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wave photonic filte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A Flexible and Tunable Microwave Photonic Filter Based on Adjustable Optical Frequency Comb Source

  • Tran, Thanh Tuan;Seo, Dongsun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32
    • /
    • 2015
  • A flexible and tunable microwave photonic filter based on adjustable optical frequency comb source is demonstrated. We use a combination of a dual parallel Mach Zehnder modulator and an intensity modulator to generate fifteen comb lines with proper weights to implement a desired filter. The optical comb weights, corresponding to the tap coefficients of the filter, are flexibly changed by adjusting the operation parameters of the modulators. The achieved bandwidth and stopband attenuation of the tunable filter are 0.7 GHz and 20 dB, respectively. In addition, we overcome the undesired low frequency suppression appeared in a conventional scheme by applying a dual parallel Mach Zehnder modulator for single sideband suppressed carrier modulation.

Tunable Photonic Microwave Band-pass Filter with High-resolution Using XGM Effect of an RSOA

  • Kwon, Won-Bae;Lee, Chung Ghiu;Seo, Dongjun;Park, Chang-Soo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6호
    • /
    • pp.563-567
    • /
    • 2018
  • We propose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 a simple tunable photonic microwave band-pass filter with high resolution using a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RSOA) and an optical time-delay line. The RSOA is used as a gain medium for generating cross-gain modulation (XGM) effect as well as an optical source. The optical source provides narrow spectral width by self-injection locking the RSOA in conjunction with a partial reflection filter with specific center wavelength. Then, when the RSOA is operated in the saturation region and the modulated recursive signal is injected into the RSOA, the recursive signal is inversely copied to the injection locked optical source due to the XGM effect. Also, the tunability of the passband of the proposed microwave filter is shown by controlling an optical time-delay line in a recursive loop.

광 실시간 지연선로 행렬을 이용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포토닉 필터 (Microwave Photonic Filter Using Optical True-Time-Delay Line Matrix)

  • 정병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213-21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밴드 패스 필터 및 노치 필터로의 용도 변환이 가능하고, 대역폭 변화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MWP 필터를 제안하였다. 인접 채널의 단위 시간지연 차이가 50 ps인 $4{\times}2$ 광섬유 지연선로 행렬로 구성된 MWP 필터를 제작하였고, 각 채널의 시간 지연 및 MWP 필터의 주파수 응답 등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RF 변조 광 신호의 시간 지연 차이와 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20 GHz와 6.67 GHz의 FSR 변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X-band Microwave Photonic Filter Using Switch-based Fiber-Optic Delay Lines

  • Jung, Byung-Mi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1호
    • /
    • pp.34-38
    • /
    • 2018
  • An X-band microwave photonic (MWP) filter using switch-based fiber-optic delay lines has been proposed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d. It is composed of two electro-optic modulators (EOMs) and $2{\times}2$ optical MEMS-switch-based fiber-optic delay lines. By changing time-delay difference and coefficients of each wavelength signal by using fiber-optic delay lines and an electro-optic modulator, respectively, a bandpass filter or a notch filter can be implemented. For an X-band MWP filter with four channel elements, fiber-optic delay lines with the unit time-delay of 50 ps have been experimentally realized and the frequency responses corresponding to the time-delays has been measured. The measured frequency response error at center frequency and the time-delay difference error were 180 MHz at 10 GHz and 3.2 ps, respectively, when the fiber-optic delay line has the time-delay difference of 50 ps.

전기적으로 가변되는 전달특성을 갖는 폴리머 링 광공진기를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대역통과 필터 (Photonic K-Band Microwave Bandpass Filter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Transfer Characteristics Based on a Polymeric Ring Resonator)

  • 김건덕;이상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75-47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폴리머 링 광공진기를 이용하여 집적광학형 K-band용 마이크로웨이브 대역통과 필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특히,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광공진기의 공진파장을 변화시킴으로써 대역통과 필터의 전달특성을 전기적으로 조절하였다. 측정된 필터의 중심주파수는 20 GHz, 소멸비는 약 15 dB, 3 dB 대역폭은 2 GHz, 그리고 Q값은 10이었다. 마이크로웨이브 필터에서 중심주파수의 출력특성을 27 dB범위 내에서 ${\sim}6.7dB/mW$로 조절할 수 있었다. 전기적으로 조절되는 전달특성을 갖는 이 필터는 마이크로웨이브스위치 등으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unable Photonic Microwave Delay Line Filter Based on Fabry-Perot Laser Diode

  • Heo, Sang-Hu;Kim, Junsu;Lee, Chung Ghiu;Park, Chang-Soo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1호
    • /
    • pp.27-33
    • /
    • 2018
  • We report the physical implementation of a tunable photonic microwave delay line filter based on injection locking of a single Fabry-Perot laser diode (FP-LD) to a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RSOA). The laser generates equally spaced multiple wavelengths and a single tapped-delay line can be obtained with a dispersive single mode fiber. The filter frequency response depends on the wavelength spacing and can be tuned by the temperature of the FP-LD varying lasing wavelength. For amplitude control of the wavelengths, we use gain saturation of the RSOA and the offset between the peak wavelengths of the FP-LD and the RSOA to decrease the amplitude difference in the wavelengths. From the temperature change of total $15^{\circ}C$, the filter, consisting of four flat wavelengths and two wavelengths with slightly lower amplitudes on both sides, has shown tunability of about 390 MHz.

폴리머 광공진기 라우터 기반의 4채널 선택 포토닉 마이크로웨이브 대역통과 필터 (Four-channel Selective Photonic Microwave Filter Based on Optical Resonator Router)

  • 김건덕;어윤성;이상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2-24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1{\times}4$ 스위치와 서로 다른 FSR(free spectral ranges)을 갖는 마이크로링 공진기 배열을 결합하여 구현된 광공진기 라우터를 기반으로 하는 집적광학 방식의 4채널 선택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MW) 필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중심 주파수는 링 공진기의 반지름에 따른 FSR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통해 얻어지는 10 GHz, 16 GHz, 18 GHz, 20 GHz로 구성된 4개의 채널은 광스위치에 제어 전압을 인가하여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

Sidelobe Suppression Enhancement of Radiofrequency Photonic Filters via Time-to-frequency Mapping

  • Song, Min-Hyup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5호
    • /
    • pp.449-452
    • /
    • 2014
  • We present a multi-tap microwave photonic filter with high selectivity through applying time-to-frequency mapping and optical frequency comb shaping techniques. When arranged in the time-to-frequency mapping stage, by a Fourier transform, the deviation of the optical taps to the target profile is significantly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apodization profile, resulting in high sidelobe suppression in the filters. By applying a simple time-to-frequency mapping stage to the conventional optical frequency combs, we demonstrate a substantially enhanced (>10dB) sidelobe suppression, resulting in filter lineshapes exhibiting a significantly high (>40dB) main lobe to sidelobe suppression ratio. These results highlight the potential of the technique for implementation in various passband filters with high sidelobe suppression.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를 이용한 음계수를 가지는 광 마이크로파 노치 필터 (Photonic Microwave Notch Filter with Negative Coefficient Using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 권원배;최용규;김준수;김경호;정민아;이성로;박창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5호
    • /
    • pp.418-42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 (RSOA)를 이용하여 음계수를 가지는 광 마이크로파 노치 필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마이크로파 노치 필터의 음계수는 RSOA의 상호 이득 변조 (XGM) 현상을 통하여 얻어진다. RSOA가 이득 포화 영역에서 동작할 때 변조된 펌프 광과 연속파를 가지는 프로브 광을 RSOA 내에 주입하게 되면, XGM 현상으로 인하여 프로브 광은 펌프 신호의 반전된 형태의 신호로 변조된다. 이러한 두 신호들은 파장 의존적 시간 지연 특성을 갖는 단일 모드 광섬유 (SMF)에 의하여 프로브 신호와 펌프 신호 사이에 시간지연이 발생한다. 제안된 마이크로파 노치 필터는 35.1 dB 이상의 notch dips과 약 380.6 MHz의 free spectral range (FSR)을 가진다.

폴리머 링 공진기 기반의 스위치를 이용한 집적광학 채널 선택 마이크로웨이브 대역통과 필터 (Integrated Photonic Channel Selective Microwave Bandpass Filter Incorporating a 1×2 Switch Based on Tunable Polymeric Ring Resonators)

  • 김건덕;이상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9-8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FSR (free spectral range)을 갖는 두 개의 가변 (tunable) 폴리머 링 공진기 기반의 $1{\times}2$ 스위치를 이용하여 광학적 방식의 채널 선택이 가능한 재구성형 (reconfigurable) 마이크로웨이브 (microwave: MW) 필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각 링 공진기는 두 개의 링이 연결되어 있으며 한 개의 링 위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열광학효과를 통해 On/Off 스위치로서 동작된다. 입력 MW 신호에 의해서 변조된 광신호를 이 스위치를 통해 특정 포트로 라우팅(routing)하고 광검출기를 통해 복원함으로써 두 개의 채널이 선택되는 MW 대역통과 필터 특성을 얻었다. 중심주파수가 10 GHz인 채널 I 이 선택된 경우, 소멸비는 ${\sim}30dB$, 대역폭은 1 GHz, Q값은 10, 최대 소비전력은 4.1 mW였다. 그리고 중심주파수가 20 GHz인 채널II가 선택된 경우에는 소멸비는 ${\sim}30dB$, 대역폭은 2 GHz, Q값은 10, 최대 소비전력은 8 mW였으며, 각 채널 간의 격리도는 24 dB 이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