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d Dementia Elderl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1초

치매케어로봇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Development of Dementia-Care-Robot Integrated Program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 오진환;이형화;전인희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30-34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ementia-Care-Robot integrated program based on group customization and to identify effects on IADL, depression, and attitudes toward robot.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0 elders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participating in the dementia center daily program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Each session lasted for 30 minutes, twice a week during 6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6 to November 7, 2019,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2.0 program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variables.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IADL,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ttitude toward robo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to the robot,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negative change to i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indings indicate that integrated program using Dementia-Care-Robot has potential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symptoms of dementia and to delay the progression. It needs to be applied in the medical field through convergent approach of engineering.

A study on the duration of Ginkgo biloba extract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Cui, Fengjiao;Nawaz, Hadia;Kim, Hyun Kyung;Go, Gwang-woong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03-413
    • /
    • 2022
  • Evidence regarding the efficacy of Ginkgo biloba extract on cognitive function has been contentiou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 period of G. biloba intake to improve cognition in the elderly. PubMed, EMBASE, Cochrane, Web of Science, and PsycArticles databases were searched for short-listing relevant studies. Twenty-five studies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Cognitive efficacy was assessed based on the duration of intervention. G. biloba intake for 3-6 month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cognitive function (SMD= -0.21; 95% CI -0.39, -0.03; p=0.02). However, the improvement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G. biloba intake for more than three months improves cognition in the elderly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AD dementia without any safety risk. Intake for up to six months does not improve ADLs significantly in mild to moderate dementia patients.

유산소 운동이 경증치매 여성노인의 BDNF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Convergence Aerobic Exercise on the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Blood Lipids in Elderly Women with Mild Dementia)

  • 남상남;임연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345-353
    • /
    • 2017
  • 본 연구는 경증 치매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BDNF 및 혈중지질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주 3회 빈도와 운동자각도 9-14로 50분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과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BDNF의 결과 운동군에서 12주간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둘째, 혈중지질의 결과 운동군에서 12주간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 실시 후 중성지방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이 치매 예방과 함께 지질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통하여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에도 도움을 주며 노인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차이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ccording to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s)

  • 이윤정;김정자;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09-219
    • /
    • 2020
  • 본 연구는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2018년 7월부터 10월까지 G시에 위치한 요양병원에 입원중인 경증치매노인 30명을 대상으로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을 병행한 프로그램을 주 2회 30분씩 총 12주 적용하였으며,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을 병행한 프로그램은 전산화인지프로그램 15분과 인지통합프로그램 15분을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사전 및 사후평가는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인지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각각 세 집단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전후를 알아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적용한 집단이 높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인지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작업치료 중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운동-인지 이중과제가 인지장애를 가진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실험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s of Motor-cognitive Dual Task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with Cognitive Disorders: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신수정;박경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16-225
    • /
    • 2020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선정된 연구를 질적 분석하여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에게 실시된 이중과제의 적용방법, 결과측정방법,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등록된 연구를 검색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 PubMed, ProQuest를 이용하였으며, 검색어는'dual task' OR 'multi modal'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OR 'Alzheimer's disease' AND 'intervention' OR 'rehabilitation를 사용하였다. 최종 선정된 연구는 8편이었다. 이중과제는 단독중재로서 적용되기보다 다른 운동중재와 함께 구성된 복합중재의 부분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이중과제의 인지 및 운동과제는 각각 별개의 내용으로 서로 독립적인 과제가 대부분이었다. 평가는 MMSE, CERAD와 같은 전반적인 인지기능평가와 집행기능평가, 기억력평가 등이 포함되었고 이중과제의 직접적인 향상을 보기위하여 Dual task cost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이중과제의 연구 및 임상적 적용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 부양부담의 영향 요인: 치매지원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Focusing on Family Caregivers using a Support Center for Dementia)

  • 임경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6-14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fluencing factors on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living at home.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11 family caregivers who were taking care of elders registered at a support center for dementia located in S-gu,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in SPSS WIN 23.0. Results: The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was mild to moderate ($40.31{\pm}21.50$) in this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were the age, behavioral problems, and dependency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demented elderly, in addition to th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resting hours of family caregivers. Overall, these factors explained 46.5% of the total variability in care burden in this sample (F=13.01, p<.001).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ed elderly and family caregivers can influence care burden differently. Individually tailored strategies based on the various caregiving contexts need to be developed to reduce the level of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 based Reminiscence Therapy on Early Dementia Patient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 박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758-764
    • /
    • 2018
  • 본 연구는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 그리고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도 치매 노인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총 8주 동안 주 1회, 각 회기 당 40분의 작업 중심 회상치료를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대상자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서 한국형 몬트리올 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orean Version:MoCA-K), 우울정도 측정을 위해 단축형 한국판 노인우울척도검사(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SGDS-K), 그리고 대상자들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해 치매노인 대상 삶의 질 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GQOL-D)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작업 중심 회상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MoCA-K 점수는 중재 전 $14.62{\pm}5.07$에서 중재 후 $16.88{\pm}4.55$로, SGDS-K 점수는 중재 전 $7.28{\pm}4.28$에서 중재 후 $6.10{\pm}4.09$로, 마지막으로 GQOL-D 점수는 중재 전 $26.05{\pm}5.45$에서 중재 후 $28.55{\pm}5.74$로 변화하여 측정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작업 중심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 노인 환자들의 인지기능, 우울 그리고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박수정;김정기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5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MCI)를 가진 노인의 우울증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경도인지장애 노인은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은 다양한 인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6주 동안 12회 수행되었다. 노인우울증 척도 (SGDS-K)와 삶의 질 (QOL)을 사용하여 중재 전 후의 대상자의 우울증과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경도인지장애(MCI) 노인은 집단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 후 노인우울증 척도 (SGDS-K)와 삶의 질(QOL)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특히 삶의 질 평가 (QOL)중 일부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SGDS-K와 QOL의 결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경도인지장애(MCI)를 가진 노인의 경우,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을 6주 동안 시행했을 때 삶의 질(QOL)과 우울 증상은 중재 전 후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Central Auditory Processing Tests as Diagnostic Tools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of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Jalaei, Bahram;Valadbeigi, Ayub;Panahi, Rasool;Nahrani, Morteza Hamidi;Arefi, Hossein Namvar;Zia, Maryam;Ranjbar, Nastaran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3권2호
    • /
    • pp.83-88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a disorder that usually occurs in the elderly, leading to dementia in some progressive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tility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tests as early diagnostic tools for identifying the elderly with MCI. Subject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 elderly patients with MCI and 20 healthy matched peers. The speech perception ability in a quiet environment and in the presence of background noise and also temporal resolution were assessed by using 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 and Gap in Noise (GIN) tests,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bility to understand speech in a quiet environm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SPIN at the three signal-to-noise ratios and the temporal resolu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01). Conclusions: Individuals with MCI appear to have poorer speech comprehension in noise and a lower temporal resolution than those of the same age, but without cognitive defects. Considering the utility of these tests in identifying cognitive problems, we propose that since the GIN test seems to be less influenced by intervening factors, this test can therefore, be a useful tool for the early screening of elderly people with cognitive problems.

Central Auditory Processing Tests as Diagnostic Tools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of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Jalaei, Bahram;Valadbeigi, Ayub;Panahi, Rasool;Nahrani, Morteza Hamidi;Arefi, Hossein Namvar;Zia, Maryam;Ranjbar, Nastaran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3-88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a disorder that usually occurs in the elderly, leading to dementia in some progressive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tility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tests as early diagnostic tools for identifying the elderly with MCI. Subject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 elderly patients with MCI and 20 healthy matched peers. The speech perception ability in a quiet environment and in the presence of background noise and also temporal resolution were assessed by using 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 and Gap in Noise (GIN) tests,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bility to understand speech in a quiet environm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SPIN at the three signal-to-noise ratios and the temporal resolu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01). Conclusions: Individuals with MCI appear to have poorer speech comprehension in noise and a lower temporal resolution than those of the same age, but without cognitive defects. Considering the utility of these tests in identifying cognitive problems, we propose that since the GIN test seems to be less influenced by intervening factors, this test can therefore, be a useful tool for the early screening of elderly people with cognitive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