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and Lower Leave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뽕잎 품종별 기능성 성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ves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 채주영;이준영;황인승;황보득;최필환;이완주;김진원;김선여;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21
    • /
    • 2003
  • 본 연구는 뽕잎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의 제조에 적합한 뽕잎 품종을 선별하고자 품종별(YK-209, Cheong il, Yongchon and Kaeryang), 산지별(영천 및 상주), 부위별(상위, 중위 및 하위엽) 및 생육시기별(5월, 6월 및 8월)에 따른 뽕잎의 기능성 지표물질인 DNJ, GABA및 flavonoid의 함량을 HPLC로 정량하였다. 4가지 뽕잎 중 YK-209 뽕잎의 기 능성 물질 (DNJ, GABA 및 flavono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YK-209 뽕잎으로부터 분리된 4가지 flavonoid 중 rutin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isoquercitrin>kaempferol-3-Ο-rutinoside>astragalin 순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3가지 뽕잎에서는isoquercitri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rutin이 차지 하였으나 품종별, 산지별, 부위별 및 성장시기별에 따라 flavonoid구성성분의 함량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영천지역에서 수확한 YK-209뽕잎의 3가지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상주에서 수확한 뽕잎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한편, YK-209 뽕잎의 부위 중 상위엽이 중위 및 하위엽보다 3가지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높았다. 끝으로YK-209뽕잎의 성장시기 중 5월에 수확한 것이 6월 및 8월에 수확한 뽕잎보다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3가지 기능성 성분함량이 높은 YK-209 뽕잎(용천뽕과 개량뽕을 교배하여 얻은 것)의 5월산 상위엽을 향후 뽕잎의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제조용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폐엽절제 후 발생한 지속적 공기누출의 인공기복에 의한 치료 (Treatment of Prolonged Air-leak after Bilobectomy by Artificial Pneumoperitoneum)

  • 조성준;이성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2호
    • /
    • pp.902-905
    • /
    • 2002
  • 폐엽절제술은 종종 장기간의 공기누출을 초래하기도 한다. 결핵 및 만성폐쇄폐질환으로 치료중인 환자가 우측폐 하엽에 편평상피세포암종이 발견되어 우측 양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21일까지 지속되는 공기누출과 이에 따른 사강이 해결되지 않아 소아용 도관을 이용하여 인공기복을 만들었다. 인공기복술 직후 공기누출이 감소하여 23일째 멈추었고 수술 후 25일째 흉관을 제거할 수 있었다.

NUTRITIONAL EVALUATION OF MAIZE FODDER AT TWO DIFFERENT VEGETATIVE STAGES

  • Azim, A.;Naseer, Z.;Ali,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27-34
    • /
    • 1989
  • Different fractions of maize plant and whole mixed fodder were analys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Highest crude protein (CP) values were found in leaves as compared to the other portions. Younger plants contained more CP as compared to the matured ones. The crude fiber (CF) content of various fractions of the plant ranged between 19.12 to 35.60% with maximum values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stem. Matured plants contained more CF. The analysis of cell wall constituents indicated that the maximum values for neutral detergent fiber (NDF) were found in the bottom portion and in the whole mixed plant. The highest levels of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observed in bottom fraction followed by whole mixed plant, whereas the other plant fraction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Variation in acid detergent lignin (ADL) values existed in different fractions of the plant and the lowest were in the top portion of the stem. Although there existed a variation in the mineral composition of different fractions of the plants, the results were non significant. Maximum DMD was found in leaves followed by the whole mixed plant, middle and bottom portion of the stem. The values of DMD were higher in younger plants as compared to the matured ones. It may be concluded that younger plants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lants have a higher nutritive value as compared to the matured plants and lower portion of the plants.

Expression Patterns of SQS in Different Tissues in Amaranth Grains (Amaranthus cruentus L.)

  • Young-Jun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4-294
    • /
    • 2022
  • To date, there have been no reports on the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ene encoding SQS from Amaranthus,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reports on methods of extracting and purifying squalene from Amaranthus seeds.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 amaranth SQS gene in seed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nd in different tissues. The transcript expression pattern of the SQS gene was investigated using total RNA isolated from seeds at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There were low levels of SQS transcripts at the early stage of seed development, and the levels remained low until the middle developmental stage. The expression of SQS increased rapidly to reach a peak at the mid-late developmental stage, and then declined dramatically. This pattern of expression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RT-PCR analyses. All RNA samples generated a fragment of the expected size (183-bp). The amaranth SQS was expressed at low levels during the initial to middle stages of seed development, and its expression level increased at the mid-late development stage. Also The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amaranth SQS was determined by quantifying its mRNA in total RNA isolated from the leaves, petioles, stems, and roots of seedlings at the four- and six-leaf stages. Using qRT-PCR and RT-PCR analysis, we detected amaranth SQS transcripts in some of the tissues at the six-leaf stage, but in none of the tissues from plants at the four-leaf stage. SQS transcripts accumulated in almost equal amounts in stems and roots, while a lower level accumulated in leaves and petioles during seedling development at the four- to six-leaf stages.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SQS clone isolated from grain amaranth. A basic understanding of these characteristics will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n the amaranth SQS.

  • PDF

국화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발생소장, 가해특성과 품종에 따른 피해 (Population Dynamics and Injuries by Liriomyza trifolii(Burgess) in Chrysanthemum Field)

  • 박종대;이호범;김선곤;김도익;박인진;김상철;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1-147
    • /
    • 2000
  • 봄재배 국화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 성충은 5월 상순부터 황색 끈끈이트랩에 유인되기 시작하여 7월중순까지는 발생량이 많고 7월하순부터 수확기까지는 비교적 밀도가 낮았고 가장 발생량이 많은 시기는 6월중순~하순이었다. 유충의 밀도는 5월하순부터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상순에 가장 높았고 이후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절화를 생산하는 시기에는 밀도가 가장 낮았다. 가을재배에서는 봄재배에 비하여 셩충의 유인수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으나 9월하순 10월중순에 유인량이 비교적 많았고 유충의 밀도변화도 수확기까지 성충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정식후 국화 생장에 따른 피해엽율의 변화는 봄재배에서 4주째부터 피해엽이 나타나지 시작하였으며 5주째까지는 피해엽율이 비교적 낮았으나 6주째부터는 70%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수확기까지 계속되었다. 국화 품종에 따른 아케리카잎굴파리에 의한 피해엽율은 대국에서는 수방력이 초기에 피해가 약간 낮게 나타났지만 후기에는 조사된 모든 품종에서 45% 수준으로 높았고, 소국에서는 사티니스가 21.3%로 리건, 카산드라 등의 50% 수준보다 낮았다. 본 시험에서 검정된 국화품종은 모두 국화의 생장과 함께 피해엽이 증가하였다.

  • PDF

Burley종 담배의 품종별 재식밀도 및 시비량에 따른 주요 형질의 변화 제1 보. 재식밀도에 따른 초형 변화 (Variation of Agronomic Characters in Burley Tobacco Cultivars according to Plant Density and Fertilizer Levels I. The Effect of Plant Density on Plant Type)

  • 구한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4-42
    • /
    • 1994
  • Experiments on the variability of plant type and factors representing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he cultivars were subsequently carried out in relation to different plant density.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 The higher was the plant density, the greater was the plant height and mean leaf inclination(MLI). As the plant density increased, the horizontal leaf area distribution became greater in proximal to the stem in NTN 77 and Br.49 but evenly in distal part in Br.21. Meanwhile, in terms of vertical leaf area distribution, it was decreased much more in middle and lower leaves than in upper in NTN 77 and Br.49 although it steadily decreased in any part of the plant in Br.21. Br.49 was the largest but Br.21 and NTN 77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both CGR and NAR. The yield was greater in larger MLI cultivars(NTN 77>Br.49>Br.21). These three characteristics became greater when the tobacco were planted more densely in the field. Dry leaf weight and dry matter weight per plant were heavier in the larger MLI and increased with lower plant density. Total nitrogen content was greater in lower plant density and larger MLI cultivar. The plant density increases filling power seems to be enhanced regardless to the plant type. There was no discernible tendency on combustibility according to the plant density or plant type.

  • PDF

수집종 쑥의 청색색소 카마줄렌 함량 변이 (Variation of Chamazulene Contents in Local Collections of Mugwort (Artemisia spp.))

  • 김현주;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1-18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청색색소 카마줄렌을 함유한 쑥 종류를 선발하고, 이 카마줄렌 함량이 집단 내에서 개체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고자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수집종 쑥 5종 쑥(Artemisia indica), 물쑥(Artemisia selegensis), 실제비쑥 (Artemisia japonica var. angustissima), 뺑쑥(Artemisia feddel), 황해쑥(Artemisia argyi)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카마줄렌을 함유하고 있는 종은 Artemisia indica이었다. 2. 식물체 내에서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 모두 잎이 화기와 줄기보다 카마줄렌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영양생장기에는 상위 엽이 중, 하위 엽보다 2.5배 정도 많은 카마줄렌을, 생식생장기에는 상위 줄기가 중, 하위 줄기보다 5-8배 정도 많이 카마줄렌을 함유하였다. 3. 집단 내 50개체의 개체별 카마줄렌 함량의 변이를 조사한 결과 최소 0.015% 에서 최대 0.113%까지의 큰 변이를 보였으며, 전체 개체의 72%인 36 개체가 0.03% 이상의 카마줄렌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모본과 후대(clones)의 카마줄렌 함량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 PDF

Chlorophyll content and the expression pattern of ERF transcription factor gene in leaves and roots of wild corn under flooding treatment

  • Kim, Jung Tae;Bae, Hwan-Hee;Lee, Jin-Seok;Son, Beom-Young;Kim, SangGon;Baek, Seong-Bu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81-81
    • /
    • 2017
  • The origin of wild corn (teosinte) is distributed in the Northwest coastal pacific area of Central America, including Mexico, which is a wetland area of 5 to 6 months per year. Depending on these climate characteristics, wild corn is genetically resistant to flooding condi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flooding resistant genes of these wild corns, we examined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fter the flooding treatment in the early stages of the growth of various wild corns. The difference of chlorophyll content between flooding untreatment and flooding treatments (untreated chlorophyll content - humidified chlorophyll content) was the highest in chlorophyll content in the case of B73, the common corn. In the middle leaf, $\underline{Zea}$ mays subsp. Parviglumis, Zea mays subsp. Mexicana, Zea mays subsp., Zea perenni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ower leaves, Zea mays sub and Zea nicaraguensis showed the lowest content compared to B73. PC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34 primers divided into two groups, top and bottom. In the wild corn, pyruvate decarboxylase 2 in root and alcohol dehydrogenase 1 in shoo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reaction.

  • PDF

느티나무에서 면충에 의한 충영형성과 아미노산종과의 연관성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all-forming Process by Aphids and the Various Amino Acids in Zelkova Serrata Makino)

  • 엄미정;오인숙;김환규;소상섭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54-260
    • /
    • 2001
  • 느티나무에서 외줄면층에 의해 형성되는 충영의 생육을 조사하고, 유리 아미노산의 조성과 함량을 면충의 생활사에 따라 잎, 충영 및 면충체액에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충영의 형성위치는 잎의 중간분위 또는 기부 쪽에서 엽맥을 따라 엽병쪽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된 잎의 90% 이상이 1개의 충영만을 형성하였다. 충영성숙은 면충거주자가 유시성충으로 이탈된 후에도 폭과 길이에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충영이 면충의 먹이 또는 서식처로서 뿐만 아니라 식물체 조직의 일부로도 연계되어졌음을 시사하였다. 검출된 유리 아미노산은 proline, alanine, valine 및 trace 등 26${\sim}$29종으로 잎, 충영 및 면충체액에서 유사 asparatic acid가 가장 많았고 특히 면충의 경우 간모 1령기에서 alanine이 18.4%로 전 경시시료 중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충영의 폭과 길이의 증가에 따라 유리 아미노산의 총량 변화 또한 간모 1령기에서 무시성추기에 증가됨으로서 느티나무 충영생육은 탄수화물과 더불어 아미노산 등의 질소 급원이 주요 생육 물질임을 확인할수 있었다.

  • PDF

엽장, 엽폭, 엽신장을 이용한 토마토의 엽면적 추정 (Estimation of Leaf Area Using Leaf Length, Leaf width, and Lamina Length in Tomato)

  • 이재면;정재연;최효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5-331
    • /
    • 2022
  • 토마토의 생육과 수확량을 예측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엽면적이다. 이러한 엽면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토마토 식물 생장 평가 모델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토마토 잎의 측정을 통해 엽면적(LA)을 추정하는 효과적인 모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마토 식물 잎 조사를 위해 2주 간격으로 5개체의 토마토 식물체의 전개된 모든 잎에 대해 엽면적(LA), 엽장(L), 엽폭(W), 엽신장(La)를 측정하였다. LA와 토마토 잎 독립변수의 상관관계는 La × W, L × W, La + W, L + W의 식이 강한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LA 추정은 LA = a + b(La2 + W2)을 사용하는 선형 모델이 가장 정확한 추정치를 나타내었다(R2 = 0.867, RMSE = 88.76). 9월부터 12월까지 토마토 잎의 위치에 따른 상, 중, 하 엽의 모델을 살펴본 결과, 상, 중, 하로 잎 위치에 따른 모델별 결정계수(R2) 값은 각각 0.878, 0.726, 0.794였다. 상위엽을 바탕으로 추정된 모델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10월 이후 토마토 재배 농가에서 중위엽과 하위엽에 실시한 반적엽의 영향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