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k Acidity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2초

단백질(蛋白質) 급원(給源) 식품(食品)이 김치의 발효와 Ascorbic Acid의 안정도(安定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otein Sources on Kimchi Fermentation an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 이희순;고영태;임숙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2호
    • /
    • pp.101-107
    • /
    • 1984
  • Effects of protein-sources on Kimchi fermentation an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were investigated at $7{\pm}1^{\circ}C.$ Kimchi samples with various protein sources showed the higher pH and total acidity through the fermentation period than kimchi without the protei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teins have acted as good buffer and lactobacilli-growth enhancer in the fermentation, and the milk protein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among the samples. The lactobacilli were at the highest growth at 15th day in all the samples. The amounts and changes in ascorbic acid content during the ferment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control and protein added samples. The fresh, unfermented kimchi contained 14.5-15.7mg of ascorbic acid per 100g of sample and decreased continuously by the 12th day of fermentation. After then the vitamin increased in all the samples and then again decreased slowly after 18th day. The contents of ascorbic acid at the end of the 3 weeks-fermentation(16.3-17.3mg/100g) were still higher than the contents of fresh, unfermented kimchi.

  • PDF

마카 열수추출물 첨가가 요구르트의 품질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MACA (Lepidium meyenii) Hot Water Extract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 정해정;추영란;박한나;전인숙;강용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4-341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from maca. Four different levels (0, 4, 8, 12%) of maca extract were added to milk followed by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at $37^{\circ}C$ for 12 hrs, and the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amples were investigated. During 7 days of storage at $4{\pm}1^{\circ}C$, the acid production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the yogur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maca extract. The Hunter L value (lightness) decreased, while the b value (yellowness) increased as the maca extract level in the yogurt increased. Viable cell cou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results of consumer acceptance tes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yogurts containing 4% and 8% of maca extract and a control yogurt. The yogurt containing maca extract exhibited higher DPPH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the control yogurt over the storage period.

돼지감자 분말 첨가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Helianthus tuberosus Powder)

  • 박병배;게렐튜야 렌친핸드;남명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196-205
    • /
    • 2019
  • 본 연구는 돼지감자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 제조의 이화학적 분석을 통해서 돼지감자를 식품소재로써 활용하고자 첨가량에 따른 발효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돼지감자 분말 1%, 3%, 5% 첨가 발효유 중 5% 첨가구가 산 생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유산균 수도 가장 높게 생장하였다. 또한, 유산 생성이 활발하였고,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도 높았다. 점도는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는데, 물성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사료된다. 돼지감자분말 첨가 발효유 생산이 유가공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고초균과 유산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ybean Yogurt by Mixed Culture of Bacillus sp. and Lactic Acid Bacteria)

  • 양밍;곽정순;장세리;찌아위엔;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73-2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원료 콩에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와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혼합발효를 통해 대두 발효 제품의 개발을 목표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우수 균주 선별을 위한 연구로 고초균의 경우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균주를 청국장에서 분리하였고, 유산균의 경우 산도 생성이 높은 균주를 김치에서 분리하였다. 그리고 청국장에서 분리한 균주는 Bacillus subtilis로, 김치에서 분리한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두유 발효에서 pH는 Lactobacillus plantarum를 이용한 두유 발효와 혼합 배양의 경우가 급격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일 경우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두유 발효와 혼합 배양의 경우가 lactic acid의 생성은 배양 8시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의 경우가 완만하게 증가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pH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두유 요구르트 생육도 측정 결과는 혼합 배양의 경우 단독 배양에 비해 증식이 더 우수하였으며, 배양 32시간째 각 처리구별 총 균수는 Lactobacillus plantarum의 경우 $1.02{\times}10^8$ $cfu/m{\ell}$, Bacillus subtilis의 경우 $2.12{\times}10^8$ $cfu/m{\ell}$인데 비해 혼합 배양의 경우는 $4.09{\times}10^8$ $cfu/m{\ell}$로 가장 높았다. ${\alpha}$-Amylase의 활성은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과 혼합 배양일 경우는 8시간 이후 효소 활성이 증가되면서 24시간 동안 발효시 22.01 $unit/m{\ell}$, 8.13 $unit/m{\ell}$로 가장 높았다. Protease의 경우는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과 혼합 배양일 경우는 8시간 이후 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효 32시간째 103.08 $unit/m{\ell}$, 85.84 $unit/m{\ell}$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 단독 배양일 경우는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밀을 첨가한 발효유의 향기성분과 발효특성에 관한 연구 (Volatile Aromatic Compounds and Fermentation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with Buckwheat)

  • 이범선;박승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67-27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메밀을 효소처리를 통해 당화시킨 후, 첨가량을 달리하여 발효유에 첨가하고 휘발성 향기성분과 발효특성을 비교하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HS-SPME기법을 이용하여 GC-FID와 GC-MS로 분석하였고, 발효특성은 24시간 발효시키는 동안 6시간 주기로 pH와 적정산도를 측정하였으며, 24시간 발효시킨 후 점도와 색도, 생균수를 측정 및 비교하였다. Ketone류와 acid류가 주로 동정되었는데 메밀 당화 용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발효유와 같은 유제품에서 전형적인 버터 향을 내는 diacetyl과 크림 향과 fresh함을 부여하는 2-heptanone, 산패취를 내는 butanoic acid가 증가하였고, 식초 향을 강하게 내는 acetic acid와 acetone 향을 내는 2-butanone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메밀을 당화시켜 발효유에 첨가함으로써 향기품질이 개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었고, 그 원인으로는 미생물학적 요인이 가장 크며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메밀 당화 용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발효 6시간 후 까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이후에는 완만히 감소하였고, 적정산도는 그와 역으로 유사하게 발효 6시간 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이후에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Curd의 주성분인 casein이 상대적으로 적어졌기 때문에 점도는 메밀 당화 용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는 명암을 나타내는 L값만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여 색이 진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메밀 당화 용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생균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메밀을 당화하여 얻을 수 있는 포도당과 기존에 다량 존재하는 식이섬유로 인해 유산균의 생육이 촉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본 실험을 통하여 메밀 당화 용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발효유의 발효특성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메밀 발효유의 향기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자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Potato and its Characteristics)

  • 신용서;성현주;김동한;이갑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6-271
    • /
    • 1994
  • 요구르트의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탈지분유의 일부를 감자로 대체(고형물비로 9.52, 13.84, 17.85%)하여 호상요구르트를 만들고, 탈지분유만 첨가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내산성 및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감자의 첨가로 젖산균의 증식과 산생성은 촉진되어 12시간 발효 후 젖산균수와 적정산도는 각각 $3.9{\times}10^{10}$ CFU/ml, 1.0% 이상이었다. 요구르트의 유기산중 구연산은 감자첨가로 증가되었으며, 요구르트의 주된 유기산은 젖산, 구연산, 초산이었다. 요구르트의 점도는 감자의 첨가로 증가되었고, 전체적인 관능치는 감자를 고형물비로 13.84% 첨가한 구에서 우수하였다. 감자첨가 요구르트는 $5^{\circ}C$에서 15일간 저장중 산생성, pH, 생균수의 변화가 거의 없어 저장성이 우수하였고, pH2.5 이상에서 젖산균의 내산성이 우수하였으며, ${\beta}-galactosidase$ 활성도 탈지분유만 첨가한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감자를 고형물비로 13.84% 첨가함으로써 호상요구르트의 기호성을 높이고, 식품 영양학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홍삼 추출물 첨가 혼합 발효유의 특성 (Properties of the Mixed Fermentation Milk Added with Red Ginseng Extract)

  • 배형철;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7-135
    • /
    • 2006
  • 우유와 두유를 2:1로 혼합하고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고 2종류의 스타터를 사용하여 발효 특성을 시험하였다. 2종류의 스타터를 사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 15시간 후 pH는 $3.90{\sim}3.94$ 사이로 나타나 산 생성 촉진 효과가 있었고, 산 생성은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금씩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생균수는 증가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50를 스타터로 사용한 균에서 1.0% 홍삼 추출물 첨가량은 $6.26{\times}10^8\;cfu/mL$로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배양 12시간 이후에 대조구에서는 감소하는 반면 홍삼 추출물 첨가구에서는 젖산균수는 계속해서 최대균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유기산 생성은 lactic acid인 경우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에서 1.0% 홍삼 추출물 첨가구에서 332.22 mM로 가장 높았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lactic acid의 생성량도 증가되었다. 당 분해율은 두 균주 모두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stachylose의 분해율이 증가하였고,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 균주의 경우 stachylose의 분해율이 최대 19%인 반면,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의 경우 stachylose의 최대 분해율은 54%로서 분해율이 월등히 높았다. 점도는 홍삼추출물 첨가량이 1.0% 첨가구에서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 각각 780 cP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는 0.2%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고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를 스타터로 사용한 발효유가 $4.14{\pm}0.64$로 기호도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beta}$-Galactosidase 처리 시유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Changes of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oghurt made from ${\beta}$-Galactosidase-treated Commercial Milks)

  • 이인선;김상희;하재호;강국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95-799
    • /
    • 1989
  • 효모 Kluyveromyces fragilis SKD-7001로부터 정제한 ${\beta}-galactosidase$를 이용하여 시유의 유당을 가수분해 시키고, 이 효소의 처리유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이들의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효소의 농도를 3.0units/ml 처리시 120분간 $40^{\circ}C$에서 반응시켰을 때 유당의 가수분해율이 75.0%를 나타내었고, 6.0units/ml 처리시 120분간 반응시켰을 때에는 94.6%이었다. ${\beta}-galactosidase$의 처리유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pH, 산도, 유산균의 생균수를 정토해 본 결과, $40^{\circ}C$에서 8시간 매양하였을 때 pH4.1, 산도 1.04% 그리고 유산균의 생균수는 각각 Str. thermophilus가 $6.5{\times}10^8/ml$, L. bulgaricus가 $8.9{\times}10^8/ml$를 나타내었다. 총 아미노산을 분석해 본 결과 총 함량은 대조 요구르트가 2.63%, LH 요구르트가 2.19%로써, LH 요구르트보다 대조 요구르트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 아미노산을 분석해 본 결과 총 함량은 시유의 경우 대조 요구르트가 26.95mg%, LH 요구르트가 17.55mg%로써, LH 요구르트보다 대조 요구르트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에 있어서는 LH 요구르트가 대조 요구르트보다 caprylic, capric, lauric acid 등의 저급 지방산 함량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고, 고급 지방산 중에서는 palmi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초균-젖산균의 순차적 복합 발효를 통한 복합 기능성 물질 함유 황칠나무 추출물의 생산 (Production of Dendropanax morbiferus extract containing multi-functional ingredients by serial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HA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S2020)

  • 손수진;강혜미;박윤호;황보미향;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8-148
    • /
    • 2024
  • 황칠나무 추출물의 순차적 복합발효를 통한 복합 기능성 물질들을 강화시킨 발효소재를 개발하였다. 황칠 추출물에 MSG와 glucose를 첨가한 후 1차 B. subtillis HA 발효를 통해 γ-PGA와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성시켰다. 이후 skim milk와 glucose, yeast extract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30℃에서 L. plantarum KS2020에 의한 2차 복합 발효를 통해서 기능성 물질인 GABA를 생산하였다. 황칠 추출물의 고초균 발효에서 생성된 점질물 및 점조도은 발효 2일 4.21±0.04 Pa·s, 4.1%±0.48%로 높은 점조도 값과 점질물을 함량을 보였다. pH 및 산도는 각각 8.9±0.01, 0.00±0.00이었으며 생균수는 7.27 log CFU/mL에서 발효 2일에 9.50 log CFU/mL로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순차적 복합 발효가 진행되면서 고초균의 생균수는 4.30 log CFU/mL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젖산균은 9.12 log CFU/mL로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 및 tyrosine 함량은 각각 0.8 unit/g, 57 mg%로 측정되었다. 이후 연속적 복합 발효 과정에서 발효 5일 차 106 mg% 정도로 증가되었으며, SDS-PAGE를 이용하여 casein 단백질이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GABA 정성분석 결과 skim milk 5%만을 첨가한 조건을 제외하고 glucose, yeast extract가 추가로 첨가된 모든 조건에서 전구물질 MSG가 소진되면서 GABA로 전환되었다. 이중 최적 조건을 골라 정량분석을 진행하였으며 18.29 mg/mL의 GABA 함량을 나타내었다. 최종 황칠 복합 발효물은 γ-PGA, peptides, 고농도 GABA를 함유한 발효소재로써 다양한 식품의 원료 활용이 기대된다.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 착즙액 첨가 Curd Yoghurt의 관능성 및 저장성 (Sensory Property and Keeping Quality of Curd Yoghurt Add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ey) Extract)

  • 고진경;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2-199
    • /
    • 2005
  • 비파 착즙액을 첨가한 curd yoghurt를 개발하기 위하여 비파 착즙액을 농도별$(10\%,\;15\%,\;20\%)$로 첨가하여 제조한 curd yoghurt의 관능성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비파 착즙액 첨가구가 향미, 단맛, 신맛, 후미,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 있어서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파 착즙액 $15\%$ 첨가구와 $20\%$ 첨가구의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15\%$ 첨가구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맛, 신맛, 후미, 전체적 인 기호도 등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나 $20\%$$25\%$ 첨가구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비파 착즙액 $15\%$ 첨가 curd yoghurt를 무첨가구와 함께 $4^{\circ}C$$20^{\circ}C$에서 31일 동안 저장한 결과 생균수의 경우 $4^{\circ}C$에서는 비파 착즙액 첨가구는 $8.12\times10^8 CFU/mL$, 무첨가구는 $7.01\times10^8CFU/mL$이었고, $20^{\circ}C$에서는 비파 착즙액 첨가구는 $6.43\times10^8 CFU/mL$, 무첨가구는 $4.78\times10^8CFU/mL$로 비파 착즙액 첨가 curd yoghurt의 유산균수가 약간 높게 유지되었고, $4^{\circ}C$의 저장 온도에서 $20^{\circ}C$보다 높은 유산균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4^{\circ}C$에서는 비파 착즙액 첨가구는 pH 4.23, 척정산도 $0.97\%$, 무첨가구는 pH4.36, 적정산도 $0.93\%$이었고, $20^{\circ}C$에서는 비파 착즙액 첨가구는 pH 3.72, 적정산도 $1.42\%$, 무첨가구는 pH 3.75, 적정산도 $1.37\%$로 비파 착즙액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circ}C$에서 31일간 저장하는 동안 비파 착즙액 $15\%$ 첨가구의 pH와 적정산도가 yoghurt의 바람직한 pH와 적정산도의 범위에 대체적으로 일치하여 유지되었다. 따라서 비파 착즙액 $15\%$와 올리고당 $20\~25\%$를 첨가하여 제조한 curd yoghurt는 저장성과 관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는 새로운 기능성 신제품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