeon;Bae, Yong Chan;Nam, Su Bong;Bae, Seong Hwa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198-202
    • /
    • 2013
  • Background Marjolin's ulcer is known to present a high proportion of recurrence and poor prognosis compared to other kinds of skin cancer. Based on our experience, Marjolin's ulcer patients who have received reconstructive surgery present a higher proportion of recurrence when there was disturbed wound healing after surgery. The impact of disturbed wound healing after surgery on the prognosis was examined in this study.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on 2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arjolin's ulcer and received surgery in this hospital from 1996 to 2011. Histologic grading, lymph node metastasis at diagnosis, and the wound healing process were evaluated and chi-squared analysis appli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with recurrence. Results The proportion of recurrence increases in patients with a low histologic grade or lymph node metastasis at diagnosis. The proportion of recurrence is even higher when the problem occurs during the wound healing process after surgery. Conclusions Disturbed wound healing after surgery could be used as a sign to quickly identify the recurrence of carcinoma. Therefore, in the event a problem occurs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after surgery, one should keep in mind that this could be a sign of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and proceed with careful observation and active diagnosis through additional physical examinations, general X-ray tests, computed tomographys, magnetic resonance imagings, and so on, to obtain an early diagnosis of recurrence.

유방암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추구 과정: 치유를 향한 끝없는 심신 다스리기 (Endless Management of Mind and Body for Healing: The Process of Pursu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태영숙;권수혜;이영숙;배주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28-74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the experience of pursu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i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Ten women with breast cancer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unstructured and individualized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from February to July, 2015. Theoretical sampling was used upto the point of theoretical satur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Corbin & Strauss'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s: Through open coding, 22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identified.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e category was 'endless management of mind and body for healing', which consisted of four phases; exploring, applying, grasping, and integrating. Through this process, the participants utilized various action/interactional strategies such as 'dealing with information', 'trying out blindly', 'enduring volitionally', 'experiencing effects on mind and body,' and 'grasping one's own way.' The consequences of these strategies were integrating the habit of health remedy into one's life, becoming a main agent for change, and tolerating one's weak body. Conclusio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AM pursuing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ould guide clinical nurses and policy makers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olicies for better supporting them with regard to the usage of CAM.

매스로우의 욕구단계이론에 의거한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소의 위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der of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of Nursing Homes by Maslow's Hierarchy of Needs)

  • 정미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240-247
    • /
    • 2012
  • Healing Environment is to cure the user as a whole by considering his social, psychological aspect, beyond the functional aspect of treatment. Various design elements of healing space have been developed so far, but they were mostly described with same rank. Even though every element is significant, facilities such as nursing homes tends to run with low budget, and they can't fulfill them all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sequence between design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the design principles of healing environment by Maslow's hierarchy of needs(Physiological needs, Safety needs, Love/Affilitation needs, Self-Esteem needs and Self-Actualization needs), and analyze elderly nursing homes and examine the framework itself by application. Research method was consist of literature review on healing space design elements and hierarchy of needs, reconstruction of design elements with hierarchy, and application on 5 Korean nursing home cases. As the result, Maslow's hierarchy of needs and design elements were linked with good balance. Analysis of 5 nursing homes revealed that lower needs were short of environmental support compared to higher needs. Especially design elements related to Physiological needs should be improved. Also, new framework had strength in not only providing gasps on current situation in detail, but also suggesting elements for improvement with hierarchy and sequence. Through this research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and human needs were linked. Nursing home is the last environment for the elderly, which should help to heal their body and mind and also support them to accomplish self-actualization.

  • PDF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 및 산림산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irefighters' Experience of Trauma and Forest Walks on Burnout)

  • 신선희;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7-7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fire officer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subsequent forest healing on their occupational burn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burnout. Thi sresult suggests that the more fire office rsare called out for fire fighting, the more they see their colleagues with severein jurie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mental and physical an xiety, the more they areex hausted. Moreover, for es thealing help store duce the irmental and physi calfatig uecaused by traumatic events, thu spreven ting them from suffering from burn out. Second,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ccupational stress.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o relieve job stress caused by fire fighting, increased forest healing activities, including various programs such as psychotherapy, devel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control, and creating a positive mind-set, can reducejobstress and help fire officers recover from it. Lastly, job stress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forest healing on burnout. This implies that burnout can be prevented when fire officers gain high emotional stability through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stress-relief strolling over a traumatic experience, and stronger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and family can keep them from being emotionally drained, thu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burnout.

요가심리학과 긍정적 정서 (Yoga Psychology and Positive Emotions)

  • 조옥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227-23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신체-정서-마음-영혼의 전일적이고 통합적인 건강을 지향하는 요가심리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인의 심층에 존재하는 긍정적 잠재력의 개발에 있음을 강조하면서, 이를 긍정심리학의 맥락에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이를 위해 요가심리학이 추구하는 자기실현의 내용을 소개하고, 집중과 몰입이라는 요가의 방법을 통해 개인이 경험하는 기쁨과 엑스타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행복의 의미를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집중과 몰입이 깊어졌을 때 도달할 수 있는 의식상태의 변화와 행복의 수준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논의하였다. 행복, 지복, 엑스타시는 요가심리학과 긍정심리학의 주된 관심사이기 때문에 서로 일맥상통하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요가심리학에서는 긍정적 정서를 넘어서서 무집착, 초연함, 평정심을 가장 가치로운 덕성으로 삼고 있다. 요가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평정심은 고요한 중립의 상태로서 오랫동안의 고된 요가수련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긍정심리학이 아직 포섭하고 있지 못한 마음의 심층에 놓인 상태로서 긍정심리학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가능성 탐색 (An Inquiry of the Possibility of the Healing Function of Art Museum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56-65
    • /
    • 2015
  • 본 연구는 현대의 미술관이 갖는 여러 기능 중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탐색함으로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미술관에서는 이미 알츠하이머 환자, 학습부진자,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치유적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미술관이 갖는 치유적 잠재력은 미술감상과 공간, 소통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실제적으로 미술관에서의 경험을 다룬 선행연구에서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는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은 국내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되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 관계자들에게 미술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 줄 것이며, 현대에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직장인, 학생 및 사람을 상대로 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미술관을 문화 교양 뿐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보살피고 치유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도와 미술관에 대한 더 많은 사회적 관심을 이끄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 아리랑 체조의 개발 (Development of New Arirang Gymnastics)

  • 유명옥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7-50
    • /
    • 2018
  • 목적: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 아리랑 노래가 자연치유와 만나 시너지효과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아리랑 노래와 자연치유는 서로 다른 경계를 넘나들며 아리랑 음악 치유라는 분야에 아리랑과 새로운 체조를 접목해서 새로운 품새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아리랑체조를 개선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사용한 아리랑 노래는 서울, 해주, 밀양, 강원도, 진도아리랑을 후렴과 본절 1절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아리랑 체조를 새로이 개발한 신 아리랑체조는 아리랑음악치유의 일부분으로 6개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품새를 보면 서울아리랑에 맞추어 준비운동을 시작으로 명치와 간담, 비장과 위장을 지압한다. 해주아리랑에 맞추어 복부의 오른쪽 간담, 왼쪽 비장과 위장, 위쪽(위장)과 아래쪽 방광을 맛사지해 준다. 밀양아리랑에 맞추어 단전과 방광, 심장과 폐를 두드린다. 다음에는 강원도 아리랑에 맞추어 양팔과 어깨를 스트레칭하고 양손을 엇갈려 뒤에서 만나게 한다. 그리고 진도아리랑에 맞추어 어깨와 손목을 돌린다. 결론: 새로운 품새를 이용한 신 아리랑과 체조에 맞추어 하는 유산소운동은 건강과 몸과 마음의 치유에 유용하다.

  • PDF

불교의 마음 이해 -연기(緣起)적 관점과 성기(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Mind in Buddhism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Dependent Arising' and 'Nature Arising')

  • 장진영
    • 철학연구
    • /
    • 제123권
    • /
    • pp.347-377
    • /
    • 2012
  • 우리는 마음을 나타내는 수많은 용어를 가지고 있다. 이를 크게 분별심과 무분별심이 관계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마음에 대한 이해가 우리의 언어적 분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어떤 것에 대한 분별이 일어날 때, 우리는 그 분별에 의하여 나타난 마음[분별심]을 인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분별을 벗어난 본래 마음[무분별심]도 함께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체로 불교에서는 마음을 일체와의 관계 속에서 바라보고 그것을 연기적 관점에서 이해하여 왔다. 초기불교와 부파불교에서는 마음에 대한 분별적 접근이 주로 이루어지고, 그 분별심의 생성과 소멸을 연기의 법칙으로 설명하였다. 이때 분별심은 연기된 것으로 무상한 것이며, 찰나적인 것이다. 그러나 결코 분별심을 허망한 것으로 부정한 것은 아니다. 한편 대승불교에서 용수는 연기의 본질을 '공(空)'으로 파악하고 연기를 순차적 의존관계가 아닌 동시적 의존관계로 이해하였다. 용수는 공을 통하여 분별심의 허망성을 지적함으로써 분별 이전의 무분별심을 직접 볼 수 있게 한 것이다. 무분별심은 언어적 분별(허망분별)을 떠난 자리이기 때문에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지만, '불공(不空)'의 측면에서는 여러 가명(假名)을 통하여 심층의식이나 본성에 대한 접근이 시도될 수 있었다. 여기서 공사상이 분별의 허망성을 지적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화엄사상은 분별의 진실성을 일체가 연기되어 있다는 일승연기의 입장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나아가 일체가 모두 본성이 그대로 현현한 성기(性起)임을 밝힘으로써 무분별과 분별(참 분별) 모두를 긍정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화엄사상에서는 '분별심' 혹은 '무분별심' 자체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기보다는 무주(無住)의 입장에서 분별과 무분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마음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시도하고 있다. 연기적 관점[연기문(緣起門)]에서는 분별의 세계에서 무분별의 세계로 들어가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성기적 관점[성기문(性起門)]에서는 무분별의 세계에서 분별의 세계마저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은 마음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분별에 집착하는 마음병을 치유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