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k Clott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son of Milk-clotting Activity of Protein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var, natto and Rhizopus oligosporus with Commercial Rennet

  • Chen, Ming Tsao;Lu, Ying Yu;Weng, Tien M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0호
    • /
    • pp.1369-1379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purification and milk-clotting activity of the enzyme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var, natto and Rhizopus oligosporus compared with that of commercial rennet. The clotting time, viscosity, tension and microstructure of the curd an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milk proteins were determined. The milk-clotting activity/proteolytic activity ratios (MCA/PA ratio) of B. subtilis, R. oligosporus and commercial rennet were also compa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urd formed by the commercial rennet had the highest viscosity and curd tension and the shortest clotting time among the three enzymes. However, curd produced by Rhizopus enzymes was ranked as second. From the MCA/PA ratio and electrophoretogram analys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nzyme produced by B. subtilis had the highest proteolytic activity, while the commercial rennet had the highest milk-clotting activity. Observations of microstructures of SEM showed that the three-dimensional network for curd formed by commercial rennet was denser, firmer and more smooth. The milk-clotting activity, specific activity, purification ratio and recovery of the purified enzymes produced by both the tested organisms were also determined with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두유 응고효소 생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Producing a Soybean Milk Clotting Enzyme)

  • 하덕모;이철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4
    • /
    • 1989
  • 150개의 토양시료로부터 두유 응고효소를 생산하는 세균 17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는 Bacillus cereus(8균주), Bacillus pumilus(8균주) 및 Bacillus licheniformis(1균주)로 동정하였다. 분리된 두유 응고효소 생산균주중 Bacillus pumilus 118 및 Bacillus licheniformis 192균주가 비교적 높은 두유응고효소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들 두 균주의 효소활성은 pH6.0~7.0의 범위에 있어서 pH7.0에 가까울수록 저하되며 그 최적온도는 $65^{\circ}C$였다.

  • PDF

두유 응고효소 생산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Producing a Soybean Milk Clotting Enzyme)

  • 이철우;강창훈;하덕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5
    • /
    • 1991
  • Twenty-five fungal strains producing an extracellular soybean milk clotting enzyme were isolated from 146 soil samples, and identified as 11 species belonging to six genera of Aspergillus oryzae (5 strains), Aspergillus flavus (2 strains), Aspergillus parasiticus (1 strain), Aspergillus tamarii (2 strains), Aspergillus niger (4 strains), Aspergillus fumigatus (2 strains), Mucor hiemalis (2 strains), Wallemia sebi (4 strains), Scopulariopsis condida (1 strain), Fusarium redolens(1 strain) and Verticillum lecanii (1 strain). Among them, Aspergillus oryzae 020 and Aspergillus tamarii 287 showed relatively high soybean milk clotting activity. The coagulabilities of the enzyme from representative strains of those species decreased as the pH of soybean milk increased from 6.0 to 7.0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oybean milk clotting enzymes of those strains were 65$^{\circ}C$.

  • PDF

응유효소 생산을 위한 Mucor mucedo C-7의 배양조건 (The Culture Conditions of Mucor mucedo C-7 for Producing the Milk-Clotting Enzyme)

  • 조재민;이웅수;김교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8-422
    • /
    • 1992
  • 효과적인 응유효소 생산을 위해 응유효소 생산 균주로 선정된 Mucor mucedo C-7을 밀기울 고체배지에 배양하여 최적 배양 조건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밀기울에 대한 첨수량은 밀기울량에 100% 첨수하였을때 효소 생산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배양 은도와 시간은 각각 3$0^{\circ}C$, 72시간이 가장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또 밀기울 배지에 증류수 대신 Macllvaine 완충용액 (pH4.5)을 첨가 하였을 경우 효소 생산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응유효소의 활성도 중류수를 첨수한 경우 보다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응유효소를 생산하는 Mucor mucedo C-7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ucor mueedo C-7 for Producing The Milk-clotting Enzyme)

  • 조재민;이웅수;김교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49-453
    • /
    • 1990
  • 대용응유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토양, 건초, 퇴비 등 114시료를 분리원으로 하여 응유효소를 생산하는 16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각 균주들이 생산하는 유응고력과 단백질 분해력의 비는 균주번호 C-7 것이 1,929로 가장 좋았다. C-7 균주의 균사는 회백색으로 격막이 없었고 포자낭병은 균사로부터 단독으로 곧게 뻗어 갈라지지 않은 monomucor형으로 그 끝은 구형의 포자낭을 형성하였으며 적합한 생육온도와 생육 pH의 범위는 20-$30^{\circ}C$, pH 3.0-8.0이었다. 형태적, 생리적 여러 특성에 따라 C-7 균주는 Mucor mucedo로 동정되었다.

  • PDF

응유효소의 간편한 역가측정법 (A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Activity of Milk Clotting Enzymes)

  • Shin, H.K.;Pack, M.Y.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09-113
    • /
    • 1978
  • 효소에 의한 우유의 응고과정은 효소적인 단계와 비효소적인 단계의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효소적인 단계가 끝나는 점을 시험관속에서 반응을 시킨 다음 그 시험관을 5도의 경사까지 기울었을 때 우유가 시험관 벽을 타고 흐를수 있는 거리를 가지고 측정하였다. 효소적인 단계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측정하므로서 응유효소의 역가를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이 제시되었다.

  • PDF

Dothiorella ribis가 생산하는 응유효소에 관한 연구 -제 2 보 응유효소로서의 일반적 성질- (Studies on Milk-clotting Enzyme of Dothiorella ribis -Part II. Properties of the Enzyme-)

  • 김유삼;홍윤명;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72-177
    • /
    • 1971
  • Dothiorella ribis에 의한 응유효소의 생산량은 밀기울 1g 당 950 S.U.이며 응유온도는 $20{\sim}62^{\circ}C$의 온도범위에서 온도상승과 더불어 응유력이 강화되었고 calcium의 농도는 짙어 질수록 탈지분유액의 pH는 보다 산성일 때 응유력이 강화되었다. 우유가 희석될 때 0.01M $CaCl_2$용액을 사용한 경우는 생우유나 탈지분유에 관계없이 희석과 더불어 응유력이 증가되었으나 증류수로 희석할 때는 희석도가 낮을 때 다소 응유력의 증가를 보이다가 희석도가 높아지면 급격히 응유력이 감퇴 됨을 알수 있었다. 또한 우유는 저온처리하는 것이 응유활성의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내 주었으며 단백질분해력은 같은 응유력에 대하여 비교검토된 Mucor pusillus Lindt의 응유효소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pH의 안정범위는 중성부분이며 열에 대하여는 $45^{\circ}C$에서 비교적 안정하였고 우유를 응고시킨 후 curd로서의 단백질 회수율은 76.2%이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Dothiorella ribis의 응유효소는 단백질분해력이 높다는 결함이 있으나 보다 연구할 가치가 있으며 단백질분해효소로서의 개발도 또한 기대된다.

  • PDF

미생물(微生物)이 생산(生産)하는 응유효소(凝乳酵素) (제10보(第10報)) -Mucor-pusillus의 고체배양(固體培養)으로부터 단리(單離)된 결정(結晶) 응유효소(凝乳酵素) Mucor-rennin의 일반적(一般的) 성질(性質)과 그의 저장성(貯藏性)- (Milk-clotting Enzyme from Microorganisms, Part 10, Studies on General Properties and storage of Mucor-rennin (Milk-clotting Enzyme) isolated from Mucor pusillus var. Lindt)

  • 유주현;전촌학조;홍윤명;유마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7-11
    • /
    • 1969
  • Mucor-rennin, the crystalline milk-clotting enzyme, isolated from Mucor pusillus var. Lindt, has an acid protease activity. The optimum pH for the digestion of k-casein is 4.5, while that for hemoglobin digestion is 4.0. The skim milk solution was easily clotted acidic solution than alkalin solution, and the milk clotting activated by Ca ion. The enzyme was heat stable against heat from pH 4.0 to 6.0 but was more stable at pH 5.0. The activity of the enzyme at pH 5.0 did not decrease at 30 C for 15 days and the activity was not effected by sodium propionate and salicilic acid. Therefore, the enzyme of liguid type could store for a long time and could be transported from Erzyme production Co. to Manufacture of cheese Co. by adding the antiesptic and by adjusting pH to 5.0.

  • PDF

Mucor sp. 에 의한 응유효소생산(凝乳酵素生産)과 그의 성질(性質)에 관하여 (Production ani Some Properties of Milk Clotting Enzyme from Mucor sp.)

  • 염동길;김찬조;이종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44-155
    • /
    • 1987
  • 토양(土壤) 및 하수(下水)에서 단백분해활성(蛋白分解活性)이 약하고 응유활성(凝乳活性)이 강한 SA-101 균주(菌株)를 분리(分離), 선정(選定)하여 Mucor sp. 동정(同定)하였다. 사용균주(使用菌株)에 의한 응유효소생산(凝乳酵素生産)은 밀기울 10 g에 0.1M HCl 을 함유한 수도수 8 ml를 가하여 $30^{\circ}C$에서 60시간의 배양(培養)이 가장 좋았다. Lactose 6%, NaCl 0.05%를 첨가(添加)하였을때 효소생산(酵素生産)이 촉진(促進)되었고 밀기울 g당(當) 9,810 단위(單位)의 효소생산(酵素生産)을 보였다. 유안염석(硫安鹽析)과 동결건조(凍結乾燥)등으로 조제한 조효소제품(粗酵素製品)의 MCA/PA비(比)는 Hansen rennet 보다 낮았으나 Meito rennet과 유사하였고 응유활성(凝乳活性)의 최적온도(最適溫度)는 1/100M $CaC1_2$를 함유한 10% 환원탈지유(還元脫脂乳)를 기질로 하였을 때 $60^{\circ}C$ 부근이었다.

  • PDF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이용한 치즈커드 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agulation of cheese curd by immobilized Mucor spp L42 milk clotting enzyme)

  • 박종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157-162
    • /
    • 1988
  • 활성화시킨 Succinylaminopropyl glass beads에 glutaraldehyde을 사용하여 고정화시킨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치즈 커드 형성과정에 이용하고져 고정화 효소의 안정성, 재이용성, 반응의 조건, 반응조의 형태등에 대하여 탈지유(pH 5.6, $8^{\circ}C$)를 사용하여 반응시킨후 $30^{\circ}C$ 항온수조내에서 커드의 형성 상태를 조사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0.2M phosphate buffer(pH 4.6)에 0.06% sodium azide을 첨가한 액에 침지한 상태로 $5^{\circ}C$ 이하에서 보존할 경우 3개월 후에도 활력의 80%가 유지되었다. 2)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탈지유(pH 5.6, $8^{\circ}C$)로 반응시켰을때 반응 초기에는 고정화 효소의 활력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것은 bead에 결합되는 질소화합물과 효소의 활력간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에 bead와 탈지유의 접촉시간을 60 sec/ml로 하여 탈지유(pH 5.6, $8^{\circ}C$)로 연속적으로 반응시켰을때 6시간 이후에도 bead의 활력의 70%가 유지할 수 있었다. 4) Fluidized bed와 shaking fluidized bed을 사용하는 것이 충진반응조 보다 탈지유의 반응속도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