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tub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6초

프로제스트론이 培養中인 생쥐 初期胚兒의 高分子化合物合成에 미치는 影響에 관하여 (Effects of Progesterone on the Macromolecular Syntheses in Mouse Preimplantation Embryos in Vitro)

  • Cho, Wan-Kyoo;Kwon, Hyuk-Ba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93
    • /
    • 1979
  • Progesterone은 배양중인 생쥐 초기배아의 난할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의 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이 호르몬이 배아 세포들의 각종 대사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rogesterone은 배아의 아미노산 흡수능 (uptake)을 증가시키었으나 동화능 (incorporation)을 연저히 감소시켰다. 2. Progesterone은 핵산 전구물질들 (uridine과 thymidine)의 흡수능과 동화능을 모두 저하시켰다. 본 실험의 결과로 미루어 Progesterone은 배아 세포들의 단백질, RNA 그리고 DNA 등의 고분자화합물의 합성을 저해하여 배아의 난할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배아 세포들의 투과성의 변화와는 직접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卵巢 構成成分이 微細管內에서의 精子의 運動能 및 移動能에 미치는 影響에 관하여 (The Effects of the Ovarian Components on the Motility and Movement of Mouse Sperms in a Capillary Tube)

  • Cho, Wan-Kyoo;Lee, Joon-Yeo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94
    • /
    • 1976
  • 난소 구성성분의 일부인 여포난자와 난구세포가 배양중인 정자의 운동능과 이동능에 미치는 영향을 미세관 배양법을 개량한 배양장치를 고안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양중인 정자의 운동능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혹은 정자의 농도를 희석시킴에 따라 점차 감소했다. 그러나 온도의 변화 $(22^\\circ C \\sim 36^\\circ C)$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난자는 정자의 운동능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효과는 8시간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난구세포나 난자-난구 세포의 복합체가 모세관을 통과하는 정자의 이동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아 난구세포가 어떤 정자유인요소를 분비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방사광 X-선 영상법을 이용한 소수성 마이크로 관 내 물-글리세롤 혼합물 슬러그 계면 가시화를 통한 동적접촉각 상관식 검증 (Verification of the Experimental Correlation for Dynamic Contact Angle by Visualizing Interfaces of Water-Glycerol Mixture Slug in a Hydrophobic Microtube via Synchrotron X-ray Imaging)

  • 장진규;김영현;김경준;이정훈;이연원;유동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45-150
    • /
    • 2022
  • 움직이는 접촉선에서의 계면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은 동적접촉각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왔다. 하지만 가시화 기술의 한계로 선행연구에서의 동적접촉각에 대한 실험은 일반적으로 친수성 미세관에서 가시광선 기반으로 실험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연구 및 산업 분야에서 소수성 미세관에서의 동적접촉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높은 공간 및 시간 분해능을 갖는 방사광 X-선 영상법을 이용하여 소수성 마이크로 튜브 내 물-글리세롤 혼합물 슬러그의 동적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동적 접촉각 실험 상관식을 검증하였다.

미숙아에서 채혈을 위한 발뒤꿈치 천자시 두 종류 천자 기구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wo Different Heel Lancet Devices for Blood Collection in Preterm Infants)

  • 임효빈;류미주;정지미;전가원;신종범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39-244
    • /
    • 2010
  • 목적: 효과적인 미숙아에서의 채혈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미숙아에서 발뒤꿈치 천자시 새로운 자동화 천자기구(automatic lancet device)와 기존에 사용되던 고식적 수동식 천자침(conventional manual lancet device) 의 효과를 비교하여 임상에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재태 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 총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아들은 발뒤꿈치 천자시 무작위로 각 50명씩 고식적 수동식 천자 기구를 사용한 군(50명)과 자동화 천자 기구를 사용한 군(50명)으로 나누었으며, 발뒤꿈치 천자시 통증의 정도 및 천자 횟수, 검사 시간, 출혈의 여부 등을 평가하였다. 통증의 평가는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점수와 최고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였고, 검사시간은 발뒤꿈치 천자 시작으로부터 1개의 microtube에 채혈을 완료하는 시간까지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천자횟수는 1개의 microtube를 혈액으로 채우기 위해 발뒤꿈치를 천자한 횟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검사 12시간 이내에 발뒤꿈치 및 발목 주위에 출혈이나 멍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통증을 나타내는 PIPP 점수의 평균은 자동화 천자기구군에서 4.91로 고식적 천자기구 군 5.84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P=0.0255).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고식적 천자군에서 평균 48.92초, 자동화 천자군에서 평균 30.69초로 자동화천자기구를 사용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P<0.0001). 천자 횟수의 평균값은, 자동화 천자군에서 1.02로, 고식적 천자군 1.35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다(P=0.0001). 검사후 출혈반점이나 멍 등은 고식적 천자기구 군에서 15례(30%), 자동화 천자기구 군에서 3례(6%)로 자동화 천자기구 사용 군에서 의미 있게 적게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024). 결론: 자동화 절개형 천자기구(BD QuickHeel)는 검사 실패율이 낮으며, 짧은 시간에 채혈이 가능하고, 멍이나 출혈 같은 부작용이 적어 신생아, 특히 최근 생존율이 향상되어 증가되고 있는 미숙아에서 발뒤꿈치 천자에 의한 채혈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겠다.

플루오레신나트륨의 농도 범위 분석 (Analysis for Concentration Range of Fluorescein Sodium)

  • 이다애;김용재;윤기철;김광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7-74
    • /
    • 2020
  • Brain tumors or gliomas are fatal cancer species with high recurrence rates due to their strong invasiveness. Therefore, the goal of surgery is complete tumor resection. However, the surgery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border because tumors and blood vessels have the same color tone and shape. The fluorescein sodium is used as a fluorescence contrast agent for boundary separation. When the external light source is irradiated, yellow fluorescence is expressed in the tumor, which helps distinguish between blood vessels and tumor boundaries. But, the fluorescence expression of fluorescence sodium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of fluorescein sodium and such analytical data is insufficient. The unclear fluorescence can obscure the boundaries between blood vessels and tumors. In addition, reduce the efficiency of fluorescence sodium use. This paper proposes a protocol of concentration range for fluorescence expression conditions. Fluorescent expression was observed using a near-infrared (NIR) color camera with corresponding dilution using normal saline in 1 ml microtube. The flunoresence emission density range is 1.00 mM to 0.15 mM. The fluorescence emission begin to 1.00 mM and the 0.15 mM discolor. The discolor is difficult to fluorescence emission condition obserbation. Thus, the maximum density range of the bright fluoresecein is 0.15 mM to 0.30 mM. When the concentration range of fluorescein sodium is analyzed based on the gradient of fluorescence expression and the power measurement, the brightest fluorescence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complete resection of the tumor. For the concentration range protocol, setting concentration ranges and analyzing fluorescence expression image according to saturation and brightness to find optimal fluorescence concentration are important. Concentration range protocols for fluorescence expression conditions can be used to find optimal concentrations of substances whose expression pattern varies with concentration rang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the boundary classification and resection of brain tumors and glioma.

템플레이트의 국소 위치에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미세구조물의 전기화학 합성 (Electrochemical Template Synthesis of Conducting Polymer Microstructures at Addressed Positions)

  • 이승현;서수정;윤금희;손용근
    • 전기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0-107
    • /
    • 2004
  • 다공성 멤브레인 필터를 템플레이트로 이용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중합하면 템플레이트의 형태대로 나노 또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도성 고분자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 중합법을 템플레이트 합성 과정에 이용하여 전극에 고착된 전도성 고분자 미세 구조물을 얻었다. 이 전기화학 템플레이트 합성 방법에서의 관건은 플라스틱 템플레이트를 ITO 또는 금속 전극위에 부착시키는 일이다, 이 때 전극은 전기화학 특성을 보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PEDiTT(poly-3,4-ethylenedithiathiophene) 용액과 PVA (polyvinyl alcohol) 용액을 블랜딩히여 얻은 복합체(composite)를 접착제로 이용하여 다공성 멤브레인 필터를 전극에 부착시켜 템플레이트 전극을 제작하였다. 이 전극을 피롤농도가 0.5M인 중합용액에 넣은 후 전해반응으로 템플레이트의 기공 안으로 폴리피롤이 합성되도록 하였다. 폴리피를 형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템플레이트의 제거 전과 후의 전극 모습을 SEM이미지로 얻어서 확인하였다 또한 순환전압전류댑으로 전류 곡선을 얻어 확인하였다. 비교적 면적이 큰 작업 전극과 매우 작은 미소전극을 상대전극으로 구성한 전해 중합계를 이용하여 큰 작업 전극의 국소 부분에만 전도성 고분자의 전해중합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전극을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으로, 그리고 템플레이트가 부착된 전극을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으로 하는 2전극계를 구성하여 이용하였다. 이 전해계를 이용하여 얻은 미세구조물은 템플레이트의 동공 크기와 같은 크기로 성장하였고 형태는 튜브나 막대기 형태를 보였다. 특히 상대전극의 위치를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튜브형태의 미세구조물을 합성하였다. 최종 합성조건으로는 $250{\mu}m$ 전극은 인가전위 4V로 100초간 중합시간, 그리고 $10{\mu}m$전극의 경우는 인가 전위 6V에 시간은 30초 동안 중합할 때 고분자가 멤브레인 동공 밖으로 넘쳐나지 않는 만큼 성장함을 알았다.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제재의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E. faecalis에 대한 항균성 평가 (Evaluation of time-dependent antimicrobial effect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on Enterococcus faecalis in the root canal)

  • 김혜정;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7
  •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NaDCC)은 염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과 비교 시 동일한 농도의 용액에서 같은 염소 이온을 가지고 있으며 비슷한 정도의 항균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항균성을 평가하고 이를 현재 근관세척제로 사용되고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클로르헥시딘 (CHX)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의 최소증식억제 농도 (MIC)를 실험한 결과 NaOCl과 NaDCC에서는 0.125%를 보였고 CHX에서는 0.063%로 나타났다. 근관 내 사용에 대한 실험은 최근에 발거된 128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으며 치경부와 치근단 부위를 절단하여 10 mm 길이를 가지는 시편을 만들었다. 시편의 내경은 #3 Gates-Glidden drill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하였다. 각각의 치아 시편의 근관 내에 E. faecalis를 접종하고 3일간 배양한 후 40개씩 3개의 군으로 분류하고 대조군으로 8개의 시편을 이용하였다. 실험군 1, 2, 3은 각각 NaDCC, NaOCl, CHX으로 근관세척하였고 대조군은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하였다. 각 군은 다시 12시간, 24시간, 72시간, 7일의 시간에 따라 4개의 하위 군으로 분류하였다.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멸균된 paper point를 이용하여 근관 내용물을 채취하고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그 후 #4, 5GG drill을 이용하여 근관 내면을 삭제하고 이 때 생겨나는 상아질을 멸균된 증류수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었다. 이것을 희석하여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bacterial CFU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bacterial CFU가 관찰되지 않았고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 모두 비슷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한 대조군에서는 모두 bacterial CFU가 존재하였다. NaDCC를 근관세척제로 사용할 경우 1주 이내의 시간 동안에는 적절한 항균효과를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용해도를 비롯한 치근단 조직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등의 평가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ibutyryl Cyclic AMP가 생쥐여포난자의 성숙에 미치는 억제효과에 관한 자기방사법적 연구 (Autoradiographic Studies on the Inhibitory Effect of Dibutyryl Cyclic AMP on Mouse Oocyte Maturation in Vitro)

  • 최춘근
    • Applied Microscopy
    • /
    • 제7권1호
    • /
    • pp.21-43
    • /
    • 1977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in order to localize the labeled dbcAMP (dibutyryl cyclic AMP) in oocytes whose development has been suppressed by cold dbcAMP for 6 or 19 hours in vitro. Mouse oocytes were obtained from the ovaries of 3-4 week old A strain female mice, by puncturing the Graafian follicles in the modified Krebs-Ringer bicarbonate salt solution under the dissecting microscope. Those oocytes which have intact germinal vesicle were cultured in the basic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0.4% bovine serum albumin (BSA). Cultivation of the oocytes was carried out in a microtube developed by Cho (1974). The cultures were then incubated in a humidified 5% $CO_2$ incubator maintained at $37^{\circ}C$ for 6 or 19 hours (Donahue, 1968). DbcAMP was added to culture medium for a final concentration of 100ug/ml, and $^3H-dbc$ AMP (specific activity 13 Ci/mM) for a final concentration of $40{\mu}Ci/ml$ was also added to the medium. For electron microscopic autoradiography, those oocytes recovered from the culture were washed with phosphate buffer (pH 7.4), and immediately prefixed in a 2.5% glutaraldehyde overnight and postfixed for 2 hours at $4 ^{\circ}C$ in 1% osmium tetroxide in phosphate buffer with pH 7.4 (Palade, 1952). After fixation, the materials were dehydrated in graded alcohol series and embedded in Epon 812 mixture based on the standard procedures (Luft, 1961). The thin sections $600-700{\AA}$ thick were mounted on the grids of 200 meshes. The grids containing sections were coated with a nuclear emulsion Kodak NTB-3 and stored in a cold dark box (at $4^{\circ}C$) for 3 weeks. After exposure, the samples were developed with Kodak D-19 and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Routine observation was made with Hitachi HU-11E electron microsocope.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were as followings: 1. It was found that the labeled dbcAMP penetrated the egg plasma membrane and dispersed at random in the cytoplasm. 2. It was also observed that most of the labeled dbcAMP was attached to microfibrillar lattices portion of the oocyte cytoplasm. There fore, it is presumed that the receptor of the dbcAMP is localized in the microfibrillar lattices of the oocyte. 3. It also seems that some other cell organells such as mitochondria, Golgi complex, cortical granule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action of the dbcAMP. 4. The labeled dbcAMP was neither observed in the membrane nor in the nucleus. Therefore, it seems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dbcAMP and the nuclear membranous permeability. 5. There was no difference in number of dbcAMP particles when oocytes were cultured for 6 hours and 19 hours. 6.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in same of the oocytes suppressed in germinal vesicle by dbcAMP for 19 hours, cell organells were moved and concentrated to a small portion of the cytoplasm, and that the morphology of the organells greatly changed to an abnormal. form.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those oocytes were in the process of degener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dbcAMP penetrated the egg membrane and was bound to the receptor which seems to be located in the microfibrillar lattiees portion, and that this dbcAMP-receptor complex inhibited some enzyme system of the oocyte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germinal vesicle breakdow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