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some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17초

곰보배추섭취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랫드에서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via plebeia R. Br.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 송원영;최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6-3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곰보배추 파우더가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4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곰보배추 파우더를 5% 및 10% 첨가한 군으로 각각 나누었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GSH-px, catalase 및 SO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HF군에 비해 곰보배추 파우더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Superoxide radical 함량을 mitochondria 및 microsome에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곰보배추 공급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microsome 에서는 군간의 유의한 차이도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cytosol 및 mitochondria에서 $H_2O_2$의 함량에서는 곰보배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로 정상군 수준을 나타내었다. 혈청에서 간수치 GOT 및 GPT를 측정한 결과 10%의 곰보배추의 공급으로 H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 조직의 microsome 및 mitochondria에서의 산화단백질 함량 또한 곰보배추 파우더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간조직에서 관찰 한 결과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증가된 과산화지질이 곰보배추 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곰보배추의 공급으로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손상된 간조직의 항산화계는 곰보배추 내 함유되어진 여러 생리활성 물질들이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에서 생성된 free radical에 의한 산화를 억제시켰으리라 사료되어진다. 이로 미루어 곰보배추는 체내 조직의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작용에 효과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버섯 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유산균 발효유가 in vivo 및 vitro 과산화지질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Effects of Mushroom Extract and Fermented Milk Containing Its Extract on in vivo and in vitro Lipid Peroxidation)

  • 차재영;전병삼;박정원;신갑균;김범규;배동원;유지현;전방실;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14-520
    • /
    • 2004
  • 유산균 발효유, 버섯(표고, 영지, 느타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유산균 발효유가 SD계 암컷 흰쥐의 각 조직 과산화지질 농도 및 DPPH 전자공여능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표고, 영지,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Folin-Denis 법에 의한 총 폴리페놀 화합물 농도는 각각 0.34, 0.20, 0.34%로 나타났다. 유산균 발효유, 버섯 추출물, 버섯 추출물 함유 유산균 발효유 및 이들 시료의 standard로서 사용된 BHT의 DPPH법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각각 33.9, 34.9, 51.9 및 95.6%로 나타났다. 실험 식이군은 정상군, 콜레스테롤군, 콜레스테롤 + 유산균 발효유군, 콜레스테롤 + 버섯 추출물군 및 콜레스테롤+버섯 추출물 함유 유산균 발효 유군으로 구성하였다. 간 조직 및 microsome 획분과 과산화지질 농도는 콜레스테롤+유산균 발효유군 및 콜레스레롤+버섯 추출물 함유 유산균 발효유군이 다른 실험군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 조직의 과산화지질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콜레스테롤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러한 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증가는 유산균 발효유 및 버섯 추출물 함유 유산균 발효유 첨가로 인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심장 및 비장 조직, 이들의 microsome 및 mitochondria 획분의 과산화지질 농도는 각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 버섯 추출물 함유 유산균 발효유 식이는 흰쥐 간장 및 신장 조직의 과산화지질 생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신생 쥐 간의 Progesterone $6{\alpha}-Steroid$ Hydroxylase에 대한 연구 (Study on Progesterone $6{\alpha}-Steroid$ Hydroxylase from New-born Rat Liver)

  • 조도현;박연희;유연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2호
    • /
    • pp.100-106
    • /
    • 1984
  • 신생 쥐 간의 subcellular fraction의 특징과 $6{\alpha}$-steroid hydroxylase의 subcellular localization및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0g 30초 침전 fraction은 총 DNA의 95%를 차지하므로써 crude nuclei fraction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5'-nucleotidase의 specific activity가 높은 것은 파괴되지 않은 세포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이 되며, 1450g 10분 침전 fraction은 5'-nucleotidase의 activity가 가장 높으므로 crude plasma membrane fraction으로 동정하였으나 mitochondria가 같이 침전되어 있었으며, 9000g 20분 침전 fraction은 succinate-cytochrome C reductase의 activity가 가장 높아 mitochondria fraction으로 하였고, 105,000g 60분 상등액은 LDH가 가장 높아 cytosol로 하였으며, 105,000g 60분 침전은 남은 부분으로 microsome fraction으로 추정하였다. 각 fraction에 기질인 $3{\beta}$-hydroxy-$5{\alpha}$-pregnan-20-one을 incubation시킨 후의 생성된 steroid를 보면 crude nuclei fraction에서는 pregnadiol($5{\alpha}$-pregnane-$3{\alpha}/{\beta}$, $20{\alpha}$-diol)의 형성으로 $20{\alpha}$-reduction과 $3{\alpha}$-$3{\beta}$ iso${\beta}$merization을 볼 수 있었으며 crude plasma membrane fraction에서는 $20{\alpha}$-reduction과 $6{\alpha}$-hydroxylation을 볼 수 있었으며 crude mitochondria와 cytosol에서는 $20{\alpha}$-reduction만을 crude microsome에서는 $16{\alpha}$-hydroxylation을 볼 수 있었으므로 $6{\alpha}$-hydroxylase는 crude plasma membrane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6{\alpha}$-steroid hydroxylase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6{\alpha}$-steroid hydroxylase의 최대 활성도는 pH 7에서 나타났으며 progesterone은 hydroxylation을 시키지 못한 반면 $3{\alpha}$-hydroxy-$5{\alpha}$-pregnan-20-one은 $6{\alpha}$-hydroxylation이 되었다.

  • PDF

쌀겨발효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작용 (Bioactive Materi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Rice-bran Extract)

  • 안희영;최다정;김보경;이재홍;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14-1020
    • /
    • 2015
  • ㈜한국바이오솔루션에서 제공받은 쌀겨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Bran, FRB)과 현재 시판 중에 있는 제품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Soybean, FRS)을 대조군으로 in vitro상에서의 이 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flavonoid 함량을 측정하였고,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은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Fe/Cu 환원력,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flavonoids 함량은 각각 19.92 mg/g과 11.56 mg/g으로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능에서도 69.8%로 상당히 높은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또한, 처리농도 증가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 쌀겨발효 추출물이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식품소재 개발을 위해 쌀겨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천연색소 Brazilin 및 Hematoxylin의 항지질 과산화활성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the Antilipidperoxidative Effects of Brazilin and Hematoxylin(I))

  • 문창규;하배진;이수환;목명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5-40
    • /
    • 1987
  • 생체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알려진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지질대사 개선작용, 간보호작용, 혈소판응집능 억제작용 등 생체내 지질과산화 현상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일련의 생리활성이 확인되었으나 아직 항 과산화지질 활성이 검토 보고된 바 없는 Brazilin 및 그 hydroxy 유도체인 hematoxylin을 대상으로 생체내 지질과산화 유도제로 $CCl_4$와 ethanol을 사용하여 지질과산화 억제효능 및 in vitro에서의 효소적, 비효소적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능을 검토하였다. Brazilin 및 hematoxylin이 $CCl_4$로 유도된 과산화지질의 억제효과를 보면 간 homogenate에서 각각 90%, 94%, mitochondria 분획에서 각각 68%, 82%, microsome 분획에서 각각 65%, 81%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혈장에서의 억제효과는 각각 37%, 68%로 간에서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이 두 물질은 간 뿐만 아니라 혈장에서도 과산화지질 억제효과가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Ethanol로 유도된 과산화지질의 억제효과를 보면 간 homogenate에서 각각 93%, 99.8%, mitochondria 분획에서 각각 74%, 98%, microsome 분획의 경우 각각 70%, 94%의 효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혈장에서의 억제효과는 Brazilin 및 Hematoxylin이 각각 43%, 80%로 나타났다. 간조직중에서는 Brazilin과 Hematoxylin이 유사한 수준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혈장 과산화지질치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Brazilin과 Hematoxylin은 간으로부터 혈액중으로의 지질의 방출에 상이한 정도로 영향을 미치거나 순환지질 기질의 보호에 의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에 차가 있거나 혹은 두 가지 인자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세포하수준에서의 항 지질과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간 misosome 및 mitochondria 분획에 대해 검토해 본 결과 양분획 모두에서 Hematoxylin이 Brazilin보다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저지율은 양분획에서 유사한 수준이었다. Brazilin 및 hematoxylin이 효소적 지질과산화 반응인 NADPH 유도 지질과산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Brazilin의 경우 88.5%, Hematoxylin의 경우 91.0%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비효소적 지질과산화 반응인 ascorbate 유도 지질과산화 반응에서도 Brazilin이 75.7%, Hematoxylin이 81.9%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에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주로 자체의 항산화 작용에 의하나 microsome 약물대사활성에 의한 효소적 과산화 현상에도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측백나무 잎.열매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Fruit Extracts from Thuja orientalis)

  • 안희영;허수진;강민정;이재홍;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46-752
    • /
    • 2011
  • 측백나무 잎 및 열매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총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지방산 조성) 분석과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 과산화지질)을 측정하였다. 측백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 수율(12.90%), 폴리페놀 화합물(16.02%) 및 플라보노이드(0.25%) 함량이 가장 높았다. 측백나무 잎 및 열매의 주요 미네랄은 Ca, K, 및 Mg이었다. 측백나무 잎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및 lauric acid였으며, 열매는 palmitic acid 및 dec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지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측백나무 열매보다는 잎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측백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Indole, Indole-3-calbinol 및 Benzofuran이 간장 microsome과 cytosol의 약물대사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Differential Effects of Indole, Indole-3-carbinol and Benzofuran on Several Microsomal and Cytosolic Enzyme Activities in Mouse Liver)

  • 차영남;;;정진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1985
  • 이물질(xenobiotics) 대사에 관여하는 간장 microsome과 cytosol 효소 활성에 indole, indole-3-carbinol 및 benzofuran이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기위하여 마우스에 이들 약물을 각각 5 mmole/kg씩 10일간 투여하여 다음 몇 가지의 성적을 얻었다. Benzofuran은 microsome 효소인 aniline hydroxylase, 7-ethoxycoumarin O-deethylase, p-nitrophenol UDPGA-transferase, epoxide hydrolase와 cytosol 효소인 glutathione S-tranferase, NADH : quinone reductase, UDP-glucose dehydrogenase의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benzofuran과는 구조적으로 furan ring내의 N원소가 O원소로 치환되었을 뿐 주된 구조가 유사한 indole과 indole-3-carbinol 투여로는 UDPGA-transferase와 NADH: quinone reductase의 활성도 증가를 볼 수 없었으며, 특히 indole은 NADPH : cytochrome C reductase만을 증가시킨데 비하여 구조상 indole에 carbinol (methanol)기가 붙은 indole-3-carbinol은 수종의 mixed function oxidase와 아울러 특히 epoxide hydrolase의 활성도 역시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benzofuran과 indole-3-carbinol에 의한 epoxide hydrolase 활성도 증가의 기전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타민 A 과량 섭취가 흰쥐의 간 Microsome의 비타민 K-dependent Carboxylation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cess Dietary Vitamin A on Vitamin K-dependent Carboxylation in Rat Liver Microsomes)

  • Lilha Le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492-500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A 과량 섭취가 비타민 K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arboxylase의 기질인 쥐의 간내 microsome 단백질과 첨가된 펩티드의 vitamin K-dependent carboxylation rate를 측정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는 정상 vit.A 섭취군의 간 microsome을 vit.A 로 incubation했을때 간 내 prothrombin 선구 물질이나 첨가된 peptide기질의 carboxylation rate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와 비슷한 양상으로서 무비타민 K 식이와 함께 비타민 A를 정상수준 혹은 과잉 수준으로 섭취한 쥐를 비교한 경우에는 동일군 간에는 carboxylation rate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비타민 A 과잉군의 간내 단백질의 carboxylation rate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비타민 A 과잉군은 비타민 A로 incubate한 경우나 하지 않은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약 2~3 배 의 carboxylase 활성을 보였다. In vivo study 에서는 첨가된 peptide에 대한 carboxylase활성은 비타민 A 광일 섭취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간 내 단백질의 carboxylation rate는 비타민 A과잉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2~3 배나 더 높았다. Carboxylase 활성은 대조군이나 비타민 A과잉군 모두 연구기간이 진행될수록 더 증가하였다. 그리고 간 내 단백질의 carboxylation에 대한 비타민 A 과잉 효과는 실험 식이를 시작한 후 일주일 정도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는 비타민 A 과잉 시에는 과잉증이 빠른 시일내에 일어나며, 비타민 A 과잉은 비타민 K 결핍의 지표인 prothrombin 의 선구물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식이 $\omega3$$\omega6$계 지방산 조성이 제 2세대 쥐의 RBC과 뇌조직 Synaptosome, Microsome 및 Mitochondria의 인지질 및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mega3$ and $\omega6$ Fatty Acid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RBC and Brain Synaptosomal, Microsomal and mitochondrial Phospholipids and on Behavioral Development of Rats)

  • 엄영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8호
    • /
    • pp.849-860
    • /
    • 1996
  • The supply of different fatty acids during the development period has significant effec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omega$3 and $\omega$6 fatty acid compositions on phospholipids (PLs) of RBC and rat brain subcellular fractions (synaptosome, microsome, mitochondria), and on learning ability of the 2nd generation rat. Rat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3-4 wks prior to the conception. Early in the lactation period, the feeding mothers were exchanged. Diets consisted of 10% fat(by weight), which was either safflower oil('S') poor in $\omega$3 fatty acids or computer-searched mixed oil('M') with P/M/S ratio, 1/1.4/1 and $\omega$6/$\omega$3 ratio, 6.1/1. The 'S' and 'M' rats were subdivided further into SS, SM, MS & MM rats according to their lactation stauts. At 3 (weaning) & 9 wks of age, the percentage of total $\omega$3 fatty acids to their lactation status. At 3 (weaning) & 9 wks of age, the percentage of total $\omega$3 fatty acids and the ratios of $\omega$3/$\omega$6 fatty acids in PLs of RBC and brain subcellular fractions in SM and MM groups fed milk from the mixed oil-fed mothers for 2 wks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in SS and MS groups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concentrations of $\omega$6 fatty acids, especially 22:5$\omega$6 in all frac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M & MM groups compared to those of the SS & MS groups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concentration of $\omega$6 fatty acids, especially 22:5$\omega$6 in all frac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M & MM groups compared to those of the SS & MS groups, The values for the DHA$\omega$3/22:5$\omega$6 ratios after the lactation period were markedly higher in the groups (SM & MM) which were reared by mixed oil(MO) fed mothers. In carring out Y-water maze at 9th wk of age, the SM(4.2$\pm$0.5) & MM (5.3$\pm$0.5) groups made significantly less errors compared to the SS(6.2$\pm$0.6, p<0.05 compared with SM) & MM (7.2$\pm$0.5, p<0.05 compared with MM) groups which were lactated by the safflower oilfed mothers. Therefore, by feeding a balanced fatty acid diet from the lactation period up to 9 wks of age as compared with the groups fed $\omega$3 fatty acid-deficient diet regardless of mother's diet given before parturition. The levels of DHA(synaptosome) and 22:5$\omega$3 (mitochondria) were positively correlated not only with these values in RBC but also with visual discriminating ability. The levels of DHA and 22:5$\omega$3 in RBC can, therfore, reflect visual discriminatng ability in the rat.

  • PDF

뱀딸기풀의 항산화 활성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 방어계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uchesnea chrysantha on Regulation of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 송원영;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3-8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뱀딸기풀 파우더가 간조직의 항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4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N 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 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뱀딸기풀 파우더를 5% 첨가한 군(DA 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뱀딸기풀 파우더를 10% 첨가한 군(DB 군)으로 나누었다. 식이 및 식수는 자유섭취하게 하였으며 4주간 사육한 후 희생시켰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GSH-px 및 catalase 활성은 정상군(N 군)에 비해 HF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HF 군에 비해 뱀딸기풀 파우더 공급군(DA 및 DB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유리기를 소거하는 지표인 간조직의 superoxide radical 함량을 microsome에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뱀딸기풀 공급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mitochondria에서는 HF 군에 비해 DB 군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어졌다. 간조직의 cytosol에서 $H_2O_2$의 함량에서는 DA 및 DB 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로 정상군 수준을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microsome 및 mitochondria에서의 산화단백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 되었으나 뱀딸기풀 파우더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간조직에서 관찰 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증가된 과산화지질은 뱀딸기풀 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10% 공급한 군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뱀딸기풀에 함유된 여러 항산화성분들은 효과적으로 활성산소종을 소거하여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유발된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켰을 것이라 사료되어진다.