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n-bacteria

Search Result 1,914, Processing Time 0.234 seconds

Pseudomonas sp. KDi19를 이용한 액체배지내에서 경유의 생물학적 분해 (Biodegradation of Diesel with Pseudomonas sp, KDi19 in Liquid Medium)

  • 윤민우;정정화;장순웅;공성호;이종렬;강동효;이상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285-129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주유소 저장 창고 밑부분의 토양에서 경유 분해 균주를 순수분리한 후, 스크린 테스트를 거쳐 고효율의 경유분해균주 KDi19를 선별하였다. KDi19균주는 16S rDNA 분석, 지방산 분석, 생리 생화학적 특징 그리고 형태학적 특징을 확인한 결과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KDi19는 온도 $30^{\circ}C$, pH 7, 그리고 균농도 1.0 g/L의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초기 1,000 mg/L의 경유 중 956.3 mg/L(95.6%)를 제거하였다. 또한 균농도 1.0 g/L, pH 7의 조건에서, 낮은 온도($20^{\circ}C$, $15^{\circ}C$, $10^{\circ}C$) 적용 시, 경유 1,000 mg/L을 48시간 동안 각각 63.9%, 18.5%, 17.0%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균 농도 1.0 g/L, pH 7, 온도 $30^{\circ}C$ 조건일 경우, KDi19는 저농도 경유 50 mg/L와 100 mg/L를 24시간 동안 각각 49.0 mg/L(97.9%)와 96.2 mg/L(96.2%)를 제거하였다.

토양에서 분리한 Penicillium sp. GL-101에 의한 난용성 인산염의 가용화 (Solubilization of Insoluble Phosphates by Penicillium sp. GL-101 Isolated from Soil)

  • 최명철;정종배;사동민;임선욱;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29-333
    • /
    • 1997
  • PDA-calcium phosphate 평판배지를 이용하여 경남북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인산가용화능이 우수한 1,000여종의 세균과 200여종의 사상균을 분리하였다. 이중에서 인산가용화능이 가장 우수한 사상균 GL-101 균주를 선발하여 MEA와 PDA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분생자병과 분생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플라스크형의 phialide, 분생자병의 branching type이 simple type이며, conidial head가 columnar shape 등의 특징을 갖는 Penicillium sp. GL-101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의 인광석 분해능이 최대가 되는 최적 배양온도와 초발 pH는 각각 $25^{\circ}C$와 pH 7.5이었다. 이와같은 배양조건에서 tricalcium-phosphate, aluminium phosphate, hydroxyapatite, 인광석 등의 난용성 인산염에 대한 이 균주의 인산가용화능을 살펴보면 배양 8일째에 최대값을 보였으며, tricalcium-phosphate에 대해서는 1,152 ppm, 인광석에 대해서는 565 ppm, aluminium phosphate에 대해서는 292 ppm, hydroxyapatite에 대해서는 217 ppm의 유리인산을 생성하였다.

  • PDF

대파 뿌리로부터 흑색썩음균핵병균에 길항하는 Serratia plymuthica AL-1의 분리 및 Chitinase의 생산 (Chitinase Production and Isolation of Serratia plymuthica AL-1 Antagonistic to White Rot Fungi from Allium fistulosum Roots.)

  • 주길재;이익희;김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5-141
    • /
    • 2002
  • 대파 뿌리로부터 근권미생물 146종을 분리하여 대파 흑색썩음균핵병균인 Sclerotium cepivorum에 길항하는 AL-1 균주를 최종선별하였다. 분리주 AL-1은 the procaryotes와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방법과 16S rDNA의 부분염기서열을 결정하여 ribosomal database 에서 상동성 검색 등의 방법으로 Serratia plymuthica로 동정되었다. S. plymuthica AL-1은 흑색썩음균핵병균(Sclerotium cepivorum)에 대해서는 생육저지환의 크기가 15mm로 나타났으며, 고추 검은무늬병(Alternaria altrata)은 9 mm,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eosporioids)은 13 ㎜, 도라지 줄기마름병균(Phoma sp.)은 10 ㎜, 고추 잘록병균 (Rhizoctonia solani)은 8 ㎜, 고추 흰별무의병균(Stemphylium solani)은 8 ㎜, 오이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은 7 mm, 수박 덩굴쪼김병(Fusarium oxysporium niveum)은 7 ㎜로 길항력을 나타내었으나 참외 만고병균(Didymella bryoniae)에서는 길항력이 없었다. S. plymuthica AL-1는 1% colloidal chitin을 첨가한 TSB 배지에서 분자량 10 kDa 이상의 분획에서는 chitinase(3.2 units/ml)가 유도 생산되었고 80℃에서 30분간 열처리할 경우 chitinase의 활성은 없어 졌으나 길항력(6.4 ㎜)은 남아있었다. 또한 분자량 10kDa 이하의 분획에서는 chitinase 활성은 없으나 길항력(5.2㎜)은 나타내었고, 80℃에서 열처리하여도 길항력(5.0mm)이 남아있어 효소 이외 다른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저해제인 벤질리덴아세톤의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와 세균성풋마름병 세균(Ralstonia solanacearum)에 대한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n Eicosanoid Biosynthesis Inhibitor, Benzylideneacetone, Against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a Bacterial Wilt-causing Pathogen, Ralstonia solanacearum)

  • 박예슬;김민제;이건형;천원수;이영근;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5-189
    • /
    • 2009
  • 모노터핀의 일종인 벤질리덴아세톤은 곤충병원세균인 Xenorhabdus nematophila의 대사산물이다. 이 물질의 주요 생물활성은 인지질 분해효소인 phospholipase $A_2$를 억제하는 것이다. 이 효소는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반응의 최초 결정단계를 촉매하는 것으로 이 아이코사노이드는 곤충의 면역 반응을 중개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벤질리덴아세톤을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처리하였고, 이 물질의 농도 증가에 따라 응애의 치사율이 높아지는 실내 생물검정 결과를 얻었다. 이에 따라 야외 사과원에 피해를 주는 점박이응애 집단에 처리한 결과 현재 상용화하고 있는 살비제와 비교하여 같은 수준의 살비효과를 나타냈다. 벤질리덴아세톤은 또한 3종의 식물병원세균 배양액에 첨가한 경우 이들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특히 세균성풋마름병을 일으키는 Ralstonia solanacearum에 대해서 현격한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 세균 균주는 어린 감자묘에 병원성을 나타냈으며, 벤질리덴아세톤은 이 병 발생을 억제시켰다. 이 연구결과는 벤질리덴아세톤이 응애와 식물병 세균을 방제하는 데 새로운 작물보호제로서 개발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전국 일부 학교 건축물 내의 실내 공기 및 인식도 조사 (The Assessment and Recognition on Indoor Air Quality at Schools in Korea)

  • 손종렬;윤승욱;김종혁;이용식;최한영;김영성;손부순;양원호;김민회
    • 환경위생공학
    • /
    • 제20권3호
    • /
    • pp.1-9
    • /
    • 2005
  • Recently, indoor air quality (IAQ) in workplac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chools has been concerned of people, scientists and related the public, and has recognized the healthy effectsrelated to IAQ, specially in schools in Korea. Therefore, objectives of this study in this study were to measure and compare the perception of TAQ of selected air pollutants in Seoul from April to September 2004. Measurement place measured 2 schools of Seoul and local 9 schools (by Kyonggi Province, Chungchong-bukdo Chungchong-namdo, Chollado-bukdo, Cholla-namdo, Kyongsang-bukdo, Kyongsang-namdo, Kwangju, schoolin Pusan each 1 plac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TBC (total bacteria count), noise, PM10,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HCHO (formaldehyde)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Also, we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50 students and 50 teachers about their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IAQ in their schools. Among this article, we handled nois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TBC, TVOC, HCHO, PM 10 in our conclusion.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 Carbon monoxide (CO) was lower than indoor air standard of Korea. Carbon dioxide $(CO_2)$ appeared that 4 schools among our sample target school exceeded in normal standard. 4 schools were almost similar with normal standard. TBC appeared that 7 schools among 11 schools were higher than standard. Noise measured school's mean value passed exceeded standard. And school which passed over standard appeared to 7 schools among 11 schools. HCHO was exceeded 4 schools by standard that excess and certainly interrelation between school's establishment year and facilities of construction was detected. PM10 was exposed all schools by fitness in standard. TVOC appeared that 9 schools among 11 measurement school was exceeded health effect standard of Japan.

Bt 벼의 토양미생물상 영향 비교평가 (Assessment of Microbial Community in Paddy Soils Cultivated with Bt and Nakdong Rice)

  • 손수인;안병옥;지희연;조병관;조민석;신공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29-835
    • /
    • 2012
  • 경제적 및 농업적 장점은 유전자 변형 작물 재배면적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러나 유전자 변형 작물의 상업적 재배전에 유전자 변형 작물의 인간건강 및 환경에 미칠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Bt벼의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양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Bt벼와 낙동벼 근권토양 간 화학성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배전, 재배초기, 최고분얼기의 토양미생물 군집밀도를 조사했을 때 Bt벼 근권토양의 세균, 방선균, 진균 군집밀도는 낙동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DGGE 분석결과 Bt 벼 근권토양 전체미생물상은 낙동벼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yrosequencing을 통한 Bt벼와 낙동벼의 미생물 군집조성을 조사한 결과 주요 미생물상 분포에 있어서도 매우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볼때 Bt 재배에 따른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사료된다. 수확 후 벼 잔존물이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CM을 장착한 열전소자 냉각시스템의 저장 중 피망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s of bell pepper in cold system combined with TEM (thermoelectric materials) and PCM (phase change material))

  • 성정민;김소희;김병삼;김종훈;김지영;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1-4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신선식품의 품질유통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Peltier 효과를 기반으로 한 열전소자 배송시스템에 잠열재를 탑재한 이동식 저온 컨테이너를 농산물의 유통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실험 방법은 개발된 열전소자 배송시스템 및 개발잠열재를 이용한 이동식 저온 컨테이너에 저장 중 피망의 품질을 평가하여 대조구인 EPS 박스의 피망과 비교 평가하였다. 피망의 저장 중 품질측정 결과, 중량 감소량은 증가하였으나 수분함량은 저장기간동안 90.96~94.43% 수준을 유지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처리구(BPT-5, 10)의 경우 대조구(BPC)에 비해 감소율이 낮게 나타났다. 색도 측정 결과 ${\Delta}E$ 값은 저장기간동안 증가하였으며 21일 때 BPT-5의 ${\Delta}E$ 값은 5.05인데 반해 BPC의 값은 41.8로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 또한 저장 21일째 대조구에 비해 BPT-5 처리구가 약 1 log scale 낮은 수준을 나타내어 연구에서 개발한 수배송 용기가 품질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된 이동식 저온 컨테이너가 피망의 저장성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이동식 저온 컨테이너의 개발은 초기단계이며 잠열재의 무게로 인해 하중부담이 크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길경을 첨가한 영덕밥식해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Yeongdeok Bobsikhae to which a natural substance (Bellflower) was added)

  • 배만종;김수정;조민석;엄영빈;배명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0-356
    • /
    • 2014
  • 본 연구는 도라지차, 가자미, 생강, 마늘, 엿기름을 1차로 숙성한 후 쌀과 조를 동량 혼합하여 지은 밥, 무채, 고춧가루를 다시 혼합하여 완성한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를 30일간 저장하면서 발효 특성을 실험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을 제외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에서 도라지차 영덕밥식해가 다소 더 높게 나타났다. pH는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 모두 점차 감소하는 것에 비하여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의 유산균수는 0일차에서 3일차까지 밥식해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저장 7일차부터 도라지차 영덕밥식해의 유산균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세균수의 경우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숙성 15일차부터 현저한 증식을 보였다. 저장 8일차에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맛에서 새콤한 맛을 제외한 전체적인 맛, 달콤한 맛, 짠 맛, 매운 맛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색을 제외한 전체적인 기호도, 맛, 향기, 식감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가 밥식해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라지차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식해의 발효와 맛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후춧가루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전자선 및 X-선 조사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gamma ray, electron beam, and X-ray irradiation to improve safety of black pepper powder)

  • 박재남;정구;윤영민;최수정;김재훈;이주운;송범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5-3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후춧가루의 위생화를 위해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을 조사한 후 이에 따른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평가하였다. 후춧가루에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을 2, 4, 6, 8 및 10 kGy로 각각 조사한 후 미생물 변화와 관능품질 변화를 평가한 결과, 미생물의 경우 선종에 관계없이 흡수선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제어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종별 D10값의 경우 2.24-2.75 kGy범위를 보였으며 방사선 선종에 따른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방사선 선종에 따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관능적 품질 역시 방사선 선종에 관계없이 흡수선량에 따라 품질저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방사선 선종에 따른 후춧가루의 품질변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상의 결과는 X-선의 상업적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서양측백나무 잎으로부터 식물정유 추출 및 생리활성 (Extrac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Thuja occidental Leaves)

  • 서원택;양재경;강병국;박우진;홍성철;강영민;정희영;김용덕;강승미;김선원;최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64-370
    • /
    • 2003
  • 서양측백나무의 잎으로부터 정유를 steam distillation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정유 조성성분을 분석하였으며, 28종의 미생물종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집모기에 대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서양측백나무 정유 주성분은 monoterpene류였으며, d-isothujone, l-fenchone, ${\alpha}-thujone$, camphor, terpin-4-ol 순으로 나타났다. 정유의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력은 박테리아 중 Streptococcus pyogenes에서, 그리고 효모 및 곰팡이 중 Candida albicans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양측백나무 정유는 그램 양성균의 박테리아에 대해 가장 장한 항균력을 보였다. 정유는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EC_{50}$ 값은 $36\;{\mu}{\ell}/m{\ell}$이었다. 집모기에 대한 살충 효과는 분무, 훈증, 자연증발 등 처리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그 중 분무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환경 친화적인 항균 및 살충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